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거시경제금융 점검회의 결과 본문

▶ 부동산정보/√ 부동산 경제

거시경제금융 점검회의 결과

귀인 청솔 2021. 11. 29. 10:28

거시경제금융 점검회의 결과

 

1. 회의 개요

 

`이억원 제1차관 11.29() 08:30, 기획재정부 내 거시
경제금융 관련부서* 국제금융센터 등이 참여하는 거시
경제 금융 점검회의개최하였음

 

* 기획재정부 자금시장과, 국제금융과, 외화자금과, 국채과

 

금일 회의에서는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발생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향 등 논의하였음

2. 주요 논의내용

 

최근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발생에 따라 국내외 주가하락하고 환율(/달러)상승한 가운데

 

그간 상승세 보이던 금리와 국제유가 크게 하락하는 등 국내외 금융시장변동성확대

 

* 11.26일 중 주요 지표 변동
(S&P500)2.27 (유럽)4.74, (상해)0.56, (니케이)2.53, (코스피)1.47
(/달러 환율)+3.1, (달러인덱스)0.70%
(국채10년물 금리)16bp (국채10년물 금리)9bp (WTI)13.1%[78.468.2($/b)]

 

WHO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알파베타감마델타에 이어 다섯 번째 우려변이(Variant of Concern)지정한 가운데

 

우리나라* 포함하여 미국, EU 주요국남아공 인접
국가 등에 대한 입국 제한 조치시행하는 등 글로벌
차원에서 오미크론 확산 차단을 위한 대응과 함께

 

* 오미크론 발생·인접국가 아프리카 8개국을 방역강화국가·위험국가·격리면제 제외국가로 지정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위험회피강화되고, 투자심리위축
됨에 따라 우리 금융시장일정부분 영향받는 모습

 

억원 차관오미크론 변이확산 추이위험성 등에
명확한 분석이 나오기 전까지는*

 

정보부족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오미크론국내외 금융시장변동성확대시킬 수 있는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평가하면서도

 

* (11.26, WHO)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연구가 진행 중


(11.26, UN) WHO COVID 19 thechnical lead Dr. Maria Van Kerkhove:
오미크론 변이의 파급력을 이해하는 데까지 수주가 소요될 것

 

과거 재확산기에 나타난 우리 금융시장 복원력,
글로벌 차원에서 코로나에 대응한 방역의료 체계의 개선,
비대면 근무와 온라인 소비 확산 등 경제활동 측면에서
코로나 확산에 대한 충격 완충능력 높아진 점 등을
종합적이고 차분하게 고려할 필요있다고 강조

우선 금융시장과거 코로나 재확산 시에도 비교적 짧은 기간 내충격에서 회복1되는 복원력을 보인 바 있

 

* ‘20.8~9(2차 확산) ’20.11~‘21.2(3차 확산):
주가 하락환율 상승 후 1~2주 내 충격 전 수준 회복

 

로나 바이러스 등장 이후 글로벌 차원에서 방역의료(백신, 치료제) 체계지속 확충강화

 

* 화이자, 모더나 등 주요 백신 제조사의 오미크론 관련 데이터 확보, 시험 진행 등 신속한 오미크론 대응 착수 등 보도(11.26CNBC)

 

제활동 측면에서도 비대면 근무1온라인 소비 확산2 코로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적응력높아진 상황

 

1근로형태별 부가조사의 유연근무제 중 재택 및 원격근무 활용 비중(통계청):
(‘19.9)4.3%, (’20.9)17.4%, (‘21.8)32.3%

 

2소매판매액 중 온라인 상품 거래액 비중(통계청):
(‘19.9)21.4%, (’20.9)26.4%, (‘21.9)27.6%

 

이억원 차관오미크론 변이등장에 따라 글로벌 국제 금융시장에서 변동성확대가능성상존하는 만큼,

 

ㅇ 오미크론 변이가 경제금융시장미칠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변이 바이러스국내외 금융시장에 대한
24시간 모니터링 체제 가동해 가고

 

특히, 금융시장별상황별 시장안정 조치수단을 보다 꼼꼼히
점검해 가는 한편, 필요시에는 관계기관함께
선제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임을 강조하였음

 

정부는 앞으로도 거시경제금융회의 등을 통해 관계부처ㆍ기관* 긴밀히 소통하며 국내외 경제ㆍ금융상황 대응해 나갈 예정임

 

*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출처 : 기획재정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