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22년 건물에너지, 기준년('18년)대비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4.8% 감소 본문

▶ 부동산정보/┃♡┃┛_ 부동산 정보

'22년 건물에너지, 기준년('18년)대비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4.8% 감소

귀인 청솔 2023. 5. 31. 12:05

'22년 건물에너지, 기준년('18년)대비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4.8% 감소

 

  • '22년 건물에너지 총사용량과 단위면적당 사용량은 전년대비 각각 5.9%, 2.7% 증가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22 전국 모든 건물에너지사용량을 집계한 결과, 에너지 총사용량과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전년대비 각각 5.9%, 2.7% 증가하였으나, '18* 대비 단위면적당 사용량4.8%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고점에 달했던 2018년도가 2030 205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의 기준년도에 해당

 

'22년 에너지 총사용량은 신축에 따른 연면적(3.1%) 증가와 기후변화에 따른 냉난방도일*(5.4%)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보다 2,018TOE** 증가(5.9%)36,362TOE로 집계되었고,

* 일평균기온과 기준온도(난방18, 냉방24)의 차이를 월별로 합산한 값

** TOE(석유환산톤): 석유 1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으로, 표준 에너지단위(IEA)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전년보다 2.7% 증가한 122kWh/에너지 총사용량 증가율(5.9%)보다는 낮게 나타났으나, '1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여 에너지절감에 대한 경각심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기준연도('18)와 비교한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냉난방도일 감소(8.0%) 연면적의 증가(10.9%) 대비 에너지 총사용량의 증가(5.6%)분이 상대적으로 낮아 최종적으로 4.8%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토교통부 이정희 건축정책관은 매년 발표되는 국가 건물에너지 사용량 추이 지역별용도별 사용경향 분석 등은 건물부문 탄소중립 달성 수준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통계자료로써, 건물에너지 정책수립 방향 근간이 된다라면서,

 

향후에도 유의미한 통계지표를 적극 발굴하여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통계자료는 국토교통부 녹색건축포털(그린투게더, http://www.greentogether.go.kr) 건물에너지 통계서비스를 통해 모든 국민에게 공개되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다.

 

출처 : 국토교통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