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청솔공인중개사
- 송도센토피아
- 스마트밸리
- 좋은 글
- 조은 글
- 송도국제도시
- 인천경제자유구역
- 주택임대차보호법
- 송도타운 엄종수
- 송도 상가분양
- 송도신도시 상가분양
- 스마트밸리 엄종수
- 송도타운 상가임대
- 좋은글
- 송도 국제도시
- 송도타운 상가분양
- 중개실무
- 송도
- 송도타운
- 계양1구역
- 송도 아파트형공장
- 송도신도시
- 엄종수
- 청솔부동산
- 공인중개사
- 청솔공인엄종수
- 송도 스마트밸리
- 상가임대차보호법
- 청솔공인중개사사무소
- 조은글
- Today
- Total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2023년 1~3월 창업기업동향 본문
2023년 1~3월 창업기업동향
’23.1~3월(누계) 창업기업 수는 33만 3,372개로 집계
동 기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부동산업(31,872개↓) 제외시, 16,512개 증가
도⸱소매업(7.9%↑), 숙박 및 음식점업(25.6%↑), 정보통신업(13.4%↑) 등에서 증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는 ‘2023년 1~3월(누계) 창업기업동향’을 발표했다.
2023년 1~3월 창업은 3高(高물가, 高금리, 高환율) 등으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의 영향 지속하에, 전년동기대비 4.4%(15,360개) 감소한 33만 3,372개로 집계되었다.
* 1~3월 창업기업(개) : (’20) 462,991 → (’21) 360,846 → (’22) 348,732 → (’23) 333,372
특히, 작년에 부동산경기 하락 등으로 부동산업의 창업이 전년대비 31,872개(47.9%) 대폭 감소한 것이 1분기 창업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분석되었고, 부동산업 제외시, 올해 1분기 창업은 전년동기대비 16,512개(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3월 부동산업 제외 창업기업(개) : (’20) 257,869 → (’21) 282,097 → (’22) 282,259 → (’23) 298,771
다만, 지난 정부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부동산 창업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체 창업증감률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나, 점차 그 비중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간 1~3월 부동산업 창업 및 전체창업 중 비중(개, %) :
(’20) 205,122(44.3) → (’21) 78,749(21.8) → (’22) 66,473(19.1) → (’23) 34,601(10.4)
업종별로 살펴보면 전자상거래 증가, 코로나19 팬데믹 영향 완화 등으로 숙박 및 음식점업(25.6%↑) 등은 전년대비 신규창업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도소매업(7.9%↑), 정보통신업(13.4%↑), 전기⸱가스⸱공기(49.4%↑), 사업시설관리(7.6%↑), 교육서비스업(9.0%↑), 예술⸱스포츠⸱여가업(14.3%↑), 개인서비스업(6.0%↑)
금리인상, 수출감소, 소비자 물가상승 등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제조업(14.0%↓), 건설업(9.4%↓) 등에서 전년대비 창업이 감소*하였다.
* 부동산업(47.9%↓), 농⸱임⸱어업 및 광업(6.4%↓), 수도⸱하수⸱폐기(4.8%↓), 운수 및 창고업(13.5%↓), 금융 및 보험업(36.5%↓), 전문⸱과학⸱기술(10.7%↓), 보건⸱사회복지(12.4%↓)
2023년 1분기 기술기반 창업은 62,299개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0.2%(100개)↓)하여, 역대 두 번째로 높았고, 전체 창업에서 기술기반 창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동기대비 0.8%p 상승하며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 연간 1~3월 기술기반 창업 및 전체창업 중 비중(개, %) :
(’20) 58,892(12.7) → (’21) 61,882(17.1) → (’22) 62,399(17.9) → (’23) 62,299(18.7)
▶ 본 통계 이용 시 유의사항
ㅇ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상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될 수 있음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등
참고1 | ’23년 1분기 창업기업 동향 주요 업종별 증감 분석 |
▶ 본 통계 이용 시 유의사항 ㅇ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상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될 수 있음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등 |
주요 업종별 증감 분석
(1) 증가 업종 |
□ (도·소매업) 비대면 소비문화의 확산, 통신판매중개 플랫폼 발전*, 금리인상 등의 영향으로 전자상거래를 중심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세 지속
* G마켓, 네이버, 쿠팡, 11번가 등 오픈마켓(통신판매중개 사이트)을 통해 많은 소상공인등이 온라인쇼핑 시장으로 수월하게 진입할 수 있었던 부분도 크게 작용
※ 온라인쇼핑거래액 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21.1/4) 21.1 → (2/4) 25.1 → (3/4) 18.2 → (4/4) 16.1 → (’22.1/4) 12.7 → (2/4) 11.7 → (3/4) 11.2 → (4/4) 6.3 → (‘23.1/4) 7.4 (통계청)
ㅇ 낮은 초기 투자비용, 해외판매 유리함 등 온라인 소매창업이 증가하는 가운데 소매업을 중심으로 1분기 창업은 전년동기대비 증가세 지속
(단위 : 개, %) | |||||||||
구분 | ‘22년 | ‘23.1~3(누계, 1/4분기) | |||||||
1/4 | 2/4 | 3/4 | 4/4 | 1월 | 2월 | 3월 | 1/4 | ||
도·소매업 | 116,050 | 114,364 | 118,740 | 107,272 | 456,426 | 40,868 | 40,137 | 44,243 | 125,824 |
(0.7) | (8.2) | (16.3) | (4.7) | (7.3) | (9.7) | (9.6) | (4.9) | (7.9)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ㅇ (세부업종별) 도매업은 감소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소매업 중 통신판매업 등 무점포소매업을 중심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
ㅇ (연령별) 30~40대에서 도·소매업 증가를 주도하는 가운데 전 연령대에서 창업이 전년동기대비 증가
* ’23년 1분기 연령별 도·소매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5.7 (30대) 10.0 (40대) 9.8 (50대) 6.0 (60세이상) 4.0
ㅇ (조직형태별) 전년동기대비 개인 창업은 양호한 증가세를 기록한 반면, 법인은 감소
* ’23년 1분기 도·소매업 창업기업 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법인) △10.0 (개인) 9.2
□ (숙박·음식점업) 코로나19 엔데믹과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올해 1분기 숙박·음식점업 창업은 전년동기대비 두 자릿수 증가
※ 일상으로 회복에 따른 여행 증가 등으로 숙박용 펜션 등 기타 일반 및 생활숙박시설 운영업 등이 증가
(단위 : 개, %) | |||||||||
구분 | ‘22년 | ‘23.1~3(누계, 1/4분기) | |||||||
1/4 | 2/4 | 3/4 | 4/4 | 1월 | 2월 | 3월 | 1/4 | ||
숙박· 음식점업 |
33,020 | 41,020 | 41,133 | 41,316 | 156,489 | 11,440 | 13,629 | 16,395 | 41,464 |
(△5.4) | (△16.5) | (11.9) | (2.1) | (△3.0) | (15.9) | (42.0) | (21.0) | (25.6)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ㅇ (세부업종별) 전년동기대비 일반·생활숙박시설운영업은 감소하였지만, 음식점업과 주점·비알코올음료점업은 증가
- 음식점업 중 한식음식점업, 외국식 음식점업, 기타 간이 음식점업 등이 증가
- 숙박업은 일반·생활숙박시설 운영업 중 여관업과 민박업 등이 감소하였지만, 기타 일반 및 생활숙박시설 운영업, 기숙사 및 고시원 운영업 등은 증가
* 1분기 숙박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21) 27.0 → (’22) △10.3 → (’22) 2.4
ㅇ (연령별) 전 연령대에서 창업이 전년동기대비 증가
* ’23년 1분기 연령별 숙박·음식점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0.5 (30대) 25.9 (40대) 30.5 (50대) 29.5 (60세이상) 28.0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전년동기대비 양호한 증가율 기록
* ’23년 1분기 숙박·음식점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법인) 8.4 (개인) 25.8
□ (전기·가스·공기) 최근 미국, 유럽 등과의 국제무역에서 환경규제로 인한 재생에너지 수요 등의 영향으로 소규모 발전인 태양광 발전 등 태양력발전업 등의 창업이 전년동기대비 증가
(단위 : 개, %) | |||||||||
구분 | ‘22년 | ‘23.1~3(누계, 1/4분기) | |||||||
1/4 | 2/4 | 3/4 | 4/4 | 1월 | 2월 | 3월 | 1/4 | ||
전기· 가스·공기 |
5,138 | 5,928 | 6,272 | 6,435 | 23,773 | 2,275 | 2,524 | 2,876 | 7,675 |
(△9.9) | (6.8) | (4.4) | (△6.6) | (△1.5) | (33.7) | (65.2) | (50.7) | (49.4)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ㅇ (세부업종별) 전기업 중 태양광 발전 등 태양력 발전업을 중심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
ㅇ (연령별) 전 연령대에서 전년동기대비 신규창업이 활발
* ’23년 1분기 전기·가스·공기 연령별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53.7 (30대) 54.7 (40대) 40.6 (50대) 39.8 (60세이상) 57.2
ㅇ (조직형태별) 전년동기대비 개인 창업은 크게 증가한 반면 법인은 감소
* ’23년 1분기 전기·가스·공기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법인) △5.3 (개인) 50.8
□ (정보통신업) K-콘텐츠 글로벌 확산 등으로 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영화․비디오물․방송 프로그램 제작업) 등을 중심으로 전년동기대비 창업 증가
- 최근 OTT 플랫폼 이용률 증가 등이 영화⸱비디오물 및 방송 프로그램 제작업 창업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
* OTT 플랫폼 이용률(%) : (‘20) 66.3 → (‘21) 69.5 → (‘22) 72.0 (’22년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 소프트웨어산업은 미래의 성장전망을 현재가치로 평가하여 엔젤⸱벤처 등의 투자자금을 유치하는 산업으로서 글로벌 경기둔화, 고금리 등이 소프트웨어산업 투자에 부정적으로 작용(소프트웨어정책연구원)
* 분기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22.1) 12.9 → (’22.2) 8.2 → (’22.3) △22.8 → (’22.4) △31.8 → (’23.1) △37.4
(단위 : 개, %) | |||||||||
구분 | ‘22년 | ‘23.1~3(누계, 1/4분기) | |||||||
1/4 | 2/4 | 3/4 | 4/4 | 1월 | 2월 | 3월 | 1/4 | ||
정보통신업 | 11,793 | 12,702 | 10,731 | 10,815 | 46,041 | 4,281 | 4,966 | 4,128 | 13,375 |
(9.6) | (8.7) | (△9.0) | (△4.6) | (1.0) | (5.5) | (31.0) | (4.6) | (13.4)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ㅇ (세부업종별) 영화·비디오기록물제작 및 배급업(영화, 비디오, 방송프로그램 등)은 전년동기대비 증가한 반면 출판업(소프트웨어개발·공급업)은 감소
ㅇ (연령별) 전년동기대비 40대 이하 연령대에서 창업 증가하였고, 50대 이상에서 감소
* ’23년 1분기 연령별 정보통신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58.2 (30대) 30.2 (40대) 0.5 (50대) △9.5 (60세이상) △9.4
ㅇ (조직형태별) 개인 창업은 전년동기대비 양호한 증가세를 기록한 반면 법인은 감소
* ’23년 1분기 정보통신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법인) △18.9 (개인) 23.2
□ (교육서비스업) 코로나19 엔데믹, 디지털 맞춤형 교육산업 활발, 건강·취미에 대한 수요확대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신규창업 증가
ㅇ 최근에 건강*에 대한 관심 및 수요 증가(덤벨 이코노미), 미술·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교육기관 신규창업이 전년동기대비 증가
* 최근 운동프로그램(요가, 필라테스 등)과 건강관리 식단(프로틴 음료 및 바 등)의 수요가 증가하면 관련 창업이 증가(최근 프로틴 관련 상품 매출상승 등)(한국교육개발원)
** 펜데믹 이후 시간자원에 대한 소비패턴 변화와 가정 중심에서 개인 중심으로의 소비패턴 변화 등으로 미술, 음악 관련 소비 증가(한국교육개발원)
(단위 : 개, %) | |||||||||
구분 | ‘22년 | ‘23.1~3(누계, 1/4분기) | |||||||
1/4 | 2/4 | 3/4 | 4/4 | 1월 | 2월 | 3월 | 1/4 | ||
교육 서비스업 |
12,175 | 9,647 | 10,108 | 10,606 | 42,536 | 4,231 | 4,374 | 4,663 | 13,268 |
(8.5) | (△0.5) | (8.9) | (0.1) | (4.3) | (2.7) | (12.8) | (11.6) | (9.0)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ㅇ (세부업종별) 일반교습학원(일반교과학원), 기타 교육기관(스포츠 및 레크레이션 교육기관, 예술학원)등을 중심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
ㅇ (연령별) 30세미만을 제외하고 대부분 연령대에서 전년동기대비 신규창업 증가
* ’23년 1분기 연령별 교육서비스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5.7 (30대) 3.1 (40대) 15.1 (50대) 16.4 (60세이상) 12.2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전년동기대비 양호한 증가율 기록
* ’23년 1분기 교육서비스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법인) 17.1 (개인) 8.7
(2) 감소 업종 |
□ (부동산업) 부동산의 급격한 가격상승, 금리인상, 자산가치 하락*, 전세사기 이슈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창업 감소세 지속
* 주택 가격과 임대가의 하락은 주거용 건물을 소유하거나 임대함으로써 발생하는 자본이득과 임대수익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
※ 전국 미분양 주택은 ‘22년 1~3월(2.2만호, 2.5만호, 2.8만호)누계 7.5만호에서 ’23년 1~3월(7.5만호, 7.5만호, 7.2만호)누계 22.2만호로 전년동기대비 14.7만호 증가(한국부동산원)
< 전국 미분양 주택 수 >
자료 : 한국부동산원(신고일 기준)
※ ‘23년 1~3월 누계 주택 거래량은 119,285건으로 전년동기(138,349건) 대비 13.8% 감소. 수도권(50,261건)은 전년동기대비 4.2% 감소, 지방(69,024건)은 19.6% 감소
<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 및 증감률(단위: 건) >
구 분 | ’23.3월 | ’23.2월 | ’22.3월 | 증감률(’23년 3월) | 누계(1∼3월) | ||||
전월比 | 전년 동월比 |
5년 3월 평균比 |
거래량 | 전년 동기比 |
5년 3월누계평균比 | ||||
전 국 | 52,333 | 41,191 | 53,461 | 27.0% | △2.1% | △35.9% | 119,285 | △13.8% | △46.8% |
수도권 | 22,722 | 17,240 | 20,109 | 31.8% | 13.0% | △46.2% | 50,261 | △4.2% | △56.6% |
서 울 | 5,812 | 3,975 | 5,098 | 46.2% | 14.0% | △53.3% | 12,428 | △14.5% | △64.2% |
지 방 | 29,611 | 23,951 | 33,352 | 23.6% | △11.2% | △25.0% | 69,024 | △19.6% | △36.4% |
자료 : 한국부동산원(신고일 기준)
(단위 : 개, %) | |||||||||
구분 | ‘22년 | ‘23.1~3(누계, 1/4분기) | |||||||
1/4 | 2/4 | 3/4 | 4/4 | 1월 | 2월 | 3월 | 1/4 | ||
부동산업 | 66,473 | 63,853 | 42,660 | 32,775 | 205,761 | 11,879 | 11,837 | 10,885 | 34,601 |
(△15.6) | (△22.1) | (△44.9) | (△58.7) | (△35.2) | (△52.7) | (△43.2) | (△47.0) | (△47.9)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ㅇ (세부업종별) 주거용 건물임대업과 비주거용 건물임대업을 중심으로 전년동기대비 감소
ㅇ (연령별) 전 연령대에서 전년동기대비 두 자릿수 감소
* ’23년 1분기 연령별 부동산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56.6 (30대) △54.4 (40대) △52.5 (50대) △47.0 (60세이상) △37.4
ㅇ (조직형태별) 법인 및 개인 창업 모두 전년동기대비 크게 감소
* ’23년 1분기 부동산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법인) △51.8 (개인) △47.6
□ (운수·창고업) 글로벌 경기둔화*, 수출입 부진** 등의 영향으로 육상운송 등이 침체되면서 도로화물운송업 등 창업이 전년동기대비 감소
* 국내총생산 증감률(전년동기대비, %) :
(’22.1) 3.0 → (‘22.2) 2.9 → (‘22.3) 3.1 → (‘22.4) 1.3 → (‘23.1) 0.8 (관세청)
** ‘23년 1~3월 수출 : 151,544백만달러(전년동기대비 12.6%↓)(관세청)
‘23년 1~3월 수입 : 173,988백만달러(전년동기대비 2.%↓)(관세청)
< 주요 품목별 물동량 추이>
2021 | 2022 | ||||||||
1/4 | 2/4 | 3/4 | 4/4 | 1/4 | 2/4 | 3/4 | 4/4 | ||
철강재 내수량 (철근 및 형강, 천통) |
2,856 | 3,597 | 3,113 | 3,252 | 3,094 | 2,296 | 2,977 | 3,085 | |
컨테이너 수송실적 (천 TEU) |
4,315 | 4,477 | 4,206 | 4,350 | 4,178 | 4,176 | 4,064 | 4,102 | |
연안 | 52 | 43 | 40 | 46 | 53 | 43 | 55 | 57 | |
철도 | 168 | 188 | 181 | 189 | 173 | 170 | 180 | 157 | |
도로 | 4,095 | 4,246 | 3,986 | 4,114 | 3,951 | 3,963 | 3,828 | 3,887 |
주 : 2022 4/4분기 물류브리프(한국교통연구원)
(단위 : 개, %) | |||||||||
구분 | ‘22년 | ‘23.1~3(누계, 1/4분기) | |||||||
1/4 | 2/4 | 3/4 | 4/4 | 1월 | 2월 | 3월 | 1/4 | ||
운수· 창고업 |
17,889 | 16,932 | 15,850 | 15,127 | 65,798 | 4,769 | 5,122 | 5,583 | 15,474 |
(8.8) | (△3.4) | (0.1) | (△10.7) | (△1.4) | (△13.7) | (△1.4) | (△22.1) | (△13.5)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ㅇ (세부업종별) 육상운송·파이프라인운송업이 전년동기대비 감소하였으며, 그 중 도로화물운송업(일반화물자동차운송업, 용달화물자동차운송업, 개별화물자동차운송업)을 중심으로 감소
ㅇ (연령별) 전 연령대에서 전년동기대비 신규창업 감소
* ’23년 1분기 연령별 운수·창고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9.9 (30대) △7.0 (40대) △13.6 (50대) △15.5 (60세이상) △17.9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전년동기대비 두 자릿수 감소
* ’23년 1분기 운수·창고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법인) △51.8 (개인) △47.6
□ (건설업) 건설자재 가격상승에 따른 공사계약 해지, 부동산 시장 침체, 부동산 PF 위축 등의 부정적 요인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창업 감소
ㅇ 특히 건설수주 감소,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건설업의 부정적 요인이 지속되면서 올해 1분기 신규창업은 감소세 유지
< 공종·발주 건설수주 증감률 >
(전년동월(기)비, %) | ||||||||
’22년 | 1/4 | 3월 | ’23.1/4p | 1월 | 2월p | 3월p | ||
건 설 수 주 | 10.1 | 13.2 | 15.9 | △12.5 | 19.1 | △3.7 | △44.4 | |
공 종 별 |
- 건 축 | 8.2 | 7.3 | 9.1 | △24.5 | △27.5 | 3.6 | △39.2 |
⋅주 택 | 7.6 | 4.2 | 5.7 | △34.5 | △35.8 | △21.0 | △41.5 | |
- 토 목 | 17.2 | 39.6 | 42.4 | 29.7 | 238.8 | △26.9 | △59.4 | |
⋅기계설치 | 66.6 | 48.2 | 71.5 | 151.2 | 944.5 | △9.2 | △72.5 | |
발 주 자 |
- 공 공 | 7.7 | 22.9 | 49.8 | △29.0 | △25.3 | △4.3 | △45.7 |
- 민 간 | 10.8 | 13.3 | 15.4 | △9.5 | 27.5 | △2.1 | △45.3 | |
- 민 자 | △9.9 | △46.2 | △89.7 | △11.8 | △36.8 | △54.9 | 275.4 |
자료 : 통계청
< 지역별 착공 실적(단위 : 호) >
구 분 | 2023 | 2022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3월 | 1∼3월 | 3월 | 1∼3월 | 3월 | 1∼3월 | 3월 | 1∼3월 | 3월 | 1∼3월 | |
전 국 | 21,711 | 53,666 | 39,756 | 84,108 | △45.4% | △36.2% | △49.5% | △42.6% | △50.1% | △44.3% |
수도권 | 12,457 | 30,869 | 22,874 | 50,655 | △45.5% | △39.1% | △48.0% | △43.2% | △43.8% | △37.5% |
(서울) | 3,420 | 6,719 | 7,590 | 16,472 | △54.9% | △59.2% | △39.4% | △53.4% | △41.5% | △52.2% |
(인천) | 1,637 | 2,263 | 3,486 | 7,304 | △53.0% | △69.0% | △58.1% | △68.8% | △38.3% | △54.7% |
(경기) | 7,400 | 21,887 | 11,798 | 26,879 | △37.3% | △18.6% | △48.6% | △33.1% | △45.9% | △27.8% |
지 방 | 9,254 | 22,797 | 16,882 | 33,453 | △45.2% | △31.9% | △51.3% | △41.7% | △56.7% | △51.5% |
자료 : 국토교통부
(단위 : 개, %) | |||||||||
구분 | ‘22년 | ‘23.1~3(누계, 1/4분기) | |||||||
1/4 | 2/4 | 3/4 | 4/4 | 1월 | 2월 | 3월 | 1/4 | ||
건설업 | 18,790 | 17,676 | 16,290 | 14,515 | 67,271 | 5,316 | 5,609 | 6,092 | 17,017 |
(△5.5) | (△4.9) | (△2.8) | (△10.7) | (△5.9) | (△18.0) | (△4.5) | (△5.3) | (△9.4)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ㅇ (세부업종별) 종합건설업(건물 건설업), 전문직별공사업(실내건축 및 건축마무리공사업, 건설장비 운영업) 등을 중심으로 전년동기대비 감소
ㅇ (연령별) 전 연령대에서 전년동기대비 감소했으며 특히 40대에서 크게 감소
* ’23년 1분기 연령별 건설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8.4 (30대) △2.3 (40대) △15.9 (50대) △8.6 (60세이상) △5.9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전년동기대비 감소 기록
* ’23년 1분기 건설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법인) △17.6 (개인) △8.0
□ (전문·과학·기술) 글로벌 경기부진 지속, 금리인상 등에 따른 투자 및 수요 감소 등으로 컨설팅*, 디자인 업종**을 중심으로 전년동기대비 창업 감소
* 경영컨설팅 수요자인 기업은 경기둔화시기 수익창출을 위한 컨설팅 수요가 높은 가운데 기존 컨설팅 업체 중 규모가 큰 업체를 선호하고 있어 신규진입은 어려운 실정(한국컨설팅산업협회)
** 전문디자인업은 경기둔화, 수출부진, 금리상승 등으로 제품디자인업, 패션·섬유 디자인업 등에 기업의 수요가 감소하면서 전문디자인업 창업을 제약(한국디자인진흥원)
(단위 : 개, %) | |||||||||
구분 | ‘22년 | ‘23.1~3(누계, 1/4분기) | |||||||
1/4 | 2/4 | 3/4 | 4/4 | 1월 | 2월 | 3월 | 1/4 | ||
전문· 과학·기술 |
16,067 | 15,681 | 13,875 | 12,412 | 58,035 | 4,747 | 4,575 | 5,028 | 14,350 |
(△0.9) | (△3.5) | (△15.4) | (△23.7) | (△10.9) | (△17.8) | (△2.9) | (△9.9) | (△10.7)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ㅇ (세부업종별) 전문서비스업(회사본부 및 경영컨설팅 서비스업 등),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및 기타 과학기술서비스업, 기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전문 디자인업 등) 등에서 전년동기대비 창업 감소
ㅇ (연령별) 전 연령대에서 전년동기대비 신규창업 감소
* ’23년 1분기 연령별 전문·과학·기술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0.3 (30대) △9.8 (40대) △15.6 (50대) △12.0 (60세이상) △5.2
ㅇ (조직형태별) 개인 및 법인 모두 전년동기대비 창업 감소
* ’23년 1분기 전문·과학·기술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법인) △15.1 (개인) △8.9
□ (제조업) 원자재·환율·금리 상승, 무역적자 지속 등 국내·외적인 경영환경 불안요인 증가, 디지털산업의 성장 등으로 제조업 창업은 전년동기대비 감소
ㅇ 제조업 생산 및 무역수지 악화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창업 감소세 지속
* 제조업 생산 증가율(전년동기대비, %) : (’22.1분기) 3.2 → (’22.2분기) △2.2 → (’22.3분기) △2.6 → (’22.4분기) △6.7 → (’23.1분기) △0.4 (통계청)
(단위 : 개, %) | |||||||||
구분 | ‘22년 | ‘23.1~3(누계, 1/4분기) | |||||||
1/4 | 2/4 | 3/4 | 4/4 | 1월 | 2월 | 3월 | 1/4 | ||
제조업 | 11,799 | 10,256 | 10,153 | 9,387 | 41,595 | 3,425 | 3,277 | 3,442 | 10,144 |
(△7.4) | (△16.2) | (△13.1) | (△17.1) | (△13.3) | (△22.1) | (△5.2) | (△12.8) | (△14.0)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ㅇ (세부업종별) 식료품, 섬유제품, 기계·장비, 금속가공제품, 전자·컴퓨터 등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업종에서 전년동기대비 창업 감소
ㅇ (연령별) 전 연령대에서 전년동기대비 창업 감소
* ’23년 1분기 연령별 제조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21.5 (30대) △12.8 (40대) △16.0 (50대) △13.1 (60세이상) △8.9
ㅇ (조직형태별) 법인 및 개인 창업 모두 전년동기대비 감소 기록
* ’23년 1분기 제조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법인) △6.3 (개인) △17.1
□ (금융·보험업) 금리인상과 경기둔화 등의 영향으로 금융업 신규창업은 전년동기대비 감소
(단위 : 개, %) | |||||||||
구분 | ‘22년 | ‘23.1~3(누계, 1/4분기) | |||||||
1/4 | 2/4 | 3/4 | 4/4 | 1월 | 2월 | 3월 | 1/4 | ||
금융· 보험업 |
2,476 | 2,467 | 2,003 | 1,595 | 8,541 | 475 | 557 | 540 | 1,572 |
(△4.0) | (△20.7) | (△22.9) | (△37.4) | (△21.2) | (△37.6) | (△28.5) | (△42.3) | (△36.5)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ㅇ (세부업종별) 금융업, 보험·연금업, 금융·보험관련서비스업 등이 감소
ㅇ (연령별) 전 연령대에서 전년동기대비 창업 감소
* ’23년 1분기 연령별 금융·보험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42.1 (30대) △40.0 (40대) △44.3 (50대) △3.8 (60세이상) △24.0
ㅇ (조직형태별) 법인 및 개인 창업 모두 전년동기대비 감소
* ’23년 1분기 금융·보험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법인) △52.8 (개인) △6.7
참고2 | ’20~’23년 1분기 주요 업종별 창업 동향 |
(단위 : 개, %) | |||||
구 분 | ’20.1~3월 | ’21.1~3월 | ’22.1~3월 | ’23.1~3월 | |
전 체 | 462,991 | 360,846 | 348,732 | 333,372 | |
(43.9) | (△22.1) | (△3.4) | (△4.4) | ||
실질창업 (부동산업 제외) |
257,869 | 282,097 | 282,259 | 298,771 | |
(0.2) | (9.4) | (0.1) | (5.8) | ||
기술기반업종 | 58,892 | 61,882 | 62,399 | 62,299 | |
(0.3) | (5.1) | (0.8) | (△0.2) | ||
농업, 임업, 어업 및 광업 | 3,521 | 3,664 | 4,137 | 3,874 | |
(16.7) | (4.1) | (12.9) | (△6.4) | ||
제조업 | 12,976 | 12,736 | 11,799 | 10,144 | |
(△11.0) | (△1.8) | (△7.4) | (△14.0) | ||
전기, 가스, 공기조절공급업 | 5,730 | 5,702 | 5,138 | 7,675 | |
(△14.9) | (△0.5) | (△9.9) | (49.4) | ||
하수·폐기물처리, 원료재생 | 248 | 197 | 187 | 178 | |
(23.4) | (△20.6) | (△5.1) | (△4.8) | ||
건설업 | 17,777 | 19,886 | 18,790 | 17,017 | |
(△1.0) | (11.9) | (△5.5) | (△9.4) | ||
도매 및 소매업 | 91,166 | 115,188 | 116,050 | 125,248 | |
(5.9) | (26.3) | (0.7) | (7.9) | ||
운수 및 창고업 | 16,127 | 16,435 | 17,889 | 15,474 | |
(△3.2) | (1.9) | (8.8) | (△13.5) | ||
숙박 및 음식점업 | 40,586 | 34,906 | 33,020 | 41,464 | |
(△5.8) | (△14.0) | (△5.4) | (25.6) | ||
정보통신업 | 8,164 | 10,758 | 11,793 | 13,375 | |
(9.4) | (31.8) | (9.6) | (13.4) | ||
금융 및 보험업 | 2,032 | 2,578 | 2,476 | 1,572 | |
(25.3) | (26.9) | (△4.0) | (△36.5) | ||
부동산업 | 205,122 | 78,749 | 66,473 | 34,601 | |
(218.0) | (△61.6) | (△15.6) | (△47.9) |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13,563 | 16,214 | 16,067 | 14,350 | |
(20.2) | (19.5) | (△0.9) | (△10.7) | ||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 12,009 | 10,834 | 10,169 | 10,942 | |
(6.8) | (△9.8) | (△6.1) | (7.6) | ||
교육서비스업 | 11,471 | 11,218 | 12,175 | 13,268 | |
(△10.4) | (△2.2) | (8.5) | (9.0) | ||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 1,468 | 1,323 | 1,392 | 1,220 | |
(△6.2) | (△9.9) | (5.2) | (△12.4)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 | 7,108 | 5,961 | 6,360 | 7,269 | |
(△11.7) | (△16.1) | (6.7) | (14.3) | ||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 13,923 | 14,497 | 14,817 | 15,701 | |
(△6.7) | (4.1) | (2.2) | (6.0) | ||
* ( ) :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참고3 | 월별 창업기업동향 통계 개요 |
□ (작성목적) 전체 기업의 창업 동향을 적시에 파악하여 중소기업 현장경기를 진단하고, 창업 지원시책에 활용할 수 있는 통계생산
□ (작성근거) 『창업기업 동향(구, 신설법인 동향)』 통계작성 변경승인(통계청 통계조정과-254, ’19.1.21.)에 의한 가공통계
□ (법적근거) 통계법 제18조 및 동법시행령 제26조
□ (작성내용) 월별 전체 기업의 업종‧연령‧조직형태‧성‧지역별 창업 동향
◦ 업종 분류 : 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
*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 업종코드 기반, 통계청 조사자료 및 연계표 등 활용하여 보완
◦ 연령 분류 : 30세 미만,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만나이 기준)
◦ 조직형태별 분류 : 개인, 법인
◦ 성별 분류 : 여성, 남성
◦ 지역 분류 : 전국 17개 시·도
□ (작성단위) 영리기업
◦ 개인사업자 및 영리법인의 본점(사업자등록번호 중간 2자리로 구분)
- 제외사업자 : 80(법인 아닌 단체), 82(비영리법인의 본점 및 지점), 83
(국가,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조합), 84(외국법인의 본․지점 및 연락
사무소), 85(영리법인의 지점), 89(법인이 아닌 종교단체)
◦ 비시장 활동을 하는 비영리 기업(단체) 등은 제외
- 제외대상 산업분류 : O(국방, 사회보장), T(자가소비), U(국제기관)
- 제외대상 법인유형 : 사단·재단법인, 학교법인, 농·축·수산·산림 협동조합 등
□ (작성기관) 중소벤처기업부
□ (작성방법) 전국 사업자등록 DB(통계청, 행정자료)를 업종·연령·조직형태·성·지역별로 분류하여 집계
□ (이용 시 유의사항)
◦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상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등
◦ 기존에 작성하던 신설법인동향(법인등기자료)과 활용하는 행정자료(사업자 DB)가 변경되어 법인 총계·업종구분 상 차이가 발생하여 비교 시 유의
구분 | 차이 사유 |
총계 | • 법인등기 시점과 사업자등록 시점이 상이 • (법인등기 상당기간 후 사업자등록을 하거나,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는 경우) |
업종 | • 신설법인동향은 법인등기 시 신청인이 기재한 목적 기준, 창업기업동향은 사업자등록증의 주업종을 기준으로 업종 분류 |
□ (용어설명)
◦ 기업: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법적 단위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사업체로 구성되면서 동일자금에 의하여 소유되고 통제되는 제도적 단위 또는 법적 경영단위(회사법인, 회사이외법인, 비법인단체, 개인기업의 형태로 구분)
◦ 창업기업: 국세청에 사업자등록을 마치고 사업자 등록일자가 해당 월에 속하는 영리기업(개인, 법인기업 포함)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등 포함
◦ 기술기반창업: 기술기반업종을 영위하는 기업의 창업
* 기술기반업종(OECD, EU 기준) : 제조업 + 지식기반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사업시설관리(N75), 교육 서비스, 보건·사회복지, 예술·스포츠·여가(R90))
□ (2023년 창업기업 동향 공표 계획)
통계명 | 공표일자 | 비고 |
2023년 1/4분기 및 3월 창업기업 동향 | 2023. 6. 1.(목요일) | 보도자료 발표 |
* 상기 공표 계획은 추후 변경될 수 있음
** 통계수치는 중소벤처기업부 누리집(mss.go.kr)과 국가통계포털(kosis.kr)에 공개되며 분기별로 보도자료 발표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 부동산정보 > ┃♡┃┛_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흥권 등 6개 지구 광역교통 보완대책 발표 (0) | 2023.06.01 |
---|---|
김포 한강시네폴리스 일반산업단지계획 변경 승인 고시 (0) | 2023.06.01 |
'22년 건물에너지, 기준년('18년)대비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4.8% 감소 (0) | 2023.05.31 |
안심전세 App 2.0 버전 출시 (0) | 2023.05.30 |
대구시 청년 1,000명, 월 24만원으로 주거비 해결 가능해진다. (0) | 2023.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