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용일사거리 남동측구역 주거환경개선사업 정비구역 지정과 지형도면 고시 본문

└‥‥▷ 미추홀구

용일사거리 남동측구역 주거환경개선사업 정비구역 지정과 지형도면 고시

귀인 청솔 2022. 4. 11. 09:28

용일사거리 남동측구역 주거환경개선사업 정비구역 지정과 지형도면 고시

 

인천광역시 고시 제2022 98

 

용일사거리 남동측구역 주거환경개선사업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 지정과 지형도면 고시

 

미추홀구 한나루로 490번지 일원 용일사거리 남동측구역 주거환경개선사업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16조 규정에 따라 정비계획 수립 비구역 지정 고시하고토지이용규제 기본법8조에 따라 지형도면을 함께 고시오니 이해관계인은 인천광역시 주거재생과(032-440-3477) 및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시민공동체과(032-880-5992)에 비치된 관계도서를 열람하시기 바랍니다.

 

 

2022. 4. 11.

인 천 광 역 시 장

 

 

. 정비사업의 명칭

용일사거리 남동측구역 주거환경개선사업

 

. 정비구역 및 그 면적

정비구역 지정조서

 

구분 정비사업 명칭 위치 면적() 비고
기정 변경 변경후
신설 용일사거리 남동측구역 주거환경개선사업 미추홀구 한나루로 490번길 일원 - )49,182 49,182 -

. 정비계획

1) 용도지역에 관한 계획

() 구성비(%)
변경후
49,182 - 49,182 100.0%
2종일반주거지역 49,182 - 49,182 100.0%

 

2) 도시계획시설의 설치에 관한 계획

) 도로

 

구분 규 모 연장
(m)
기점 종점 사용
형태
주요
경과지
최초
결정일
비고
등급 류별 번호 폭원(m)
기정 소로 2 6 8 60 주안동
733-23
주안동
736-17
일반도로 - 2009.09.17.
기정 중로 2 13 15 236 주안동
1418-83
주안동
1420-44
일반도로 - 2009.09.17.
기정 소로 2 -  8 67 주안동
1420-5
주안동
1420-9
일반도로 - 2009.09.17.
기정 소로 3 -  6 60 주안동
731-9
주안동
731-15
일반도로 - 2009.09.17.
기정 소로 3 - 3 107 주안동
1418-89
주안동
1418-125
일반도로 - 2009.09.17.
기정 소로 3 - 6 114 주안동
837-1
주안동
1418-104
일반도로 - 2009.09.17.
기정 소로 3 - 3 185 주안동
1421-69
주안동
1420-9
일반도로 - 2009.09.17.
기정 소로 3 - 3 110 주안동
1418-54
주안동
1418-83
일반도로 - 2009.09.17.
기정 소로 3 - 6 102 주안동
1418-64
주안동
1418-93
일반도로 - 2009.09.17.
기정 소로 3 - 3 126 주안동
731-9
주안동
733-23
일반도로 - 2009.09.17.
기정 소로 2 - 8~9 238 주안동
1418-54
주안동
734-4
일반도로 - 2009.09.17.
기정 소로 2 - 8 71 주안동
1421-25
주안동
1420-83
일반도로 - 2009.09.17.

) 공원

 

도면표시
번호
시설명 위치 () 최초
결정일
변경후
기정 - 사미
어린이공원
미추홀구 주안31418-93 1,652m² - - 1974.11.06 -

 

3) 공동이용시설 설치계획

) 건축분야

 

구분 시설의 종류 위치 면적 () 비고
신설 근린
생활
시설
커뮤
니티
센터
주안동
731-3


731.2
커뮤니티공간과 공공기능을 복합하여 지역
커뮤니티 거점 역할 수행
- 지상1: 주차장, RFID 음식물 처리기, 여성안심 택배함
- 지상2: 문화예술교실, 사무실, 공동체 거점공간, 어린이 공부방
- 옥상: 공동부엌, 무인로봇카페, 공동텃밭, 옥상천문대
친환경적이고 유지관리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축계획 수립
커뮤니티공간 시설은 주민협의체에서 운영

) 공공환경정비 분야

 

구분 사업명 규모 내용 추진시기
A
공공공간기반구축
A-1.
사미커뮤니티센터 신축 및 운영
1개소 커뮤니티센터 신축 2022
마을전체 커뮤니티센터 운영을 위한
역량강화교육
마을전체 수익 및 공동체 운영사업
A-2
사미골 경로당
리모델링
1개소 1층 개방형 화장실 운영
1개소 경로당 리모델링

 

구분 사업명 규모 내용 추진시기
B
마을특화골목길
정비계획
B-1
사미옛길
정원
골목길
특화
1개소 40m 바닥정비(바닥블럭 재정비) 2022
1개소 120m 조명활용 벽화
1개소 120m 담장도색 및 벽면그래픽
1개소 40m 하수로 보수
마을전체 화단형 벤치 설치
B-2
어린이
갤러리
정원
골목길
특화
1개소 50m 참여형 조명갤러리 월 2022

B-3
으라차차
소통정원
골목길 특화
1개소 110m 담장 도색
1개소 110m 이끼담장
3개소 고보조명
마을전체 화단형 벤치
B-4
안녕정원
골목길 특화
1개소 70m 희망메세지
1개소 70m 담장도색
마을전체 화분설치
C
지역문제해결형
스마트
마을환경개선
C-1
스마트
횡단보도
2개소 고원식 횡단보도 2022
2개소 스마트 횡단보도
(바닥신호등, 음성안내 보조장치)
2개소 스마트 교차로 알리미 +
스마트 LED 바닥 경관등
2개소 자동 안내시스템 사인
C-2
스마트
공유 주차장
17개소 차량 감지 센서
17개소 주차선 도색
17개소 안내사인
구분 사업명 규모 내용 추진시기
D
안전하고
쾌적한
마을
환경
D-1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3개소 통합형 CCTV (CCTV + 비상벨)설치 2022
보안등
2개소
고보조명
4개소
벽부형
조명
1개소
23m
조도개선
(보안등, 고보조명, 벽부형 조명)
보행자용
4개소
운전자용
4개소
반사경 (안심거울)
10개소 불법광고물 방지 시트
(영역성 확대/미관개선)
1개소 여성 안심 택배함
D-2
쓰레기
문제개선
2개소 RFID 음식물쓰레기 배출장소 조성
11개소 쓰레기 배출시간, 방법홍보
E
튼튼한
공동체
만들기
E-1
사미마을
공동체 활동
마을전체 공동체 활동 운영 지원 2021
~2022
E-2
사미골
마을관리기업
마을전체 조직 구성 및 운영사업 시행
E-3
마을로고

캐릭터 디자인
마을전체 마을로고 및 캐릭터 디자인 제작

4) 기존 건축물의 정비·개량에 관한 계획

구역 내 건축물은 모두 존치(공동이용시설 건설부지 내

1개동 제외)되며 주민 스스로 주택을 개량함

 

구역구분 정비개량계획() 비고
명칭 면적() 존치 개수 철거 후 신축 철거이주
용일사거리 남동측구역 주거환경개선사업 49,182 175 174 1 - - 경로당

 

5) 건축물의 주용도·건폐율·용적률·높이·층수 등에 관한 계획

 

구분 구역 구분 위치 허용용도 건폐율
(%)
용적률
(%)
높이
(m)
비고
명칭 면적()
- 용일사거리 남동측구역 주거환경
개선사업
49,182 한나루로 490번길 일원 2종 일반주거지역에서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 60%이하
(도시계획조례를 따름)
250%이하
(도시계획조례를 따름)
건축법 및 인천광역시 건축조례를 따름

6) 시행구역분할 및 건축부지 정비계획(해당사항 없음)

7) 도시경관·환경보전 및 재난방지에 관한 계획

 

구 분 계 획 내 용
도시경관 건축물의 재료색채담장 등 권장사항으로 제시하고 마을공동체 활동을 통해 주민 스스로 마을경관을 개선하도록 유도
마을 주요골목 환경정비 및 주민공동체 자율관리를 유도하여 지역 정체성 확보, 특화골목길 정비계획(골목정원 조성)
어린이 참여를 통한 사미어린이공원 담장 갤러리정원으로 개선
야간 조명을 통한 빛의 정원으로 경관개선
마을 중심길, 스마트 보행환경시스템(스마트 횡단보도)를 통한 마을 중심 스마트 마을 경관개선
스마트 공유주차장(어플을 활용한 주차공유제) 운영을 통한 불법주차 환경 해소
불법광고물방지 시트를 활용한 전신주 경관개선 및 영역성확대
환경보전 골목정원 조성과 주민들의 자율관리를 통해 꽃, 식물, 이끼 등 쾌적한 녹지공간 조성
커뮤니티센터 신축 시 필로티형의 건물로 기존 공영주차장 유지와 열효율 패시브 건축기법을 통한 열효율이 높은 커뮤니티센터 설치
재난방지 급경사구간 미끄럼방지포장, 제설함 설치 등 가로환경 관리를 통한 안전성 확보
폐공중선 정비를 통해 단선, 전복으로 인해 발행할 수 있는 화재사고 방지

8) 건축물의 건축선에 관한 계획

관계법령 및 조례를 따름

 

9) 정비구역 주변의 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계획

 

구 분 계획내용
교육환경 현황 대상지 동측에 유치원 2개소, 초등학교 1개소 위치
사업대상지의 일부가 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법률8조에 의거 교육환경보호구역(절대보호구역 및 상대보호구역)에 해당
교육환경보호에 관한 계획 ∙ 「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법률8조에 의거 교육환경 보호구역에 해당되는 지역은 동법 제9조에 의거한 시설의 설치를 금지함

10) 정비구역을 분할하거나 결합하여 시행하는 경우 분할 또는 결합에 관한 계획(해당사항 없음)

 

11) 정비구역 및 주변지역의 주택수급에 관한 사항(해당사항 없음)

 

12) 세입자 주거대책(해당사항 없음)

 

13) 안전 및 범죄예방에 관한 사항

 

구 분 계획내용
자연감시 통행 시 사각지대에 숨어 있거나 나오는 낯선 이를 확인이 어려워 범죄 위험이 있는 구간에 안심거울, 반사경 등을 설치
담장 정비, 휴게공간설치, 골목길 보행 활성화를 통한 자연감시 가능성 획득
영역성 강화 전신주에 불법광고물 방지 시트를 부착하여 마을이 관리됨을 보여 안전영역성을 강화
마을 초입, 좁은 골목에 지역주민공간을 표현하는 디자인으로 잠재적 범죄자의 심리위축 유도
명료성 강화 대상지 내 사각지대에 야간조도가 어두워 주민들이 보행 시 두려움을 느끼는 구간에 CCTV, 비상벨, 고보조명, 보안등, 벽면활용 간접조명을 설치
유지관리
공동체활동 연계
사미골마을관리기업(가칭)을 통한 주민 스스로가 관리 체계 형성

14) 가구 또는 획지에 관한 계획(해당사항 없음)

15) 정비사업의 시행에 관한 계획

 

시행방법 시행예정시기 사업시행예정자
주거환경
개선사업
정비기반시설 및 공동이용 시설의 설치 또는 확대 구역지정(변경) 고시일로부터 3년 이내 미추홀구청장
주민자체적으로 주택 보전정비개량 계획수립 이후 토지 등 소유자

 

16) 주민의 소득원 개발에 관한 사항

마을 관리 위탁, 공동이용시설 운영을 통해 고용창출 및 주민소득 향상 도모

공공프로그램 위탁운영, 저소득층 일자리 제공 프로그램 운영

 


 

유 형 구 분 역 할
공동체 육성 마을관리단체 마을 자율관리 체계 통합 운영관리(사미골 주민협의체)
마을기업 지역사회 전문가 연계를 통한 마을순환경제 일자리 창출
공공시설물 관리 위탁을 통한 수익창출 방안 마을집수리 주거 취약계층 주거안정화
어린이 공부방 무인스터디카페 운영을 통한
수익 창출
별자리 관측 마을천문대를 활용한 별자리 교육을 통한 수익 창출
공유식당 공동 주방을 활용하여 카페, 무인카페 및 로스팅 교실 운영으로 수익 창충
중간지원조직 연계 노인일자리
(공공형, 사회서비스형,
민간형)
미추홀구 노인인력개발센터를 통해 노인일자리 연계
(골목화단관리, 공용주차장 관리, RFID 음식물관리)

17) 무상 양여된 국·공유지의 사용·처분에 관한 사항(해당사항 없음)

18) 기존 수목의 현황 및 활용계획(해당사항 없음)

19) 환지계획(해당사항 없음)

20) 지역특성, 골목길 등 지역자원 발굴 및 관계성 회복을 위한 주민공동체 활성화 방안

 

구 분 내 용
기존 주민 공동체의
연속성 유지
임시거점 역할을 하던 주민협의체 사무실 및 마을주택
관리소의 기능을 대상지 내 주민공동이용시설로 이전
기존 주민 공동체의 활동을 지원 및 발전시켜 신규주민
유입 유도 : 공동부엌, 마을천문대, 골목정원 가꾸기 등
투명한 절차에 따른 주민협의체 조직구성 및 운영으로
마을공동체로서 대표성 부여
주민협의체 운영회의, 주민총회 개최를 통해 지속적인
주민협의체 운영
주민의 자발적 참여유도 마을 소식지 배포, 주민 운영회의 개최로 마을 내 소식
전달
주민협의체 회의내용, 참여안내 등의 내용 게시
마을SNS 운영을 통해 참여가 힘든 주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소통하는 창구 마련
주민소모임(골목가꾸기, 쿠킹클래스, 돌봄교실 등) 지원을 통해 마을 내 지속적으로 활동할 주민, 공동체 발굴
지역공동체
역량강화
의제발굴-계획수립-운영관리프로그램 구상으로 이어지는
단계별 워크숍
소모임 운영과 마을축제를 기획·진행하면서 능동적
활동역량 강화
유사한 선진사례지 탐방 등을 통해 마을의 미래 계획
주민 리더자 역량강화 교육
자생적 운영을 위한 마을공동체 소득 창출 방안 마련 역량강화를 통해 사미골 주민협의체가 자생할 수 있는 마을운영관리 능력 배양
마을관리활동을 통한 수익창출로 공동체 지속성 확보
공동이용시설 운영·관리 위탁 등을 통한 지역주민 고용
창출

세부 프로그램은 사업실행 시 주민의사에 따라 결정

. 관계도서는 인천광역시 주거재생과(032-440-3477)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시민공동체과(032-880-5992)에 관계서류를 비치하고 열람하고 있습니다. (관련도면 게재 생략)

 

출처 : 인천시청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