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인천도시재생사업 - 내항거점 본문

▶ 인천 개발 정보/∥ 인천 개발정보

인천도시재생사업 - 내항거점

귀인 청솔 2012. 6. 21. 14:57

인천도시재생사업 - 내항거점

 

출처: 인천시청

 

sf

 

신포~월미 상징보행축 조성사업

사업목적
  • 차량 중심의 도시에서 환경·인간중심의 도시로 패러다임 전환과 월미관광특구 접근 및 연계수단 구축
  • 보행 활성화를 통한 월미관광특구로의 유입인력 요인 강화 및 관광소비지출 효과 제고

사업 추진개요
  • 사업기간 : 2008. ~ 2011.
  • 사업장소 : 월미순환 ~ 인천역
  • 사업규모 : L=4km, B=2~5m
  • 사업내용 : 친환경보차도정비, 가로녹지정비, 도로개설, 한전지중화 등
  • 사 업 비 : 53억원
개발구상
  • 월미은하레일 사업구간과 연계한 보행자 거리 조성
  • 환경친화적 보차도 정비, 각 구간별 스트리트 퍼니쳐 도입, 상징 조형물 및 녹지조경 등

추진사항
  • 2008. 2월 : 신포~월미 상징보행축 조성사업계획 수립
  • 2008. 12월 : 전선 지중화(1단계) 완료
  • 2009. 2월 : 도로개설공사 착공
  • 2009. 10월 : 월미관광특구 전선 지중화사업 추진
                     T/F팀 구성
  • 2009. 12월 : 도로개설공사 완료
  • 2010. 2월 : 상징보행축 조성공사 기본 및 실시설계 착수
  • 2010. 4월 : 상징보행축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 완료(중구)
  • 2010. 6월 : 상징보행축 조성공사 착공(중구청)
  • 2010. 9월 : 지중화 공사 발주(한전)
  • 2010.12월 : 상징보행축 조성공사 중지(한전 지중화 지연)
  • 2011. 8월 : 한전 지중화 완료 및 공사재개
  • 2011.12월 : 상징보행축 조성공사 완료

 


월미은하레일 사업

사업목적
  • 관광 모노레일 도입으로 월미도, 인천역, 차이나타운, 동인천역 등 관광자원을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관광객 증가,
    수익창출 등 월미관광특구 활성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사업 추진개요
  • 위 치 : 인천광역시 중구 월미도 ~ 인천역
  • 규 모 : L=4.97km, 정류장 4개소
  • 사업기간 : 2008. ~ 2010.
  • 사 업 비 : 853억원
  • 시 행 자 : 인천교통공사
  • 도입시설 : 관광용 모노레일

추진사항
  • 2006.10월 : 타당성검토완료(시), 기본협약체결(시,교통공사)
  • 2007.  9월 : 기본계획수립 (시,교통공사)
  • 2007. 10월 : 도시계획시설(궤도)결정고시, 턴키입찰 공고
  • 2008. 1월 : 실시설계 적격자 선정
  • 2008. 6월 : 도시계획시설시행자 지정 및 실시계획인가, 공사착공
  • 2009. 5월 : 정류장명칭확정 (인천은하역 외 3개소)
  • 2009. 7월 : 실시계획변경인가 (1단계 기간연장 :'10. 2.28까지)
  • 2009. 8월 : 건축물 사용승인, 차량 현장반입
  • 2010. 3월 : 궤도시설 준공검사 완료
  • 2010. 7월 : 도시계획시설(궤도) 공사완료 공고
  • 2010. 9월 : 시운전
  • 2011. 2월 : 시민검증위원회(교통공사) 운영
  • 2011. 7월 : 월미은하레일 조사특위 운영(시의회)
  • 2011. 9월 : 월미은하레일 관련기관 대책회의
  • 2011.11월 : 안전검증 용역추진을 위한 협약(안) 협의
  • 2011.12월 : 안전검증 사전점검 및 가드레일 신축이음 제작 및 설치
  • 2012.  2월 : 안전성 검증용역 협약체결(한국철도기술연구원)

향후 추진계획

  • 2012. 5.~2013. 2. : 안전성 검증용역 추진

기대효과
  • 월미도와 개항장으로 연계되는 관광모노레일 도입으로 관광 활성화 및 관광수요 창출
  • 기존 자동차 위주의 도로가 관광모노레일과 보행자 위주 등으로 전환함으로써 지역주민 및 관광객에게 환경친화적 공간 제공
  • 인천역을 중심으로 대중교통과 연계한 편리한 환승체계 구축

 

동인천역 주변 도시 재생사업

사업목적
  • 경인선 철도와 간선가로망의 연계체계 구축에 따라 남북 생활권의 단절을 해소하고, 역세권의 중심기능 강화로 구도심의 균형발전 도모
  • 구도심의 중심성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한 상업중심 복합도시 개발

사업 추진개요
  • 위 치 : 중구 인현동 1번지 및 동구 송현동 100번지 일원
  • 규 모 : 310,247㎡
  • 사업기간 : 2007 ~ 2020

추진사항
  • 2005. 7월 : 동인천 지역에 대한 개발 촉구(시의회 정례회)
  • 2006. 4월 ~ 2007. 2월 : 타당성 및 개발기본구상 용역 시행
  • 2007. 3월 ~ 4월 : 주민공람, 관계기관 및 의회 의견청취
  • 2007. 5월 : 기본협약 체결 (시 + 중·동구 + 도시개발공사)
  • 2007. 5월 : 재정비촉진지구 지정 고시
  • 2007. 12월 : 역세권발전협의회 구성 및 발족 (철도공사)
  • 2008. 1월 : 재정비촉진계획 수립 용역 착수
  • 2008. 4월 : 동인천역 재생사업관련 시장 서한문 발송, 총괄계획가 위촉 및 총괄계획팀 구성
  • 2008. 12월 : 총괄사업관리자 지정
  • 2009. 2월 : 재정비촉진계획(안) 주민설명회 개최
  • 2009. 4월 : 동인천역 주변 재정비촉진지구 지정 변경 및 지형도면 고시
  • 2009. 8월 : 재정비촉진계획(안) 주민공람
  • 2009. 12월 : 공영개발 찬반에 대한 주민설문조사 실시
  • 2010. 2월 : 재정비촉진계획수립을 위한 공청회 개최
  • 2010. 4월 : 재정비촉진계획 결정고시
  • 2011. 6월 :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안) 방침
  • 2011.11월 : 도시재정비촉진조례 개정
  • 2011.12월 : 재정비촉진계획 변경결정(구역세분화) 고시
  • 2012.  5월 : 주민설문조사 실시

향후 추진계획
  • 2012. 하반기 : 재정비촉진계획 변경 검토
  • 2013. 상반기 : 재정비촉진계획 변경 용역 추진
  • 2013. 하반기 : 재정비촉진계획 변경 결정
  • 2014.         : 기반시설 설치 착수
  • 2020.         : 사업완료

기대효과
  • 구도심권 상업중심의 복합도심 개발로 지역경제 활성화기대 및 도시경쟁력 강화
  • 구.도심간 균형발전도모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