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기술창업’ 증가세 지속 및 ‘도·소매업’ 소폭 증가 본문

▶ 부동산정보/√ 부동산 경제

‘기술창업’ 증가세 지속 및 ‘도·소매업’ 소폭 증가

귀인 청솔 2022. 5. 26. 16:48

기술창업증가세 지속 및 ·소매업소폭 증가

- 202213월 창업기업 동향 -

’22.13(누계) 창업은 전년동기대비 0.1%(162) 증가(부동산업 제외 시)

 

온라인비대면화로 정보통신업, 교육서비스업 등에서 창업이 증가하면서 기술창업6.2만개 돌파(지난해 대비 3.8% 증가)

 

·소매업개인서비스업은 작년에 이어 증가세 유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 이하 중기부)20221/4분기(1~3) 창업기업 동향을 발표하며, 해당 기간 전체 창업 348,732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전체 창업은 전년동기대비 3.4%(12,114) 감소*했으나, ‘20년도 이후 사업자등록이 급증한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0.1%(162) 증가**하였다.

 

* 13월 창업기업() : (’19) 321,748 (’20) 462,991 (’21) 360,846 (’22) 348,732

** 13 부동산업 제외 창업기업() : (’19) 257,245 (’20) 257,869 (’21) 282,097(’22) 282,259

 

특히, 온라인비대면화로 인해 정보통신업(9.6%), 교육서비스업(8.5%) 등에서 창업이 증가하면서 기술기반업종 창업*(이하 기술창업’)1/4분기(누적) 기준 6.2만개를 돌파하였다.

 

* 13월 기술창업 수() : (’19) 58,694 (’20) 58,892 (’21) 61,882 (’22) 62,399

 

기술기반업종(OECD, EU 기준) : 제조업 + 지식기반 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사업지원서비스, 교육서비스, 보건·사회복지, 창작·예술·여가서비스)
전체창업 추이 부동산업 제외 창업 추이 기술창업 추이



* 점선은 추세선

 

업종별 동향

 

·소매업 온라인쇼핑 활성화 등에 힘입어 이번 분기도 0.7%가 증가하는 등 지속 증가하고 있다. 다만, ‘21년도 1/4분기 대폭 증가(‘201분기 대비 ‘211분기 26.3%)한 기저효과로 상승률은 크게 줄었다.

 

개인서비스업은 ’21년부터 증가세(‘201분기 대비 ‘211분기 4.1%) 전환되었고, 이번 분기도 전년동기대비 2.2% 증가하는 등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다.

 

반면, 부동산업은 전전년도(’2013) 창업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로 전년도에 이어 이번 분기도 전년동기대비 창업이 15.6% 감소하였다.

 

<부동산 창업 현황 및 증감율(누계)>

 

기간 부동산업 창업()  전년동기대비
증감 증감율(%)
’19.13 64,503    
’20.13 205,122 140,619 218.0%
’21.13 78,749 126,373 61.6%
’22.13 66,473 12,276 15.6%

 

숙박·음식점업은 올해 1분기 5.4% 감소하여 작년 동기대비(‘201분기 대비 ‘211분기 14.0%) 감소폭이 크게 줄었다.

 

< 업종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 %)
구분 전체 창업
·소매 숙박·음식점 개인서비스 부동산업 기타 기술창업
’21.13 360,846 115,188 34,906 14,497 78,749 55,624 61,882
’22.13 348,732 116,050 33,020 14,817 66,473 55,973 62,399
(3.4) (0.7) (5.4) (2.2) (15.6) (0.6) (0.8)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기술창업 소프트웨어개발공급업 등을 중심으로 한 정보통신업(9.6%) 교육서비스(8.5%)이 창업 증가를 주도하며 전년동기대비 0.8%(517) 증가하는 등 작년 크게 증가(4.7%)한 이후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기술창업 중 사업지원서비스업과 제조업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8.7%, 7.4% 감소하였다.

 

< 기술창업 업종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 %)
구분 기술창업
제조업 정보통신 전문·
과학·기술
사업지원 교육 보건·
사회복지
창작·
예술·여가
’21.13 61,882 12,736 10,758 16,214 7,812 11,218 1,323 1,821
’22.13 62,399 11,799 11,793 16,067 7,135 12,175 1,392 2,038
(0.8) (7.4) (9.6) (0.9) (8.7) (8.5) (5.2) (11.9)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연령별 동향

 

전체 창업30대를 제외모든 연령대에서 감소하였으며, 기술창업 경우에는 30대와 40대 연령대에서 증가하였다.

 

* ’2213(누계) 연령별 부동산업 창업 증감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1 (30) 0.1 (40) 14.4 (50) 18.5 (60세이상) 23.9

 

< 연령별 창업 수 및 증감률 >

(단위 : , %)

구 분 청년층(39세 이하) 40 50 60세 이상
30세 미만 30 소계
전체 창업 ’21.13 46,086 82,171 128,257 96,024 83,047 53,031
’22.13 42,947 83,433 126,380 94,512 77,755 49,387
(6.8) (1.5) (1.5) (1.6) (6.4) (6.9)
부동산업 제외 ’21.13 42,779 72,046 114,825 74,818 58,600 33,477
’22.13 39,676 73,323 112,999 76,370 57,835 34,498
(7.3) (1.8) (1.6) (2.1) (1.3) (3.0)

기술창업 ’21.13 6,784 15,653 22,437 19,633 13,593 6,147
’22.13 6,612 16,485 23,097 19,941 13,271 6,005
(2.5) (5.3) (2.9) (1.6) (2.4) (2.3)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조직형태별 동향

 

법인창업*은 전년동기대비 2.5%(771) 증가하였고, 개인창업**3.9%(12,885) 감소하였다.

 

* 13법인 창업기업() : (’19) 27,231 (’20) 33,972 (’21) 31,070 (’22) 31,841

** 13개인 창업기업() : (’19) 294,517 (’20) 429,019 (’21) 329,776 (’22) 316,891

 

다만,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법인창업은 전년동기대비 0.1%(24) 감소하였고, 개인창업0.1%(1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3 부동산업 제외 법인창업() : (’19) 24,019 (’20) 27,789 (’21) 27,043 (’22) 27,019

** 13 부동산업 제외 개인창업() : (’19) 233,226 (’20) 230,080 (’21) 255,054 (’22) 255,240

 

법인창업금융보험업(23.0%), 전문·과학·기술업(20.1%), 부동산업(19.7%) 등의 업종에서 증가했지만, 건설업(17.9%), 개인서비스업(9.0%), ·소매업(6.6%) 등의 업종에서 감소하였다.

 

개인창업··어업 및 광업(19.0%), 정보통신업(9.3%), ·창고업(9.0%) 등 업종에서 증가했지만, 부동산업(17.5%), 사업시설관리(7.2%), 숙박·음식점업(5.7%) 업종에서 감소하였다.

 

기술창업의 경우는 법인 6.7%(772) 증가하였고, 개인 0.5%(255) 감소하였다.

 

* 13 법인 기술창업() : (’19) 10,556 (’20) 12,131 (’21) 11,442 (’22) 12,214

** 13 개인 기술창업() : (’19) 48,138 (’20) 46,761 (’21) 50,440 (’22) 50,185

 

지역별 동향

 

지역별로는 충남(7.9%), 제주(0.4%), 인천(0.2%)지역은 창업이 증가하였고, 서울(8.9%), 대전(7.1%) 등 나머지 지역에서 감소하였다.

 

다만, 부동산업을 제외 시 세종(7.3%), 인천(6.6%), 경기(2.3%), 강원(2.0%), 부산(1.0%), 광주(1.0%), 경북(0.9%), 제주(0.7%) 지역(8)에서 증가했으나,

 

서울(4.1%), 대전(2.8%), 충남(2.6%), 울산(2.2%), 전남(1.4%), 경남(1.2%), 전북(1.1%), 충북(0.3%) 지역(8)에서는 감소였다.

 

< ’2213(누계) 지역별 창업 증가율 >

(%, 전년동기대비)
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전체 8.9 4.2 2.9 0.2 3.2 7.1 8.1 2.0 2.4
부동산업 제외 4.1 1.0 0.0 6.6 1.0 2.8 2.2 2.3 2.0
지역 충북 충남 세종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국
전체 1.8 7.9 4.6 2.5 5.3 1.5 2.1 0.4 3.4
부동산업 제외 0.3 2.6 7.3 1.1 1.4 0.9 1.2 0.7 0.1

 

본 통계 이용 시 유의사항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될 수 있음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등

 

참고1
2213월 창업기업 동향 주요 업종별 증감 분석

 

(1) 증가 업종

 

(··어업) 귀농인구 증가, 산업 첨단화(스마트팜 등), 낚시산업 수산가공식품 성장 등에 힘입어 농어업창업 증가

 

(월별동향) ‘221분기 농··어업 창업은 전년도(‘21) 하반기 성장세가 이어져 두 자릿수의 증가 기록

(단위 : , %)
구분 ‘21 ‘22.1~3(누계, 1/4분기)
1/4 2/4 3/4 4/4
1 2 3 1/4
··어업 3,638 3,392 3,286 3,548 13,864 1,372 1,255 1,481 4,108
(4.1) (1.4) (8.8) (13.3) (6.7) (2.5) (18.3) (19.6) (12.9)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세부업종별) 농업은 채소작물재배업, 과실작물재배업, 화훼작물재배업을 중심으로 증가하였으며, 어업은 연근해어업의 창업이 활발

 

- ‘16년부터 감소하던 귀농인 수가 코로나19에 따른 경제활동 제한 등의 영향으로 ’20년부터 다시 증가세로 전환되면서 농업 창업에 긍정적으로 작용

 

* 귀농인구 (, %) :

(’15) 12,114 (’16) 13,019 (’17) 12,763 (’18) 12,055 (’19) 11,504 (’20) 12,570

 

- 딸기·토마토 등과 같이 시설재배에 적합한 채소 품목을 선택하는 귀농인이 많음

 

* 스마트 팜 등의 첨단시설화를 추구하는 정부 정책에 따라 젊은 층에서 채소류 중심의 스마트 팜을 도입 의향이 높음

 

- 화훼 산업은 행사용 화훼 소비 감소로 산업이 위축되었지만, 반려식물 확산 등으로 최근 화훼류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화훼산업의 창업이 증가

 

- 낚시산업 규모 확대, 수산가공식품 개발과 다양한 수산물 소비 수요 증가 등으로 어업 창업에 긍정적으로 작용

 

(연령별) 40대 이상을 중심으로 창업 증가

 

* ’221분기 연령별 농··어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1 (30) 3.2 (40) 14.5 (50) 10.6 (60세이상) 22.1

 

(조직형태별) 개인은 증가한 반면, 법인은 감소

 

* ’221분기 농··어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0.1 (개인) 18.8

 

(·소매업) 온라인쇼핑의 활성화 지속 등으로 전자상거래 등 비대면 통신판매업 업종의 증가세가 ‘19년부터 견조하게 지속되고 있으나 최근 증가폭 크게 둔화

 

(월별동향) ’221분기 도·소매업 창업은 전년도 두 자릿수 증가세 이후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증가폭은 크게 둔화

(단위 : , %)
구분 ‘21 ‘22.1~3(누계, 1/4분기)
1/4 2/4 3/4 4/4
1 2 3 1/4
·소매업 115,188 105,733 102,095 102,430 425,446 37,245 36,610 42,195 116,050
(26.3) (10.6) (1.2) (0.0) (9.1) (5.6) (9.5) (0.3) (0.7)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세부업종별) 도매업은 감소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소매업, 그중 통신판매업은 지속적으로 증가

 

- 통신판매업 중 전자상거래 소매 중개업을 중심으로 증가

 

- 온라인쇼핑 창업은 기존 오프라인 소매에 비하여 창업 절차 등이 용이하여 ‘21년 상반기까지 중개플랫폼 영향으로 양호하게 성장

 

- ’21년 하반기부터 시장포화 등으로 소폭 증가

 

* (온라인쇼핑협회 ‘22년 전망) 본격적인 포스트 코로나 시기로 접어들면서 ’20~‘21 대비 큰 폭의 성장세를 보여주지는 못할 것

** 1분기 온라인쇼핑 거래액(조원) : (’20) 36.3 (’21) 43.9 (’22) 49.1

*** 1분기 온라인쇼핑매출 증감률(전년대비, %) : (’20) 12.0(’21) 21.1(‘22) 11.8

 

(연령별) 40, 60세 이상에서 도·소매업 증가를 주도하는 가운데 30세 미만제외하고 대부분 연령대에서 신규 창업 활발

 

* ’221분기 연령별 도·소매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1.1 (30) 1.4 (40) 5.4 (50) 2.6 (60세이상) 9.5

 

(조직형태별) 법인 창업은 감소하였으나 개인증가

 

* ’221분기 도·소매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6.6 (개인) 1.3

 

(운수·창고업) 배달업 확대플랫폼기반 운송업이 증가하면서 소화물운송업, 도로화물운송업 등의 창업 활발

 

(월별동향) 지난해 양호한 증가세가 ‘221분기에도 지속

(단위 : , %)
구분 ‘21 ‘22.1~3(누계, 1/4분기)
1/4 2/4 3/4 4/4
1 2 3 1/4
운수·
창고업
16,435 17,520 15,833 16,935 66,723 5,525 5,195 7,169 17,889
(1.9) (19.7) (4.8) (8.6) (8.6) (3.0) (17.0) (8.1) (8.8)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세부업종별) 육상운송·파이프라인운송업이 증가하였으며, 그 중 도로화물운송업, 소화물전문운송업이 크게 증가

 

- 도로화물운송업은 용달화물자동차운송업, 개별화물자동차운송업, 소화물전문운송업은 택배업, 늘찬배달업이 증가

 

- 세계적인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상승과 생활물류 수요 증가로 운송업(개별화물 및 늘찬배달업)의 창업 증가를 견인

 

- 오미크론의 치명율이 낮게 나타남에 따른 방역해제국 증가, 글로벌 물동량 증가 등은 운송업 창업에 긍정적으로 작용

 

* ‘221~3월 수출 : 1,729억불(전년동기대비 18.1%)(한국무역협회)

** ‘221~3월 수입 : 1,769억불(전년동기대비 29.5%)(한국무역협회)

 

- 비대면 소비가 늘면서 택배화물도 함께 지속 성장(한국교통연구원, 물류산업 전망, 2021)

 

* 택배물동량: (’20) 337,000만개 (’21) 362,967만개(전년대비 7.6%)

** 택배매출액: (’20) 74,900억원 (’21) 85,887억원(전년대비 14.6%)

 

(연령별) 전 연령대에서 신규창업이 활발

 

* ’221분기 연령별 운수·창고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3.9 (30) 14.6 (40) 8.2 (50) 0.5 (60세이상) 15.3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증가

 

* ’221분기 운수·창고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5.1 (개인) 9.0

 

(정보통신업) 디지털 전환, K-콘텐츠 급부상 등으로 영상 및 ICT(정보통신기술) 기반 투자증가하면서 소프트웨어개발·공급, 영화비디오물방송 프로그램 제작 등이 활발

 

(월별동향) 코로나19 여파가 긍정적으로 작용한 업종으로 전년에 이어 두 자릿수로 창업이 증가하는 추세

(단위 : , %)
구분 ‘21 ‘22.1~3(누계, 1/4분기)
1/4 2/4 3/4 4/4
1 2 3 1/4
정보
통신업
10,758 11,686 11,796 11,338 45,578 4,058 3,790 3,945 11,793
(31.8) (27.1) (20.5) (18.0) (24.0) (12.9) (21.7) (2.6) (9.6)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세부업종별) 소프트웨어개발·공급업*, 영화·비디오제작·배급업(영화, 비디오, 방송프로그램 등)이 증가

 

* 교육·기업관리·물류관리·의료·회계 등 특정한 업무 처리를 위한 응용소프트웨어와 스마트폰앱 등 모바일용 응용소프트웨어 등을 개발·공급하는 활동

 

- 4차 산업혁명, 메타버스(Metaverse) 등 산업의 디지털 전환 수요 증가에 따른 기업의 IT인프라 투자확대가 진행되면서 창업 활발

 

- 코로나19 전염병의 전 세계적 유행 때만큼 소프트웨어업 활황이 다시 발생하지는 않겠지만, 추세적인 상승은 지속 전망(소프트웨어정책연구원)

 

코로나19 전염병 전 세계적 유행 이전부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디지털 전환 수요는 장기적 증가 추세에 있었고, 코로나19에 의하여 전환 속도가 더 빨라진 것임

 

< 코로나19 전 세계 유행과 디지털 전환 >

* 출처 : 금융위원회 2020.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금융 종합혁신방안

 

- 넷플릭스 등 OTT서비스 시장 확대에 따른 투자 증가 등으로 국내 영상·비디오제작·배급업 관련 산업의 창업이 활발(영화진흥위원회)

 

(연령별) 30세미만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신규창업 활발

 

* ’221분기 연령별 정보통신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0.9 (30) 16.1 (40) 7.8 (50) 12.5 (60세이상) 8.5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양호한 증가율 기록

 

* ’221분기 정보통신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0.8 (개인) 9.3

 

(교육 서비스업) 코로나19 감염병 리스크(중증화) 감소 등의 영향으로 스포츠, 미술, 음악 학원의 창업 증가

 

(월별동향) 지난해 상반기 감소에서 하반기 증가로 전환되면서 ‘221분기 역시 증가세를 유지

(단위 : , %)
구분 ‘21 ‘22.1~3(누계, 1/4분기)
1/4 2/4 3/4 4/4
1 2 3 1/4
교육
서비스업
11,218 9,692 9,285 10,598 40,793 4,119 3,877 4,179 12,175
(2.2) (1.1) (7.5) (15.9) (4.4) (13.5) (6.2) (6.1) (8.5)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세부업종별) 기타 교육기관(학원)이 증가하였으며, 그중 스포츠 및 레크레이션 교육기관, 예술학원이 증가

 

- 스포츠 및 레크레이션 교육기관은 기타 스포츠 교육기관, 예술학원은 미술학원, 음학학원을 중심으로 증가

 

- 비대면으로 가능한 일반교과학원과 달리 대면 서비스인 스포츠·예술학원 증가는 방역지침 완화가 창업에 긍정적으로 작용

 

(연령별) 50를 제외한 대부분 연령대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30세 미만 신규창업이 활발

 

* ’221분기 교육서비스업 연령별 정보통신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28.4 (30) 14.7 (40) 4.4 (50) 2.4 (60세이상) 3.1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증가

 

* ’221분기 교육서비스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7.9 (개인) 8.6

 

(예술·스포츠·여가) 코로나19 감염병 리스크(중증화) 감소 등으로 공연, 스포츠 레저 중심으로 관련 창업이 활발

 

(월별동향) ‘221분기 창업은 ‘214분기에 이어 증가

(단위 : , %)
구분 ‘21 ‘22.1~3(누계, 1/4분기)
1/4 2/4 3/4 4/4
1 2 3 1/4
예술·
스포츠·여가
5,961 7,266 6,051 7,298 26,576 2,090 1,885 2,385 6,360
(16.1) (5.5) (16.8) (10.0) (4.8) (8.6) (0.8) (11.7) (6.7)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세부업종별) 창작 및 예술관련 서비스업 공연단체, 자영예술가 등을 중심으로 증가

 

- 반면 오락장운영업 전자게임장, 기타 오락장 운영업독서실운영업 등은 감소세 지속

 

- 공연, 스포츠 레저 중심으로 여가 수요가 확대되면서 해당 업종에 대한 소비지출이 증가

 

< ‘221분기 공연 시장 현황 >


‘20 ‘21 ‘22 ‘20년 대비증감률 ‘21년 대비증감률
공연건수() 1,111 1,254 2,296 107% 83%
공연회차() 15,576 9,036 16,711 7% 85%
티켓예매수() 1,712,207 849,330 2,185,637 28% 157%
티켓판매액(백만원) 71,681 41,769 107,476 50% 157%
자료: KOPIS 공연예술 통합전산망

 

- 스포츠센터/레포츠 클럽, 수영장, 수련원/체험장 등의 소비지출액이 증가

 

실내외골프장 경우 MZ세대 유입으로 사계절 스포츠화되면서 1~3월 비수기에도 전체 매출액이 증대 및 코로나19 이후 골프 대중화로 골프 인구도 증가함

 

 

< ‘221분기 스포츠레저 소비 지출 현황 (억원, %) >


‘20 ‘21 ‘22 ‘20년 대비증감률 ‘21년 대비증감률
스포츠센터/레포츠클럽 8,059 9,460 13,246 64% 40%
실외골프장 6,692 9,353 10,071 50% 8%
실내골프장 2,613 2,882 3,365 29% 17%
수영장 291 265 408 40% 54%
당구장 1,132 742 806 -29% 9%
수련원/체험장 254 255 342 35% 34%
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22.4) 관광레저소비지출동향

 

- 다만, 전자게임장, 독서실운영업 등 밀폐공간에서의 집단 활동이 요구되는 업종은 감소세 지속

 

(연령별) 4060세이상을 제외하고 대부분 연령대에서 창업 증가

 

* ’221분기 연령별 예술·스포츠·여가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0.6 (30) 13.2 (40) 1.0 (50) 9.7 (60세이상) 0.8

 

(조직형태별) 법인 및 개인 창업 모두 증가 기록

 

* ’221분기 예술·스포츠·여가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23.5 (개인) 6.0

 

(2) 감소 업종

 

(제조업) 코로나19 영향 불확실성이 일정부분 해소(백신공급확대, 수출반등) 되는 가운데, -러 전쟁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국내외적인 경영환경 불안요인 확산으로 제조업 감소세 확대

 

(월별동향) ‘21년 제조업 생산과 수출이 크게 확대되고 있지만 우-러 전쟁의 불안요인이 확대되면서 제조업 창업 감소폭이 확대

 

* 제조업 생산/전체수출 증가율 (%) : (’20) 4.8/1.9 (‘21) 4.9/12.5 (’22) 4.7/18.0

 

(단위 : , %)
구분 ‘21 ‘22.1~3(누계, 1/4분기)
1/4 2/4 3/4 4/4
1 2 3 1/4
제조업 12,736 12,238 11,690 11,325 47,989 4,395 3,457 3,947 11,799
(1.8) (1.5) (10.0) (1.8) (3.9) (7.6) (2.2) (11.2) (7.4)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세부업종별) 의복·의복액세서리·모피제조, 비금속광물제품, 기타운송장비 증가했으며, 음식료품, 섬유제품, 화학물질·제품,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1차금속제품, 금속가공제품, 자동차·트레일러 등은 감소

 

- 섬유제품은 마스크 등 방역용품의 국내외 소비 감소, 과잉공급 및 채산성 악화 등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여 창업이 감소

 

- 마스크 과잉공급 및 판매부진 등의 영향으로 섬유제품제조업 중 기타 직물제품 제조업이 감소

 

- ‘221분기 제조업은 우-러 전쟁에 따른 원자재 가격상승, 금리상승 등의 영향이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창업 감소세가 확대

 

(연령별) 연령대에서 창업이 감소

 

* ’221분기 연령별 제조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8.2 (30) 11.4 (40) 5.7 (50) 6.8 (60세이상) 6.3

 

(조직형태별) 개인 및 법인 모두 창업이 감소

 

* ’221분기 제조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7.6 (개인) 7.3

 

(전기·가스·공기) 최근 23년간 소규모 발전에서 대규모 발전으로 사업형태가 변화되면서 창업 수는 많지 않음

 

(월별동향) 전년의 감소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감소폭은 다소 확대

 

(단위 : , %)
구분 ‘21 ‘22.1~3(누계, 1/4분기)
1/4 2/4 3/4 4/4
1 2 3 1/4
전기·
가스·공기
5,702 5,550 6,007 6,887 24,146 1,702 1,528 1,908 5,138
(0.5) (11.1) (15.2) (2.7) (7.6) (12.0) (9.5) (8.2) (9.9)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세부업종별) 전기업 태양력발전업을 중심으로 감소

 

- 전기·가스·공기조절업의 경우 태양력발전업이 약 99%를 차지

 

- 장기공급계약, 금융조달, 투자 경제성, 인허가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대규모 투자가 가능한 기업을 중심으로 성장하여 창업 수가 감소

 

- 초기 다수 기업이 진입하였으나, 최근 태양광 시공·공사 기업이 감소하고 있고 그중 전문성을 보유한 기업들만 생존하고 있음

 

(연령별) 전 연령대에서 감소했으며 특히 30세만에서 크게 감소

 

* ’221분기 연령별 전기·가스·공기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33.1 (30) 13.0 (40) 6.8 (50) 14.2 (60세이상) 5.1

 

(조직형태별) 인 및 개인 창업 모두 감소 기록

 

* ’221분기 전기·가스·공기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2.2 (개인) 10.1

 

(건설업) 연초 발주감소, 중대재해처벌법, 종합-전문업종 간 업역규제 폐지 등의 영향으로 ’221분기 창업은 감소로 전환

 

(월별동향) ‘21년 일시적으로 증가하였지만 ’211분기는 감소로 전환

(단위 : , %)
구분 ‘21 ‘22.1~3(누계, 1/4분기)
1/4 2/4 3/4 4/4
1 2 3 1/4
건설업 19,886 18,577 16,759 16,267 71,489 6,483 5,875 6,432 18,790
(11.9) (14.1) (3.7) (0.8) (7.7) (4.3) (1.8) (12.4) (5.5)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세부업종별) 종합건설업, 전문직별공사업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건물 건설업, 실내건축 및 건축마무리공사업 등이 감소

 

- 이번 분기는 건설업 생산체계 개편이 시장에 적용 완료됨으로서 창업이 늘어나는 전년(’21)의 특수한 상황이 해소되면서 감소로 전환

 

- 또한 ‘221분기 우-러 전쟁에 따른 자재 및 연료 가격 급등이 건설경기에 부정적으로 반영되면서 창업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음

 

(연령별) 연령대에서 감소했으며 특히 40~50대 중심으로 감소

 

* ’221분기 연령별 건설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9 (30) 4.9 (40) 5.9 (50) 8.3 (60세이상) 1.0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감소 기록

 

* ’221분기 건설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7.9 (개인) 3.0

 

(숙박·음식점업) 코로나19에 따른 영업규제 강화, 식재료 가격 급등, 기저효과 등으로 숙박·음식점업 창업감소세 지속

 

(월별동향) ‘214분기 감소세가 둔화되었지만 전년도 기저효과와 영업 규제강화 등으로 숙박·음식점업의 창업 감소세가 확대

(단위 : , %)
구분 ‘21 ‘22.1~3(누계, 1/4분기)
1/4 2/4 3/4 4/4
1 2 3 1/4
숙박·
음식점업
34,906 49,135 36,772 40,470 161,283 9,869 9,596 13,555 33,020
(14.0) (17.0) (14.9) (0.7) (3.2) (7.8) (11.1) (1.1) (5.4)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세부업종별) 음식점업 일반·생활숙박시설운영업은 감소하였으며 주점·비알코올음료점업은 증가

 

- 음식점업은 한식일반음식점업을 중심으로 감소, 반면 배달 또는 포장 가능한 피자·햄버거·샌드위치·유사음식점 등은 증가

 

- 한식일반음식점업은 영업규제, 원자재가격 상승, 운영비용(임대료, 인력고용) 증가에 따른 경쟁력 약화 등으로 창업이 감소

 

- 반면 피자·햄버거·샌드위치·유사음식점은 코로나19 확산, 1~2인 가구 증가, 배달서비스 이용 급증 등으로 창업이 증가

 

- 주점업과 비알코올 음료점업은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기저효과와 1인 창업이 용이한 커피전문점 창업 증가 등으로 신규진입이 활발

 

- 숙박업은 ’21년 민박집 양성화에 따른 창업 증가의 기저효과 영향으로 일반·생활숙박시설 운영업 중 민박업을 중심으로 감소

 

* 1분기 숙박업 창업기업(전년동기대비, %) : (’20) 0.7% (’21) 27.0% (’22) 10.3%

 

(연령별) 연령대에서 창업이 감소

 

* ’221분기 연령별 숙박·음식점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4.7 (30) 4.7 (40) 5.3 (50) 4.7 (60세이상) 9.0

 

(조직형태별) 법인은 증가하였으나 개인은 감소

 

* ’221분기 숙박·음식점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9.1 (개인) 5.7

 

(금융·보험업) 가상자산시장 성장 등으로 금융업 창업은 증가세를 유지한 가운데, 전년도에 창업이 급증하였던 보험대리 및 중개업이 감소로 전환되면서 금융·보험업의 전체 창업은 감소로 전환

 

(월별동향) ‘21년 금융·보험업 창업은 두 자릿수 증가를 보였지만 ’221분기는 기저효과 영향으로 감소로 전환

(단위 : , %)
구분 ‘21 ‘22.1~3(누계, 1/4분기)
1/4 2/4 3/4 4/4
1 2 3 1/4
금융·
보험업
2,578 3,112 2,597 2,546 10,833 761 779 936 2,476
(26.9) (69.0) (16.2) (19.1) (31.4) (5.1) (15.2) (0.1) (4.0)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세부업종별) 금융업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보험·연금업, 금융·보험관련서비스업은 감소로 전환

 

- 보험대리 및 중개업을 중심으로 한 창업 감소는 전년 제판분리 영향 축소, 핀테크·간편결제 기업, 통신사, IT기업 등의 보험시장 진입 감소 등이 부정적으로 작용

 

- 금융업은 금리상승, 금융의 디지털화(가상자산 등장)에 따른 진입 증가 등으로 금융업 창업 확대

 

- 금리 상승 움직임, 자산관리에 대한 관심 확대, 디지털 기술 발전 등으로 기존 금융업의 가치사슬 와해 과정에서 새로운 가치사슬 형성으로 금융업 창업이 증가

 

- 자본금 관련 규제 완화 등으로 법인창업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

 

* 법인 설립 자본금 창업 요건 완화 : (기존) 50억원 (완화) 20억원

 

(연령별) 청년층(39세 이하)을 중심으로 감소하였지만, 40, 60세 이상 두러지게 증가

 

* ’221분기 연령별 금융·보험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1.0 (30) 18.5 (40) 5.6 (50) 13.6 (6170세이상) 23.3

 

(조직형태별) 법인창업은 증가세가 지속, 개인은 감소

 

* ’221분기 금융·보험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23.0 (개인) 31.4

 

(부동산업) 부동산 임대업에 대한 규제 강화(‘207.10대책 이후) 등의 영향으로 ‘221분기 부동산 창업은 전년에 이어 감소 지속

 

(월별동향) ‘21년 상반기 기저효과로 큰 폭의 감소가 발생한 후, ‘21하반기 증가로 전환되었지만 ’221분기는 다시 감소로 전환

 

(단위 : , %)
구분 ‘21 ‘22.1~3(누계, 1/4분기)
1/4 2/4 3/4 4/4
1 2 3 1/4
부동산업 78,749 81,924 77,396 79,315 317,384 25,107 20,843 20,523 66,473
(61.6) (6.6) (1.2) (15.7) (27.5) (6.2) (22.1) (18.7) (15.6)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세부업종별) 부동산 임대업에 대한 규제 강화(‘207.10대책 이후) 영향으로 부동산업은 큰 폭으로 감소

 

- 주거용 건물임대업에서 선호되는 자산 유형인 소형아파트는 추가 등록을 할 수 없어 주거용 건물임대업 창업에 부정적으로 작용

 

- 비주거용 건물임대업은 자영업자의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임대 수요가 감소한 것이 창업에 부정적으로 작용

 

- 다만, ‘211월 다주택자 및 법인 등에 대해 주택분 종합부동산세율 및 세부담 상한을 상향 조정함에 따라 법인을 통한 세부담 절감 시도가 창업에 긍정적으로 작용

 

* 1분기 법인 부동산업 창업기업: (‘21) 4,027(’22)4,822: 19.7%

 

(연령별) 연령대에서 감소했으며, 전년에 크게 증가한 60세 이상 연령대에서 가장 큰 폭으로 감소

 

* ’221분기 연령별 부동산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1 (30) 0.1 (40) 14.4 (50) 18.5 (60세이상) 23.9

 

(조직형태별) 법인은 증가하였지만 개인은 감소

 

* 221분기 부동산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9.7 (개인) 17.5

 

(사업시설관리업) ’20년 방역 수요 증가에 따른 창업 급증의 기저효과로 감소세가 지속, 다만 감소폭은 22년 들어 축소

 

(월별동향) ’21년에는 감소세 지속, 이번 분기에는 감소폭은 축소

(단위 : , %)
구분 ‘21 ‘22.1~3(누계, 1/4분기)
1/4 2/4 3/4 4/4
1 2 3 1/4
사업시설
관리업
10,834 10,279 8,623 8,939 38,675 3,495 3,115 3,559 10,169
(9.8) (19.2) (27.6) (14.3) (17.8) (8.9) (1.6) (9.5) (6.1)
* ( ) :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세부업종별) 전년 기저효과, 규제완화 등으로 소독·구충 및 방제 서비스업과 그 외 기타 분류안된 사업지원 서비스업 등이 감소

 

- ‘221분기 소독·구충 및 방제 서비스업은 기저효과로 감소

 

- 그외기타분류안된사업지원서비스업은 영업규제 완화로 감소폭이 축소

 

(연령별) 40대를 제외하고 대부분 연령대에서 감소했으며 특히 청년층(39세 이하)에서 눈에 띄게 감소

 

* ’221분기 연령별 사업시설관리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20.5 (30) 9.7 (40) 1.1 (50) 1.2 (60세이상) 8.3

 

(조직형태별) 법인증가했으나 개인 감소

 

* ’221분기 사업시설관리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0.8 (개인) 7.2

참고2
월별 창업기업동향 통계 개요

 

(작성목적) 전체 기업의 창업 동향을 적시에 파악하여 중소기업 현장경기를 진단하고, 창업 지원시책에 활용할 수 있는 통계생산

 

(작성근거) 창업기업 동향(, 신설법인 동향)통계작성 변경승인(통계청 통계조정과-254, ‘19.01.21.)

 

(법적근거) 통계법 제18조 및 동법 시행령 제26

 

(작성내용) 별 전체 기업의 업종연령조직형태지역별 창업 동향

 

업종 분류 : 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

 

*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 업종코드 기반, 통계청 조사자료 및 연계표 등 활용하여 보완

 

연령 분류 : 30세 미만, 30, 40, 50, 60세 이상(만나이 기준)

 

조직형태별 분류 : 개인, 법인

 

성별 분류 : 여성, 남성

 

지역 분류 : 전국 17개 시·

 

(작성단위) 영리기업

 

개인사업자 영리법인의 본점(사업자등록번호 중간 2자리로 구분)

 

- 제외사업자 : 80(법인 아닌 단체), 82(비영리법인의 본점 및 지점), 83
(국가,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조합), 84(외국법인의 본지점 및 연락
사무소), 85(영리법인의 지점), 89(법인이 아닌 종교단체)

 

비시장 활동을 하는 비영리 기업(단체) 등은 제외

 

- 제외대상 산업분류 : O(국방, 사회보장), T(자가소비), U(국제기관)

 

- 제외대상 법인유형 : 사단·재단법인, 학교법인, ··수산·산림 협동조합 등

 

(작성기관) 중소벤처기업부

 

(작성방법) 전국 사업자등록 DB(통계청, 행정자료) 업종·연령·조직형태··지역별로 분류하여 집계

 

(이용 시 유의사항)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등

 

기존에 작성하던 신설법인동향(법인등기자료)과 활용하는 행정자료(사업자 DB)가 변경되어 법인 총계·업종구분 상 차이가 발생하여 비교 시 유의

 

(용어설명)

 

기업 :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법적 단위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사업체로 구성되면서 동일자금에 의하여 소유되고 통제되는 제도적 단위 또는 법적 경영단위(회사법인, 회사이외법인, 비법인단체, 개인기업의 형태로 구분)

 

창업기업 : 국세청에 사업자등록을 마치고 사업자 등록일자가 해당 월에 속하는 영리기업(개인, 법인기업 포함)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등 포함

 

기술기반창업 : 기술기반업종을 영위하는 기업의 창업

 

* 기술기반업종(OECD, EU 기준) : 제조업 + 지식기반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사업시설관리(N75), 교육, 보건·사회복지, 예술·스포츠·여가(R90))

 

(2021년 창업기업 동향 공표 계획)

 

통계명 공표일자 비고
20213/4분기 및 9월 창업기업 동향 2021. 11. 25.(목요일) 보도자료 발표
202110월 창업기업 동향 2021. 12. 23.(목요일)
202111월 창업기업 동향 2022. 01. 27.(목요일)
2021년 연간 및 12월 창업기업 동향 2022. 02. 24.(목요일) 보도자료 발표

* 상기 공표 계획은 추후 변경될 수 있음

** 통계수치는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mss.go.kr)와 국가통계포털(kosis.kr)에 공개되며 분기별로 보도자료 발표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