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2013년 수도권 주택가격 하락세 둔화, 전세가격 1.8%상승 ” 본문

▶ 부동산정보/┃♡┃┛_ 부동산 정보

“2013년 수도권 주택가격 하락세 둔화, 전세가격 1.8%상승 ”

귀인 청솔 2012. 11. 28. 14:33

“2013년 수도권 주택가격 하락세 둔화, 전세가격 1.8%상승 ”

- 2013년 주택거래는 기저효과로 소폭 회복 -

 

 주택산업연구원(원장 南熙龍)은『2013년 주택시장 전망』에서 2013년은 수도권과 지방 주택시장 흐름은 변화를 맞는 한 해로, 장기간 상승했던 지방 전세가격은 보합세로 전환되고, 수도권은 가격 조정 폭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매매가격) 수도권 주택가격은 하락세가 둔화되고, 장기간 큰 폭으로 상승했던 지방은 보합세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

(전세가격) 2013년에는 전국 전세가격은 약세로 전환. 수도권 전세가격 급등세는 보합수준, 지방 전세가격은 상승을 마감하고 하락세로 전환될 전망.

수도권의 주택가격은 상저하고(上底下高)의 경제성장 흐름과 유사하게 진행되어 하반기로 갈수록 하락폭을 줄일 것으로 전망하였다. 최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이루어지면서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가계부채 증가가 지속되는 등 소비자의 구매력이 낮아지고 구매심리 회복이 지연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단기간 빠른 가격회복이 이루어지기 보다는 하락폭을 줄여갈 것으로 전망하였다.

반면, 지방 주택가격은 보합세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9년 하반기부터 최근까지 3년이 넘도록 큰 폭으로 상승했지만 2013년 입주물량이 많고 공급대기 물량이 증가하면서 보합세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세가격은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폭이 더 컸다는 점을 감안하면 아파트 전세가는 하락세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국지적으로 세종시나 혁신도시는 양호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2014년 말까지 36개 행정기관은 세종시로 이전하여 ‘세종청사 시대’를 개막하고 10개 혁신도시로 114개 공공기관의 이전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면서 해당지역의 매매가나 전세가는 양호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표> 2013년 주택 매매가 및 전세가 전망 (단위 : 전년말 대비, %)

구분

전세가

매매가

전국

수도권

지방

광역시

기타지방

서울

전국

수도권

지방

광역시

기타지방

서울

전체주택

2010년

7.1

6.3

9.2

6.7

6.4

1.9

-1.8

6.4

5.5

-1.2

2011년

12.3

11.0

14.5

12.9

10.9

6.9

0.5

15.1

12.9

0.3

2012.10월

2.9

1.6

3.9

4.8

1.5

0.1

-2.5

2.9

2.9

-2.4

2013년 연구원전망*

1.3

1.8

-0.4

2.1

-1.3

-1.3

-1.2

-1.5

아파트

2010년

8.9

7.2

12.0

9.3

7.4

2.5

-2.9

8.7

7.9

-2.2

2011년

16.2

13.9

18.9

18.5

13.4

9.6

0.4

20.3

18.6

-0.4

2012.10월

3.5

1.9

4.6

5.8

1.4

0.0

-3.2

3.0

3.4

-3.8

2013년 연구원전망*

0.4

2.0

-1.6

2.5

-1.1

-1.6

0.5

-1.7

* 2013년은 연구원 전망치임. 이외 통계자료는 KB국민은행의 가격지수 변화율(2012년은 10월말 기준)

 

2013년은 새정부 출범, 수도권에서 지방의 세종청사 시대가 개막되는 등 주택시장 안팎의 큰 변화가 나타나는 해이다. 최근 주택보급률이 크게 개선되고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주택가격보다 주거가치가 우선시되는 수요 변화의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시장의 중장기적인 변화를 담는 큰 틀을 마련하는 것만이 아니라, 현재 주택시장의 불안요인을 최소화하는 단기적인 정책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이다.

2012년 10월말까지 전국의 주택거래는 55만 건으로 2011년 동기간 83만 건에 비해 3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2013년 주택거래는 2012년 급감의 기저효과로 소폭 증가하는데 그칠 뿐, 거래회복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거래회복이 제한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침체된 주택시장 여건 이외, 올해로 종료되는 거래관련 세제 혜택,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부과 폐지안의 국회통과 지연 등 정책리스크도 크게 작용하여 거래 회복의 불확실성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따라서 미분양 해소나 거래회복을 위한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폐지안의 조속한 국회통과, 취득세 감면 및 미분양 양도소득세 면제의 연장과 같은 정책대응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미분양 증가추세와 입주대기 물량이 많다는 점에서 업계는 신규 주택건설이나 분양시기 조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별 첨 : 「2013년 주택시장 전망」

 

주산연_2013년 주택시장 전망(1129).pdf

출처: 주택산업연구원

 

주산연_2013년 주택시장 전망(1129).pdf
1.39MB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