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국회에서 확정된 2015년 예산 주요내용 본문

▶ 부동산정보/┗━┛ __ 부동산 세금

국회에서 확정된 2015년 예산 주요내용

귀인 청솔 2014. 12. 3. 09:31

국회에서 확정된 2015년 예산 주요내용


2015년 예산안이 12.2.(화) 국회 본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되었음

 

ㅇ 1995년 이후 19년만에 헌법에서 정한 법정기일내 예산안 처리(대선이 있었던 ‘97년, ’02년 제외)

 

2015년 예산은 당초 정부안보다 △3.6조원을 감액하는 대신, 주요 정책사업을 중심으로 3.0조원을 증액하여 총 △0.6조원 감소(376.0375.4조원)

 

재정수지(△33.6△33.4조원) 국가채무(570.1→569.9조원) 정부안 대비 소폭 개선

 

어려운 경제여건과 재정소요를 감안해 민생경제 회복과 안전 관련 사업 등에 재정지원을 추가로 확충함

 

우선, 서민생활 안정을 위해 노인․여성 등 계층별 맞춤형 지원 확대하고, 보육․의료비 지원 등을 확대해 생계비 부담 경감

 

ㅇ 경제활성화를 위해 일자리, SOC 투자 등도 확대

 

ㅇ 또한, 담뱃값의 일부를 재원으로 하는 소방안전교부세 신설하는 등 소방․안전시설 확충을 위한 안정적인 재원 기반 마련

 

정부는 국회에서 확정된 2015년 예산공고안배정계획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국무회의상정․의결할 계획임

 

금년에는 예년에 비해 예산안 조기 처리되면서 연초부터 곧바로 예산집행이 가능하고, 경제내 불확실성도 해소되어 민생경제 회복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


. 재정총량

 

? 총수입 및 총지출은 정부안 대비 감소

 

총수입은 정부안(382.7조원) 대비 △0.4조원 감소382.4조원

 

총지출은 정부안(376.0원) 대비 △0.6조원 감소(감액 Δ3.6조원, 증액 3.0조원)375.4조원

 

? 재정수지 및 국가채무는 정부안 대비 소폭 개선

 

관리재정수지△33.4조원(GDP대비 △2.1%)으로 0.2조원 개선

 

국가채무 569.9조원(GDP대비 35.7%)으로 0.2조원 축소

 

 

. 주요 국회 증액내역

 

1

 

서민생활 안정

◇ 어려운 경제여건 등으로 서민생활의 어려움이 가중되지 않도록 생계비 부담 완화 등 계층별 맞춤형 복지지원 확대

 

?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확대

 

(영유아) 교사 처우 개선 등을 통해 양질의 보육환경 조성

 

보육료 인상(3%, 450억원)맞춤형 보육지원체계 개편안 마련

 

* 사전보육 실태조사(8억원) 및 시범사업 실시(20억원) 예정

교사근무환경 선비(15→17만원/월) 인상*교사겸직 원장 수당 105억원 지원(7.5만원/월)

 

* ('14) 1,356 → ('15정부안) 1,343 → ('15최종) 1,522억원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아동보호전문기관 등의 인력 및 운영비 지원 확대

 

* ('14) 18 → ('15정부안) 169 → ('15최종) 252억원

(노인) 안정적인 소득 기반 확충 및 노인시설 지원 확대

 

어르신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재능활용형 일자리 사업기간 확대(36개월)

 

* ('14) 103 → ('15정부안) 127 → ('15최종) 233억원

 

어르신들의 건강을 위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경로당 냉난방비 지원(64,716개소, 개소당 190만원)

 

* ('14) 293 → ('15정부안) - → ('15최종) 298억원

 

(농어민) FTA 확대 및 쌀관세화 등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 경쟁력 강화

 

FTA 보완대책 및 농축산분야 경쟁력 제고를 위해 농가사료 직거래* 자금 추가지원(3,5004,000억원)축산 정책자금 금리 인하**

 

* 기존의 외상구매를 현금거래로 전환 유도하기 위해 사료구매자금 융자 지원

** 축산경영종합자금(32%) 및 긴급경영자금(31.8%) 등

 

▪ 쌀농가 경영비 절감 및 소득 안정을 위해 농지규모화 매매지원 단가 인상(33.5만원/3.3m2)이모작직불금 단가 인상(4050만원/ha)

 

농업·농촌의 근본적 경쟁력 강화를 위해 6차 산업화귀농·귀촌 지원*을 확대하여 농촌 활력제고 및 농업 체질개선을 뒷받침

 

* ('14) 421 → ('15정부안) 531 → ('15최종) 542억원

 

(장애인) 증장애인의 자립 생활 및 안정적 거주 여건 지원을 위해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장애인 거주시설** 지원 확대

 

* ('14) 34(56개소) → ('15정부안) 34(56개소) → ('15최종) 37억원(61개소)

** ('14) -(분권교부세 2,583) → ('15정부안) 4,085 → ('15최종) 4,280억원

 

(기타) 탈북민, 국가유공자 등 계층별 맞춤형 지원 강화

 

탈북민 조기 정착을 위해 기존의 생활안정 키트 외에 냉장고, 가스레인지 등 전자제품 추가 지원

 

* 탈북민 생활용품 지원: ('14) 3 → ('15정부안) 6 → ('15최종) 16억원

 

국가유공자 및 유족 등의 사망일시금 지급단가 인상(+20만원)

* ('14) 60 → ('15정부안) 65 → ('15최종) 77억원

? 생계비 부담 완화

 

(주거) 다가구 매입임대주택 출자(+3,000호) 및 전세임대 경상보조(+7,000호) 추가 공급 등 서민 주거 지원 확대

 

(보육) 육아부담 완화를 위해 저소득층의 기저귀․조제분유 구입비용 본격 지원(50억원)

 

(의료) 고위험 산모 의료비(41억원)인공무릎관절 수술비(20억원) 신규지원 등 의료비 경감을 위한 공공의료 지원 확대

 

 

? 사회안전망 확충 및 문화향유 기회 확대

 

(사회안전망 확충) 맞춤형 개별급여 전환(기초생보법 개정) 따라 양의무자 기준추가 완해 복지사각지대 해소

 

* 부양비 부과기준 완화(최저생계비 185→250%), 교육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중증장애인의 부양의무 완화

* 기초생활보장급여 : ('14) 8.2 → ('15정부안) 8.7 → ('15최종) 8.8조원

 

(문화접근성 확대) 문화시설 확충 및 문화향유 기회 확대

 

저소득층 통합문화이용권 지원대상 확대

 

* ('14) 518(144) → ('15정부안) 540(151) → ('15최종) 575억원(161만명)

 

문화재의 원형보전 등을 위한 보수․정비 지원 확대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유물 확충 등 국민들의 문화 향유권 증진 지원

 

* 문화재 보수 정비 : ('14) 2,338 → ('15정부안) 2,750 → ('15최종) 2,800억원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확충 : ('14) 29 → ('15정부안) 29 → ('15최종) 40억원

 

한국 관광․문화 홍보 등을 위해 밀라노 엑스포 한국관 운영

 

* ('14) 67 → ('15정부안) 173 → ('15최종) 262억원

2

 

경제 활성화

◇ 소득기반 확충 및 지역경제의 활력제고를 위해 일자리, SOC 등의 투자를 확대하고, R&D 투자 등 성장잠재력 확충 노력을 강화

 

?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일자리 창출 및 고용안정 지원

 

(일자리 창출) 안정적인 소득기반 확충을 위해 맞춤형 일자리 확충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촉진 등을 위한 정규직 전환 지원금 확대

 

* ('15정부안) 160(0.6) → ('15최종) 220억원(0.8만명)

 

국제전시회와 연계한 비즈니스 실무자 육성(신규, 30억원)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등 취업 취약계층 지원 강화

 

* ('14) 409.6 → ('15정부안) 431.4 → ('15최종) 445.8억원

 

(고용안정 제고) 취약 근로자의 고용안정 및 근로조건 개선

 

▪ 최저임금 100% 적용(‘15년~)에 따른 경비․단속직 근로자의 대량해고 방지를 위해 고령자 고용연장지원금(1인당 분기별 18만원) 지급 확대

 

 

* 고령자 고용지원금 : ('14) 15 → ('15정부안) 3 → ('15최종) 54억원

 

▪ 최저임금 준수 지도 등을 통해 취약근로자 근로조건 보호 강화

 

* 청소년 근로조건 지킴이 : (‘15정부안) 100 → (’15최종) 180명알바신고센터 : (‘15정부안) 10 → (’15최종) 15개소

 

? 지역경제 활력 제고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별 맞춤형 지원으로 지역경제 활력 제고

 

▪ 고속도로 등 국가기간망 확충을 위한 SOC 투자 0.4조원 확대 (24.424.8조원)

 

* 고속도로 건설 : ('14) 14,766 → ('15정부안) 14,470 → ('15최종) 15,226억원

 

▪ 진입도로 건설 등 경제자유구역 기반시설 조기 확충

 

* 경자구역 인프라 : ('14) 245 → ('15정부안) 137 → ('15최종) 191억원

▪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해 접경권 발전 사업 지원 강화

 

* 접경권 발전 지원 : ('14) 166 → ('15정부안) 170 → ('15최종) 190억원

 

국제․국내경기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시설․운영비 확대

 

* 평창 올림픽 : ('14) 1,346 → ('15정부안) 2,874 → ('15최종) 2,974억원

* 광주 U대회 : ('14) 819 → ('15정부안) 291 → ('15최종) 421억원

 

(지방교육재정 지원) 누리과정 이관 등에 따른 지방교육재정의 어려움을 감안하여 지방채 이자 지원*대체사업 지원**

 

* ('14) - → ('15정부안) - → ('15최종) 333억원(목적 예비비)

** ('14) - → ('15정부안) - → ('15최종) 4,731억원(목적 예비비)

 

?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성장잠재력 확충

 

(중소기업․소상공인 자생력 제고) 내수기반 확충을 위해 취약부문의 경쟁력 제고 노력 강화

 

중소기업 판로개척을 위해 공중파 TV 등을 통한 중기제품 홍보 지원 강화

 

* ('14) 22 → ('15정부안) 22 → ('15최종) 32억원

 

작업장 환경개선, 온라인 시스템 구축 등 소공인 특화 지원 확대

 

* ('14) 28 → ('15정부안) 260 → ('15최종) 285억원

 

(R&D 투자) 미래 신성장동력 발굴 및 지역산업 육성 투자 확대

 

3D 프린팅, 항공우주부품, 100기가급 초소형 광통신 부품 등 미래 핵심산업 기술개발 촉진

 

* 3D프린터 기술개발 및 기반구축 : ('14) 60 → ('15정부안) 215 → ('15최종) 315억원

 

* 100기가급 초소형 광통신 부품 개발 : (신규) 20억원

 

▪ 지역산업 활성화 및 지역 특화 발전을 위한 R&D투자 확대

 

* 경제협력권 사업 등 지특회계 R&D : ('15정부안) 14,545→ ('15최종) 15,245억원

3

 

안전사회 구현

◇ 안전 위해요인의 선제적 관리 및 위기대응 능력 강화를 위해

안전재원을 추가 확보하고, 국방전력을 차질없이 확충

 

?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

 

(안전투자 재원 확보) 지방의 소방․안전시설 확충 등을 위해 담배 개별소비세의 20%를 재원으로 하는 소방안전교부세 신설(신규 3,141억원)

 

지자체의 소방․안전 투자소요, 재해예방 및 안전강화 노력, 재정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소방안전교부세 교부

 

(안전투자 확대) 재해예방 및 신속대응을 위한 시설투자 확충

재해위험지역 정비, 수리시설 개보수 등 재해예방 투자 확대

 

* 재해위험지역정비 : ('14) 3,524 → ('15정부안) 3,816 → ('15최종) 3,897억원

* 수리시설개보수 : ('14) 4,800 → ('15정부안) 5,297 → ('15최종) 5,487억원

 

국내외 재난의료 지원(+10억원), 어린이 영상정보 인프라(CCTV) 구축(+5억원) 안전사고 대응 강화

 

? 생활속 위해요인 선제적 관리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일상생활 속 발생가능한 사건․사고 예방노력 강화

 

영세 소사육 농가(50두 미만)에 대해 구제역 백신접종 시술비 지원

 

* ('14) - → ('15정부안) 30 → ('15최종) 105억원

 

모든 전통시장에 대한 안전점검을 ’15년까지 완료하화재피해 등 방지

 

* ('14) 12 → ('15정부안) 12 → ('15최종) 30억원

 

파출소․지구대 신․증축(‘15최종 47개) 등을 통해 치안 역량을 강화하고, 생물테러 등 위기 대응 역량 강화

 

* 생물테러 대비: ('14) 59 → ('15정부안) 59 → ('15최종) 81억원

 

불법 대부광고 등 불법행위에 사용된 전화번호 차단 등을 위한 번호관리시스템 고도화ㆍ운영 지원

 

* ('14) 0.5 → ('15정부안) 0.5 → ('15최종) 14억원

 

(재외국민 보호) 안전담당 영사보조 인력 신규채용 등 해외체류 국민의 안전과 권익보호

 

* ('14) 51 → ('15정부안) 99 → ('15최종) 103억원

 

? 병영문화 및 방위력 개선

 

(병영문화 개선) 군 장병을 위한 안전․복지 지원 등 확대

 

해체․이전 예정부대의 경우에도 장병 복지 향상을 위해 화장실, 세면장 등 노후 병영생활관 시설지원

 

* ('14) - → ('15정부안) - → ('15최종) 230억원

 

▪ 시설관리․부대환경관리 등 부대잡무 민간용역 전환

 

* ('14) - → ('15정부안) - → ('15최종) 70억원

** 운영방안의 적정성, 병사 체감효과 등을 판단 후 단계적 확대 검토

 

(방위력 개선) 사업타당성 조사 등이 완료된 전술정보통신체계(TICN)* 및 신형 기관총 확보 등 핵심전력 차질없이 확충

 

* ('14) - → ('15정부안) - → ('15최종) 400억원

 

. 향후 계획

 

? 2015년 예산안 국무회의 의결 및 집행준비 차질없이 추진

 

ㅇ 정부는 국회에서 확정된 2015년 예산의 공고안 및 배정계획을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국무회의 상정․의결할 예정

 

ㅇ 2015년 예산이 경기회복의 마중물과 서민생활 안정의 디딤돌이 되도록 집행준비 철저

 

각 부처는 회계연도 개시 직후 예산집행이 가능하도록 사전에 사업계획 수립 등 집행준비 철저

 

재정 당국은 효율적 사업추진을 위해 예산 및 자금배정을 실시

 

? 예산안 조기통과로 민생경제 회복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

 

2015년 예산은 예년에 비해 20일 이상 조기 국회 의결됨에 따라 민생경제 회복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

 

충분한 사업 준비기간확보됨에 따라 사업 집행계획을 보다 내실있게 수립하고, 회계연도 개시 직후 곧바로 예산집행이 가능

 

* 예산안이 통과되기 전에는 사업시행 여부, 사업규모 등이 불투명해 집행계획 수립, 사업공고 등의 사전준비에 한계

 

또한, 예산의 법정시일내 확정으로 정부 예산과 연계된 지자체, 공공기관은 물론 가계․기업도 그간 연기해왔던 투자 등의 의사결정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

 

* 예시: 세법 개정 및 정부 출연․출자규모 확정 → 내년도 투자계획 조기 수립

 

  

상기 내용은 국회 본회의 심의․의결 과정에서 수정될 수 있으니, 이 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기획재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