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 개최 및 주요 논의결과 본문

▶ 부동산정보/√ 부동산 경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 개최 및 주요 논의결과

귀인 청솔 2022. 1. 12. 09:08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 개최 및 주요 논의결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1.12()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개최하여,

 

* 참석자 : 경제부총리(주재), 고용부장관, 국무조정실장, 통계청장, 일자리수석

 

12월 및 ’21년 연간 <고용동향> 주요내용을 토대로 고용시장 상황 점검하고 향후 정책 대응방향 등을 논의하였음

 

참석자들은 12월 및 연간 고용상황에 대해서 점검하고,
특히, 다음 네 가지의 특징이 있다고 평가하였음

 

연간 취업자수 37만명 증가코로나 이전 고점 대비 100.2% 회복

 

제조업 취업자수 2개월 연속 증가 민간 부문고용회복을 주도

 

모든 연령대 고용률 5개월 연속 상승, 청년 취업자수·고용률·실업률 모두 개선

 

숙박음식업증가 전환하고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37개월만에 증가

 

금일 관계장관회의의 세부 논의사항은 다음과 같음

 

전년동월대비 취업자수가 9개월 연속 +50만명 이상 증가하며 연간 +36.9만명 증가하고 코로나19 이전 고점(’20.2) 대비 100.2% 회복

 

- 12월 전년동월대비 취업자수’21년 중 가장 큰 폭으로 증가(+77.3만명)

 

- 계절조정 취업자는 위기전 고점(’20.2) 대비 102.3만명 감소(’21.1)이후 11개월간(’21.2~12) +108.1만명 증가하여 위기 전 수준 +5.8만명 상회

 

- 1215~64세 고용률(67.4%, 계절조정)역대 최고 수준이며 연간으로는 +0.6%p 상승하였고, ’21년 실업률(3.7%)’17년 이후 최저

민간부문 고용 회복주도하고 보건복지업 공공·준공공부문 보완

 

- 전문·과학기술, 정보통신, 운수창고 등 비대면·디지털 전환 관련 서비스 고용 큰 폭 증가세 지속하며 연간 취업자 증가57.7%(+21만명)

 

* 전문과학+정보통신+운수창고업 증감(전년비, 만명) : (‘21.9)31.9 (10)32.9 (11)34.0 (12)30.0

 

- 제조업은 반도체·의약품 등 신산업 수출증가 등으로 2개월 연속 증가

 

* 제조업 취업자수 증감(전년비, 만명) : (‘21.7)0.6 (8)7.6 (9)3.7 (10)1.3 (11)5.1 (12)3.7

 

- 의료·복지·돌봄 수요 증가 등에 따른 보건복지·공공행정 부문의 상용직 중심 일자리 증가고용회복기여

 

* 보건복지+공공행정 취업자(전년비, 만명) : ('21.8)29.0 (9)27.9 (10)26.7 (11)19.8 (12)11.8
- 보건복지+공공행정 상용직 근로자(전년비, 만명) : ('21.8)15.8 (9)17.7 (10)21.9 (11)18.7

 

청년층지표개선주도하는 가운데 모든 연령대 고용률5개월 연속 상승하고 연간으로도 증가

 

* ’21년 고용률 증감(전년비, %p) : (전체)0.4 (청년)2.0 (30)0.02 (40)0.2
(50)0.8 (60세 이상) 0.5

 

- 청년층 고용률·취업자수 10개월 연속 +2%p·10만명 이상 증가하며 연간 고용률(44.2%)’05, 취업자수 증가폭(+11.5만명)’00년 이후 최고

 

- 30대는 인구 감소(1212.8만명)를 감안한 실질 취업자수*(+8.6만명) 큰 폭 증가하며 12월 고용률 상승폭(+1.3%p)연중 가장 높은 수준** 기록

 

* 실질 취업자수 증감= 취업자수 증감 자연증감(인구증감 × 중기<‘17~’19> 고용률 평균)

** 30대 고용률 증감(전년비, %p) : (‘21.8)0.3 (9)1.3 (10)1.1 (11)0.4 (12)1.3

 

고용의 세부 내용 측면에서도 상용직·전일제 중심의 뚜렷한 회복세지속

 

- 상대적으로 양질의 일자리인 상용직 3개월 연속 +60만명 이상 증가하고, 연간 임금근로자 대비 상용직 비중(71.7%) 역대 최고 수준

 

* 상용직 근로자 증감(전년비, 만명) : (‘21.8)32.4 (9)51.5 (10)61.5 (11)61.1 (12)65.2

 

- 취업시간별로도 12월 주당 36시간 이상 취업자 1~17시간크게 상회

 

* 12월 취업시간별(전년비, 만명) : (1~17시간)11.0 (18~35시간)10.2 (36시간이상)92.8

 

숙박음식업,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등 방역위기 피해가 컸던 부문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지만 일부 회복되는 조짐 관찰

 

- 12숙박음식업 취업자,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등이 전년대비 증가 전환하였으며 도소매업감소폭 축소

 

* ‘21.1112월 취업자 증감(전년비, 만명) : (숙박음식)8.66.6 (도소매)12.3→△8.0
(고용원 있는 자영업)0.45.3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7월 이후 감소폭축소되며 37개월만에 증가

 

- 다만, 누적된 피해에 따른 이들 업종·계층어려움 지속

 

* ‘21년 취업자수 증감(전년비, 만명) : (숙박음식)4.7 (도소매)15.0 (고용자영업)6.5

취업자수위기전 수준 회복주요 지표뚜렷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피해업종·계층회복 격차 등에 대해서는 참석자들 모두 엄중히 인식

 

ㅇ 또한, ‘강화된 거리두기(12.18 시행) 1월에도 지속되는 만큼 향후 고용시장 불확실성에 대해서도 더욱 예의주시하기로 의견을 모았음

 

정부는 피해계층 지원 지속·강화하는 가운데 고용 양과 질 모두 위기전 수준 이상의 완전한 회복조속히 이루도록 정책노력 강화하겠음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조치(12.18~) 등에 따른 소상공인, 자영업자어려움을 덜어드리도록 정책지원 집중

 

* 6.5조원 규모 소상공인 지원 패키지(방역지원금, 손실보상 등), 1% 초저금리자금 융자, 공과금·사회보험료 납부유예(’21.12’22.3)

 

청년·여성 등 취약 부문·계층일자리 회복적극 지원

 

- 청년희망ON시즌2의 조속한 시행, 청년고용 응원 프로젝트 참여기업 지속 확대 등 청년 채용 확대 및 직무훈련 집중 제공

 

- 온종일 돌봄 확대, 사업주 육아휴직지원금 지원 등 여성 경력단절 예방 복귀지원 사업 신속 집행

 

- 22.1월중 직접일자리 60만명 이상을 조기 채용하고 일자리 안정자금 등을 통해 코로나 일자리 취약 계층 집중 지원\

 

국민취업지원제도 내실화* 전국민 고용보험 로드맵이행 중층적 고용·사회안전망 구축속도감 있게 추진

 

* 조기취업성공수당 신설(150만원), 일경험 지원 강화(2.5만명)

 

그간의 민간주도 일자리 회복이 지속·강화되도록 규제혁신, 창업지원, 미래유망 산업 육성 등 민간 양질일자리 창출 기반 지속 강화

 

* 115.5조원 기업투자 프로젝트, 한국판 뉴딜 재정투자(33.1조원)

 

탄소중립, 신산업 전환 등 산업구조 변화대응하여 노동전환 인프라 구축하고 공정한 노동전환 지원방안본격 이행(41개사업, 1.0조원)

 

* 사업재편·전환과 노동자의 직무전환·전직지원 등을 연계하고 노동전환지원법제정 지원

 
출처 : 기획재정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