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대한민국 바이오를 이끄는 구심점,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 본문

▶ 부동산정보/┃♡┃┛_ 부동산 정보

대한민국 바이오를 이끄는 구심점,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

귀인 청솔 2025. 1. 23. 22:31

대한민국 바이오를 이끄는 구심점,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

(참고자료, 23일(목) 16시엠바고)바이오융합산업과, 드넓은 가능성의 신대륙, 첨단바이오 시대 개막을 위해 민관 원팀으로 바이오 역량 총결집.hwpx
4.01MB




- 최상목 권한대행 주재 제1차 회의에서 글로벌 바이오 5대 강국 도약을 위한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 등 발표


▶ 클러스터 연계 신규 일자리 1만개, AI 기술 융합으로 기간·비용 1/2 단축, 1조원 규모 민관 펀드 조성, CDMO 생산·매출 세계 1위 달성 등을 위한 범부처 협력 가속화







정부는 1월 23일(목), 서울바이오허브에서 최상목 권한대행 주재로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제1차 회의를 개최하였다.



※ (일시/장소) 2025. 1. 23.(목) 14:00~15:20, 서울바이오허브 글로벌센터



'드넓은 가능성의 신대륙, 첨단바이오 시대 개막'이라는 슬로건 아래 개최된 오늘 행사는 국가 바이오 정책 수립의 구심점인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을 국민들께 알리고, 글로벌 바이오 5대 강국 도약을 위한 국가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국가바이오위원회는 부위원장으로 위촉된 카이스트 이상엽 교수를 포함하여 24명의 전문가를 민간위원으로 위촉하며, 바이오 관계부처의 장관,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간사위원) 및 국가안보실 제3차장 등 12명을 당연직 정부위원*으로 구성한다.



* 과기·농식품·산업·복지부 장관, 국조실장, 식약처장, 특허·질병청장, 개인정보위 위원장, 과기수석, 안보3차장



권한대행은 모두발언에서 주요 선진국들의 바이오 분야 국가전략 마련, 관련 투자 확대 등 최근의 변화를 언급하며, 반도체·자동차 등 제조업 중심 경제로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를 연 대한민국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경제 동력원으로서 바이오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바이오위원회를 범부처 최상위 거버넌스로 출범시켜, 관계 기관에서 개별 추진 중인 정책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보건·의료, 식량, 자원, 에너지, 환경 등 바이오 전 분야에 대한 민·관의 역량을 결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권한대행은 오늘 논의된 사항들을 바탕으로 민·관이 힘을 합쳐 구체적인 액션플랜을 신속히 도출할 것을 당부하였고, 국가바이오위원회 지원단을 빠르게 출범시켜 관련 활동을 밀착 지원하겠다고 약속하였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