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송도 국제도시
- 주택임대차보호법
- 송도타운 엄종수
- 청솔공인중개사사무소
- 송도신도시
- 청솔공인엄종수
- 송도 아파트형공장
- 스마트밸리 엄종수
- 상가임대차보호법
- 좋은 글
- 송도국제도시
- 청솔공인중개사
- 조은 글
- 송도
- 스마트밸리
- 송도센토피아
- 송도 상가분양
- 송도신도시 상가분양
- 송도 스마트밸리
- 인천경제자유구역
- 송도타운
- 청솔부동산
- 엄종수
- 계양1구역
- 공인중개사
- 송도타운 상가임대
- 중개실무
- 좋은글
- 송도타운 상가분양
- 조은글
- Today
- Total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자율주행차 개발업계의 지각 변동 움직임 본문
자율주행차 개발업계의 지각 변동 움직임
자율주행 기술확보 경쟁 치열: 완성차, 정보기술(IT)기업, 부품기업 간 3파전
특허 다출원 순위, 한국기업은 현대차 3위, LG 6위로 두각
# 헤르베르트 디스 폭스바겐그룹 최고경영자(CEO)는 “자동차 시장에서 게임체인저는 전기차가 아닌 자율주행이다”라고 말했다.(‘21. 9. 5.)
# 자율주행자 시장*은 2025년 1,549억 달러(약181조원), 2035년에는 1조 1,204억 달러(약1,313조원)로 연평균 41.0% 성장률로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자율주행차 시장도 20년 1,509억 원에서 2035년 26조 1,794억 원으로 연평균 40.0%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출처: 일본야노경제연구소,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 최근 자동차 산업은 단순한 이동수단에서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변혁 중에 있다. 특히, 자율주행차가 시장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러한 자율주행차 개발을 놓고, 관련업계에 지각 변동 움직임이 일고 있다.
ㅇ 특허청의 자율주행기술 특허분석 결과에 따르면, 완성차 제조사, IT기업, 자율주행 부품기업이 자율주행기술 특허분야 주도권을 잡기 위해 3파전을 벌이고 있다.
ㅇ 특히 자율주행차 시장이 급성장하며, 글로벌 IT기업들이 신규진입하고 있고, 기존 완성차 제조사와 시장 주도권 확보 경쟁에 나서는 모양새다.
□ 이로 인해 완성차 제조사(도요타, GM, 현대차 등), IT기업(웨이모(구글의 자율주행 부문 자회사), 애플, 바이두, LG, 테슬라 등), 자율주행 부품기업(엔비디아, 벨로다인, 모빌아이 등 반도체·라이다 제조업체)이 특허출원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ㅇ 기존 완성차 제조사는 기구축된 제조기반을, IT기업들은 검색·스마트폰·가전·항법 등 자신들만의 강점을, 부품기업들은 핵심부품에 대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율주행차 특허권 확보에 나서고 있다.
□ 특허청이 IP5*의 자율주행차 특허출원동향(‘06~’20) 조사결과, 완성차 제조사, IT기업, 부품업체 등 그룹별 선도기업(17개 기업)의 IP5 국가내 자율주행 특허출원건수를 분석한 결과, 총 2만 4,294건으로 조사됐다.[붙임1]
* IP5 : 전세계 특허출원의 85%를 차지하는 선진5개국(美·EU·中·日·韓) 특허청
ㅇ 출원건수는 전체 24,294건 중에서 완성차 제조사가 13,280건(55%)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IT기업은 5,765건으로 24%, 부품업체가 21%의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 자율주행차 주요기술별로 살펴보면, 완성차 제조사는 인지(5,630건)와 제어(5,423건) 기술분야에서 강점이 있고, IT기업과 부품업체는 인지(IT기업: 3,704건, 부품업체: 4,663건) 기술분야에서 상대적으로 특허출원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ㅇ IT기업과 부품업체는 최근 들어 완성차 제조사보다 발 빠르게 특허출원량을 급격하게 증가시키고 있어, 향후 특허주도권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 다출원 순위는 ❶도요타(5,239건), ❷소니(3,630건), ❸현대차(3,080건), ❹혼다(2,844건), ❺포드(2,069건), ❻LG(2,019건) 순으로 우리 기업인 현대차, LG가 각각 3위, 6위에 이름을 올렸다. [붙임2]
ㅇ 다출원 순위에서도 소니(2위 3,630건), LG(6위, 2,019건), 구글(8위, 1,727건) 등 IT기업들이 두각을 나타내며 자율주행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는 것으로 분석된다.
ㅇ 국내기업에서는 현대차가 전통적 완성차 제조사로, LG는 정보통신기술 등 IT 기업의 강점을 내세우며 특허권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 현대차의 경우, 최근 5년간(‘16~’20년) 출원건수(2,104건)가 이전 5년(‘11~’15년, 893건) 대비 2.4배 증가한 반면에, LG는 최근 5년간(‘16~’20년) 출원건수(1,691건)는 이전 5년(‘11~’15년, 252건) 기간 대비 6.7배 증가하여 더욱 적극적으로 출원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특허청 자율주행심사팀의 이세경 특허팀장은 “미래 자동차 산업은 자율주행, 연결, 공유, 전기차 등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특히 자율주행차는 자동차와 IT기술이 접목되어, 자동차 제조사들이 IT기업을 인수하거나, 스타트업과 연합하는 등 다양한 기업간 투자·제휴를 통한 파트너십 강화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ㅇ 또한, “향후 완성차와 IT기업간 특허분쟁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특허소송을 대비해 자율주행기술의 특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핵심특허 보유기업과 협력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한편, 특허청은 오는 11월 25일(목) 13시 30분 한국지식재산센터(강남구 역삼동)에서 산업계와 학계에 이번 특허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관련 정책 및 기술동향을 논의하는 자율주행 지식재산 전략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출처 : 특허청
'▶ 부동산정보 > √ 부동산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8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 겸 한국판뉴딜 점검회의」 개최 (0) | 2021.11.12 |
---|---|
경기경제청-시흥시-서울대-대우조선해양, ‘해양 무인 이동체 자율운항선 실증시험·고도화 업무협약’ 체결 (0) | 2021.11.12 |
’20년 인천국제공항 국제여객 1,196만 명으로 세계 8위 (0) | 2021.11.11 |
49회 임시국무회의 2021. 11. 11. 정부서울청사 (0) | 2021.11.11 |
대기업의 고민 해결사, 혁신스타트업 35개사 최종 선정 (0) | 2021.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