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송도지구를 국제적인 워터프런트의 명소로 조성해야 본문

▶ 송도 국제도시/∥송도 부동산정보

송도지구를 국제적인 워터프런트의 명소로 조성해야

귀인 청솔 2013. 2. 25. 10:49

출처 : 인천시청

 

 

- 송도지구를 국제적인 워터프런트의 명소로 조성해야 -

인발연, 송도지구 수변공간 조성 및 관리방안 연구

 

 

○ 인천발전연구원(원장 김민배)은 2012년 하반기 기본과제로 수행한 “송도지구 수변공간 조성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를 발표했다.

 

경제자유구역 송도지구는 6・8공구 호수, 센트럴호수, 북측수로, 남측수로, 11공구 호수(계획 승인 중), 조류대체서식지 등 수공간이 9.58㎢로 전체 면적의 18%가 분포되어 있을 정도로 양호한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수변공간에 대한 종합적 계획이 부재한 상태이고, 센트럴호수의 해초류, 북측수로 유수지의 수질 악화 등 유지관리 문제로 인하여 수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본 연구는 송도지구의 수변공간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수변공간의 활용, 보전, 관리 등을 위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조성 및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로 제시된 방안에는 ①공공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11공구의 조류대체서식지와 북측수로 아암공원, 남측수로변 등에 호안제방의 개방성 확보가 필요하고, ②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해 접근로의 사유화 방지, 수변공간 인접지역의 4차선 이상 간선도로 배치 지양, 수변과 연계한 대규모 녹지・수공간 확보, 교통정온화 시스템 보완 등을 제시하였으며, ③활력 있는 커뮤니티와 다양한 경관형성을 위한 복합성 및 다양성 확보방안으로, 6・8공구 호수 인접지역과 11공구 진입 및 호수 인접지역, 4공구와 5공구의 유수지 등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고, ④심미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11공구 호수, 남측수로변 입구와 인천대학교 및 인하대학교 인접 지역을 경관거점이나 경관존으로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 정책적으로는 ①종합적인 수변공간계획의 수립과 일원화된 관리체계 구축, ②생태계 보전지구 및 경관지구 지정 등 Zoning을 활용한 수변공간 관리, ③「경관법」에 근거한 수변공간디자인 가이드라인 마련, ④경제자유구역 수변공간 경관심의제도 마련, ⑤환경・재해・교통 등의 영향평가와 연계하여 수변공간 통합영향평가제도 도입, ⑥수변공간 조성시 지역주민 및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