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쇠뿔고개 주거환경개선사업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 지정과 지형도면 고시 본문

└‥‥▷ 동구

쇠뿔고개 주거환경개선사업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 지정과 지형도면 고시

귀인 청솔 2022. 4. 11. 08:46

쇠뿔고개 주거환경개선사업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 지정과 지형도면 고시

 

인천광역시 고시 제2022 94

 

쇠뿔고개 주거환경개선사업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 지정과 지형도면 고시

 

동구 창영동 21-15번지 일원 쇠뿔고개 주거환경개선사업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16조 규정에 따라 정비계획 수립 비구역 지정 고시하고토지이용규제 기본법8조에 따라 지형도면을 함께 고시오니 이해관계인은 인천광역시 주거재생과(032-440-3477) 및 인천광역시 동구 도시정비과(032-770-6672)에 비치된 관계도서를 열람하시기 바랍니다.

 

 

2022. 4. 11.

인 천 광 역 시 장

 

 

. 정비사업의 명칭

쇠뿔고개 주거환경개선사업

 

. 정비구역 및 그 면적

정비구역 지정조서

 

구분 정비사업 명칭 위치 면적() 비고
기정 변경 변경후
신설 금창동 쇠뿔고개
주거환경개선사업
동구 창영동 21-15번지 일원 - )35,072.5 35,072.5 -

. 정비계획

1) 용도지역에 관한 계획

 

구분 면적() 구성비(%) 비고
기정 변경 변경후
35,072.5 - 35,072.5 100.0 -
주거
지역
소계 35,072.5 - 35,072.5 100.0 -
2종일반 17,657.9 - 17,657.9 50.3
3종일반 17,414.6 - 17,414.6 49.7

 

2) 도시계획시설의 설치에 관한 계획

) 도로(변경)

 

구분 시설명 기능 연장(m) 기점 종점 사용
형태
주요
경과지
최초
결정일
비고
등급 류별 번호 폭원
(m)
기정 중로 2 4 15~25 국지 1820
(621)
2-6 6호광장
(송림동)
일반
1970.02.09.
건고 제54

기정 소로 2 2 8 국지 232 1-2 2-18 일반
1964.12.17
기정 소로 2 18 8~9 국지 384 2-4 2-1 일반
2010.04.26.
인고
119

기정 소로 3 193 4 국지 18 3-124 창영동
29-7
일반 창영동
23-23
2001.07.09
기정 소로 3 5 6 국지 50 2-18 3-124 일반


기정 소로 3 185 5~6 국지 36 2-18 창영동
177-7
일반
1991.08.02
기정 소로 3 186 6 국지 68 2-18 창영동
177-6
일반
1991.08.02
기정 소로 3 124 6 국지 420 2-1 2-4 일반
1997.01.06.
인고 제262

변경 소로 3 124 6~15 국지 425 2-18 2-4 일반


도로 변경 사유서

 

변경전 도로명 변경후 도로명 변경내용 변경사유
소로3-124 소로3-124 연장: 420m 425m
폭원: 6m 6~15m
주변도로와의 연계를 위한 도로 연장 및 폭원 변경

 

) 주차장(변경)

 

구분 도면
표시번호
시설명 시설의 세분 위치 면적() 최초
결정일
비고
기정 변경 변경후
폐지 주차장 노외
(지상)
창영동 22-8번지 일원 627.8 ) 627.8 - 1999.8.2

 

주차장 변경 사유서

 

도면
표시번호
시설명 변경내용 변경사유
주차장 시설 폐지
- 위치 : 창영동 22-8번지 일원
주민공동이용시설 신축을
위한 폐지

 

) 공원

 

구분 도면
표시번호
공원명 시설의 종류 위치 면적() 최초
결정일
비고
기정 변경 변경후
기정 창영어린이공원 어린이
공원
창영동
21-15번지
1,028.8 - 1,028.8 1999.8.2

 

3) 공동이용시설 설치계획

) 건축분야

 

구분 시설의 종류 위치 면적() 층수 비고
대지면적 () 연면적 ()
신설 공동이용시설 창영동 22-8번지 627.8 329.24 2 2층에 한함

) 공공환경정비 분야

 

구 분 계 획 내 용 비고
사 업
내 용
A. 주민이 하나가 되는 마을공동체 공간조성
- 목 적: 마을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 회복 및 모임 공간 조성
- 내 용: 커뮤니티센터 조성, 공동작업터 조성, 어린이공원
리모델링

B. 안심하고 걷고 싶은 가로 공간개선
- 목 적: 안전한 가로 공간 조성
- 내 용: 교통정온화 설계, 가로환경 정비

C. 안전하고 빛이 있는 안심 마당조성
- 목 적: 범죄 예방, 보행자 보호, 화재 예방,
- 내 용: 가로 및 골목길 개선, CPTED(방범·방재)

D. 휴먼 케어
- 목 적: 주민공동체 및 주민 창업 활성화를 통한 마을 자생능력 제고
- 내 용: 주민공동체 활성화 프로그램, 창업지원 프로그

 

4) 기존 건축물의 정비·개량에 관한 계획

구역 내 건축물은 모두 존치되며 주민 스스로 주택을 개량함

* 더불어마을 집수리 지원사업과 연계 예정

 

5) 건축물의 주용도·건폐율·용적률·높이·층수 등에 관한 계획

 

구분 구역 구분 위치 주용도 건폐율
(%)
용적률
(%)
높이
(m)
비고
명칭 면적()
- 금창동
쇠뿔고개 주거환경개선
사업
35,072.5 창영동
21-15번지
일원
2종 및 일반주거지역에서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 60%이하
(도시계획조례를 따름)
250%이하
(도시계획조례를 따름)
건축법 및 인천광역시 건축조례를 따름
3
일반주거지역에서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
50%이하
(도시계획조례를 따름)
300%이하
(도시계획조례를 따름)

6) 시행구역분할 및 건축부지 정비계획(해당사항 없음)

7) 도시경관·환경보전 및 재난방지에 관한 계획

 

구분 계획내용
도시경관 건축물의 형태재료색채담장 등을 권장사항으로 제시하고 주민협의체 활동을 통해 주민 스스로 마을경관을 개선하도록 유도
어린이공원, 쉼터, 범죄예방 시설물, 횡단보도 등의 공공시설물은 인천광역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적용 권장
데크형 담장, 걸이식 화분, 플랜트박스 등 어두운 골목길의 가로환경을 개선하고
자율적으로 마을경관을 관리하는 마을공동체 형성
환경보전 기존 수목을 최대한 활용하며, 녹지공간들이 서로 연계될 수 있는 녹지축 형성
환경성 검토를 통해 정비사업 시행에 따른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의 저감 방안을 강구
재난방지 반사경, 호스릴 비상소화장치, 보안등 설치 등 가로환경 관리를 통한 안전성 확보

8) 건축물의 건축선에 관한 계획

 

구분 적용구역 계획내용
건축한계선 구역 전체 관계법령에 따름
- 건축물의 건축선에 관한 사항은 인천광역시 건축조례를 따름
- 조례에 명시되어있지 않은 사항은 건축법을 따름

9) 정비구역 주변의 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계획

관계 법령을 따름

 

구분 학교명 이격거리 교육환경보호구역 해당여부(200m 이내)
교육
환경
현황
유치원 송림초교 병설유치원 400m x
초등학교 창영초등학교 10m O
영화초등학교 50m O
송림초등학교 400m x
동명초등학교 480m x
중학교 광성중학교 280m x
고등학교 영화관광경영고등학교 10m O
인천정보산업고등학교 260m x
광성고등학교 280m x
교육환경보호에 관한 계획 정비구역 주변의 교육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함.

10) 정비구역을 분할하거나 결합하여 시행하는 경우 분할 또는 결합에 관한 계획(해당사항 없음)

11) 정비구역 및 주변지역의 주택수급에 관한 사항(해당사항 없음)

12) 세입자 주거대책(해당사항 없음)

13) 안전 및 범죄예방에 관한 사항

구분 계획내용
자연감시 보행을 통한 자연감시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노후 보안등을 교체하고, 조도부족 지역에 보안등을 신설하여 조도개선 추진
골목 시야확보를 위한 반사경설치, 골목길 특화사업 등을 통해 보행을 활성화 시켜 자연감시 가능성 확보
영역성 강화 골목길 특화사업 추진 시, 쇠뿔마을에 특화된 디자인을 도입해 활기찬 분위기를 조성하여 범죄 심리 위축 유도
보차혼용도로에 보행자 영역성을 강조하여 교통사고 예방
유지관리 설치된 시설물이나 공공장소를 통한 안전사항들에 대한 주민교육을 실시하고 마을공동체와 연계한 유지관리 방안 마련
방범용
CCTV설치
기존 설치 된 CCTV 시야각의 사각지대와 방범유발 지역에 CCTV를 신설하여 감시 효율성 극대화하는 범죄예방환경 조성
커뮤니티
시설조성
지역공동체 활동을 위한 공동이용시설이 방범거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조성

 

14) 가구 또는 획지에 관한 계획(해당사항 없음)

15) 정비사업의 시행에 관한 계획

 

시행방법 시행예정시기 사업시행예정자
주거환경
개선사업
정비기반시설 및 공동이용시설의
설치 또는 확대
구역지정(변경)
고시일로부터 3년 이내
인천광역시
동구청장
주민 자체적으로
주택 보전정비개량
계획수립 이후 토지 등 소유자

16) 주민의 소득원 개발에 관한 사항

 

유형 프로그램 역할
공동체 활동 돌봄교실 운영 지역사회 주민 모두가 연대하고 협력하여 돌봄교실 마을기업 운영
주요활동으로는 지역주민의 재능기부 방식으로 마을교사를 채용하여 다양한 체험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독서활동, 돌봄 등 운영함
돌봄교실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지역인프라, 인적자원, 학교와의 연계, 지자체 지원, 공동체 문화 등이 조화를 이루어 네트워크가 잘 형성되어야 함
창업초기생을 위한 인큐베이터 제공 인큐베이터에서는 주로 사무실 공간 및 설비를 제공하고 창업초기에서 보통 자생력을 갖출 때까지 저렴한 가격에 사무실 공간을 임대해주면서 사업에 필요한 행정절차 및 멘토링, 투자자와 교류 기회 등을 제공함
마을 관리 위탁 노인
돌봄 서비스
방문건강관리, 방문의료 생활지원, 돌봄지원 등을 통한 마을공동체 형성과 복지혜택제공을 통해 마을 내 사회적 환경을 개선
공공시설물 관리 주민쉼터, 주차장, 화단, 조경 등 관리
공동이용
시설 운영
마을기업 사무실운영 마을기업 사무실로서 각 사업구상 및 주민회의, 역량강화 교육등을 진행
마을 카페 운영 바리스타·제과·제빵 교육을 실시하여 주민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쇠뿔고개마을만의 개성있는 카페를 조성하여 주민간의 결합력 강화 및 수익사업에 중요 역할을 하고자 함.
다목적실 관리 지역주민 대상 다목적실 공간 대여(모임 등)
중간지원
조직 연계
노인일자리 운영 노인 인력개발센터를 통해 노인일자리 연계

세부 프로그램은 사업 실행 시 주민협의체 의사에 따라 결정

 

 

17) 무상 양여된 국·공유지의 사용·처분에 관한 사항(해당사항 없음)

18) 기존 수목의 현황 및 활용계획(해당사항 없음)

19) 환지계획(해당사항 없음)

20) 지역특성, 골목길 등 지역자원 발굴 및 관계성 회복을 위한 주민공동체 활성화 방안

 

구분 내용
기존 주민 공동체의 연속성 유지 신축되는 주민커뮤니티센터을 활용하여 주민들의 모임 장소 및 기회를 제공하여 마을공동체 회복 도모하고 기존 주민모임을 중심으로 주민소통 거점의 역할을 수행
다양한 교육 및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인근 행정복지센터, 사회복지관과 연계하여 프로그램 운영
- 문화예술복지 프로그램 운영
- 취미교실 프로그램 운영
주민협의체 회의를 더욱 많은 주민들이 참여하고 모든 주민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독려하여 지속적인 마을공동체가 될 수 있도록 유도
주민의
자발적 참여 유도
쇠뿔고개마을 SNS운영을 통한 마을 소통 활성화
- 주민협의체가 직접 운영하며 주민협의체 회의내용, 참여안내 등의 내용 게시
- 쇠뿔고개마을 SNS(카페, 밴드 등) 운영을 통해 참여가 힘든 주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주민의견 소통 창구 마련
주민커뮤니티센터를 활용하여 주민소모임을 지원해 마을 내 지속적으로 활동할 주민, 공동체 발굴
주민참여형 프로그램 제공
- 주민커뮤니티센터에서 진행 가능한 참여형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도시재생사업 참여 유도
지역공동체 역량강화 의제발굴을 통해 도출된 아이템을 토대로 계획을 수립하여 이와 관련한 컨설팅 및 역량교육을 통하여 마을 특성과 유사한 선진사례 조사 및 탐방을 통해 앞으로의 마을현안 방안 모색
역량강화 교육
- 주민역량에 맞추어 사업추진 과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교육, 이후 직접 관심분야를 선택하여 주민제안 공동체 사업을 진행하며 주민협의체를 스스로 운영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기름
자생적 운영위한 마을관리 협동조합 및 마을기업 육성 역량강화를 통해 자생할 수 있는 마을운영관리 조직 육성
마을관리 공동체 중심의 지역주민 고용
마을기업 창업
- 지역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을 통해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여 이익을 효과적으로 실현
지역자원을 활용한 마을 활성화 구상
주민제안 공동체사업 운영(마을일자리)

세부 프로그램은 사업 실행 시 주민협의체 의사에 따라 결정

 

. 관계도서는 인천광역시 주거재생과(032-440-3477) 인천광역시 동구 도시정비과(032-770-6672)에 관계서류를 비치하고 열람하고 있습니다. (관련도면 게재 생략)

 

출처 : 인천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