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12. 10월 주택건설실적 전년동월대비 모두 감소 본문

▶ 부동산정보/┃-·┃┓_ 부동산 정책

‘12. 10월 주택건설실적 전년동월대비 모두 감소

귀인 청솔 2012. 11. 26. 10:19

‘12. 10월 주택건설실적 전년동월대비 모두 감소

- ‘12.1~10월 누계 주택건설실적은 여전히 전년동기 보다는 높은 수준

 

출처 : 국토해양부

 

◈ (인허가) 10월중 37천호로 9월 실적(52천호)에 비해 29.3% 감소, 전년동월(60천호)대비로도 38.5% 감소 

◈ (착공) 10월중 41천호로 9월 실적(47천호)에 비해 14.1% 감소, 전년동월(58천호)대비로도 29.8% 감소 

◈ (분양) 10월중 29천호로 전월과는 동일한 수준이나, 전년동월(48천호)대비로는 40.4% 감소 

 ◈ (준공) 10월중 34천호로 전월(32천호)대비 6.0% 증가했으나, 전년동월(47천호)대비로는 27.8% 감소

  ㅇ 향후 3개월(‘12.12~’13.2)간 입주예정 아파트 물량은 총 48천호 
 

  < 월별 주택 건설․공급 추이(호수, 전년동기(동월)비(%) >

구 분

2011

2012

10

110

9

10

110

인허가

549,594

60,027

359,279

52,216(18.0%)

36,908(38.5%)

410,301(14.2%)

착 공

424,269

58,082

305,568

47,467(48.5%)

40,752(29.8%)

388,220(27.0%)

분 양

284,923

48,172

233,530

28,726(18.0%)

28,730(40.4%)

253,056(8.4%)

준 공

338,813

47,243

266,893

32,184(25.8%)

34,107(27.8%)

296,418(11.1%)


◈ 금년 상반기에는 지방 아파트, 수도권 도시형생활주택 증가 등의 영향으로 작년에 비해 인허가 물량이 크게 늘었으나, 향후에는 주택경기 침체 영향으로 주택건설실적이 둔화될 전망 

  ㅇ 금년 인허가 물량은 하반기 침체에도 불구, 상반기 물량 급증 등을 고려시 전년(55만호) 수준과 유사할 것으로 추정



 1. 인허가 실적


 금년 10월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은 전국 36,908호(수도권 16,992호, 지방 19,916호)로 전월대비 29.3%, 전년동월대비 38.5% 각각 감소하였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경기ㆍ인천 실적감소로 전년동월대비 43.9% 감소하였으며, 지방도 3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유형‧사업주체‧규모별 인허가 실적은 <붙임1> 참고
  ** 변경 인허가로 인한 세대수 감소분 반영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2,644호(전체물량의 61.4%)로 전년동월대비 45.9% 감소, 아파트외 주택은 14,264호로 21.6% 감소하였다.

  주체별로는, 공공은 5,696호로 전년동월대비 51.5% 감소, 민간은 31,212호로 전년동월대비 35.4% 감소하였다.

  한편, 도시형생활주택은 전국 9,886호가 인허가 되어, 전년동월(9,079호) 대비 8.9% 증가하였고, 전월(9,868호)대비로는 0.2% 증가하였다.


  * 인허가실적 :(’12.5)11,774→(6)10,977→(7)10,257→(8)9,463→(9)9,868→(10)9,886


 

  * 아파트 외 : 단독․다가구․연립․다세대 등

 


 2. 착공 실적 

 금년 10월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40,752호(수도권 19,746호, 지방 21,006호)로서, 전월대비 14.1%, 전년동월대비 29.8% 각각 감소하였다.


 

 

 
 

  * 착공은 2011년부터 통계자료 생산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전년동월대비 26.3% 감소하였으며, 지방도 32.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유형‧사업주체‧규모별 착공실적은 < 붙임3 > 참고


  유형별로는, 아파트는 27,378호로 전년동월대비 34.7% 감소, 아파트외 주택은 13,374호로 전년동월대비 17.3% 감소하였다.

  주체별로는, 공공 8,344호, 민간 32,408호가 착공된 것으로 집계되어, 전년동월대비 각각 51.5%, 20.7% 감소하였다.


 

 



 3. 분양(승인) 실적


 금년 10월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전국 28,730호(수도권 9,625호, 지방 19,105호)로 전월과 동일한 수준이나, 전년동월대비 40.4% 감소하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전년동월대비 35.2%, 지방은 42.7%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유형‧사업주체‧규모별 인허가 실적은 < 붙임4 > 참고


  유형별로는, 분양 22,768호, 임대 3,999호, 조합 1,963호로 집계되어, 각각 38.4%, 53.4%, 24.7% 감소하였다. 

  주체별로는 공공 6,893호로 전년동월대비 47.4% 감소하였으며, 민간은 21,837호로 전년동월대비 37.7% 감소하였다.
 

 



 4. 준공 실적


 금년 10월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34,107호(수도권 23,505호, 지방 10,602호)로서, 전월대비 6.0% 증가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로는 27.8% 감소하였다.
 

 

 
 

  * 준공통계는 2011년부터 생산


  지역별로는 전년동월대비 수도권 18.0% 감소, 지방 4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유형‧사업주체‧규모별 준공 실적은 < 붙임3 > 참고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0,812호로 전년동월대비 39.9% 감소하였으나, 아파트 외 주택은 13,295호로 전년동월대비 5.4% 증가하였다.

  주체별로는 공공 3,013호로 전년동월대비 83.4% 감소하였으나, 민간 31,094호로 전년동월대비 7.0% 증가하였다.


 

 



 5. 입주예정(‘12.12~‘13.2월) 아파트


 전국 입주예정 아파트는 총 48,049호로 집계 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32,539호(서울 5,362호), 지방 15,510호로 각각 조사되었다 


 월별로는 ’12.12월에 31,320호, ‘13.1월 7,112호, ‘13.2월 9,617호가 각각 입주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 LH, SH 등 공공사업자와 주택협회의 확인을 거쳐 집계한 것으로, 개별사업장의 사정에 따라 입주시기․물량 등이 일부 변경될 수 있음



 주택 규모별로는 60㎡이하 15,894호, 60~85㎡ 23,239호, 85㎡초과 8,916호로서, 85㎡ 이하 중소형 주택이 81.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체별로는 공공 14,256호, 민간 33,793호로 각각 집계되었다.


 

 

 
 

 
 



 아파트 입주단지에 대한 세부정보는 전월세 지원센터 홈페이지 (jeonse.lh.or.kr )
 

 


  [붙임1] ’12.10월 주택 건설 인허가 실적 

  [붙임2] ’12.10월 지역별 주택 건설 인허가 실적

  [붙임3] ’12.10월 주택 착공, 준공실적

  [붙임4] ’12.10월 분양(승인)실적 및 11월 계획

  [붙임5] ’12.12월~‘13.2월 입주예정 아파트

  [붙임6] 공공부문 입주예정 단지별 세부내용

  [붙임7] ’12.10월 도시형생활주택 인허가 실적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