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송도타운 엄종수
- 좋은 글
- 송도센토피아
- 송도 국제도시
- 송도국제도시
- 송도 아파트형공장
- 엄종수
- 인천경제자유구역
- 중개실무
- 송도신도시
- 주택임대차보호법
- 청솔부동산
- 송도타운 상가임대
- 조은 글
- 스마트밸리 엄종수
- 상가임대차보호법
- 계양1구역
- 조은글
- 공인중개사
- 청솔공인엄종수
- 송도 스마트밸리
- 스마트밸리
- 송도
- 청솔공인중개사사무소
- 송도신도시 상가분양
- 송도타운
- 청솔공인중개사
- 송도타운 상가분양
- 좋은글
- 송도 상가분양
- Today
- Total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글로벌 보건위기 극복을 위한, 한미 민간 백신 협력 강화 본문
글로벌 보건위기 극복을 위한, 한미 민간 백신 협력 강화
- 뉴욕에서 ‘한미 백신 협력 협약 체결식’ 및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개최 -
- 국내 백신 기업 글로벌 진출 가속화를 통한 K-글로벌 백신 허브 도약 조기 가시화 -
□ UN 총회가 개최되고 있는 미국 뉴욕에서, 9월 21일(화) 오전 10시 30분(현지시각) 한미 양국 백신 기업 및 연구기관간 협력 강화를 위한 「한미 백신 협력 협약 체결식」과 「한미 글로벌 백신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이 개최*되었다.
*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주관
○ 두 행사는, 한미 양국 백신 기업 및 연구기관 간 협력방안을 구체화하고, 민간 부분 연대와 협력을 통한 글로벌 보건 위기 극복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이다.
□ 이번 「한미 백신 협력 협약 체결식」에서 백신 원부자재 등을 생산하는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인 싸이티바(Cytiva)가 한국 내 고부가 세포배양액 등의 생산시설 설립 투자를 내용으로 하는 투자신고서를 제출하였다.
○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전세계 유행) 이후 글로벌 원부자재 기업이 한국에 생산시설 투자를 신고한 첫 번째 사례로서,
○ 백신 원부자재의 안정적 공급망 구축뿐만 아니라, 우리나라가 글로벌 백신 허브로 도약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또한, 「한미 백신 협력 협약 체결식」에 한국과 미국의 17개 백신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 대표들이 참석하여, 원부자재 공급, 백신 공동개발, 위탁생산, 감염병 대응 연구협력에 관한 4건의 기업간 MOU(양해각서)와 4건의 연구기관 간 MOU 체결이 이루어졌다.
○ 이번 성과는 지난 5월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구축 이후 한미 양국 간 협력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 협력 주체가 중소기업으로 확대되고, 협력의 범위가 원부자재 협력, 백신 공동개발, 위탁생산 등 다양화되고 있으며, 협력의 방향도 상호 기술협력, 원부자재 수출입 등 양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 이어, 개최된 「한미 글로벌 백신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는 한미 양국 12개 백신 기업* 대표들이 모여, 코로나19 팬데믹 극복을 위한 각국 정부, 국제기구 간 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 (韓) 유바이오로직스, 아이진, 큐라티스, 팜젠사이언스, 에스티팜, 진원생명과학(美) Cytiva, Adjuvance Tech, Trilink, HDT Bio, IVY Pharma, Access Bio
○ 기술협력을 통한 백신 생산 확대방안 및 최근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백신 원부자재의 안정적인 공급방안, 코로나19 백신 및 차세대 백신 개발을 위한 백신 개발 협력방안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다.
□ 이 자리에는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권순만 원장, KOTRA 김상묵 혁신성장본부장이 자리를 함께했으며, 감염병혁신연합(CEPI) 리챠드 해쳇(Dr. Richard Hachett) 대표가 기조연설을 위해 영상으로 참여했다.
□ CEPI의 리챠드 해쳇(Dr. Richard Hachett) 대표는, 기조연설에서 코로나19 백신 생산량 증대 및 공평한 분배를 위한 CEPI의 노력에 대해 설명하면서,
○ 코백스 마켓플레이스(COVAX Marketplace) 운영과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연계를 통해 전 세계 백신 생산과 공급을 더욱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밝혔다.
□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 자리에서, 한국의 ‘글로벌 백신 허브 구축’ 노력과 투자 계획(5년간 2조 2천억 원)을 설명하고, 글로벌 감염병 위기를 함께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 모든 분야에서 한-미 간 백신 협력을 공고화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 세계적 수준의 의약품 생산능력을 가진 대한민국 기업과 세계 최고의 백신 개발 기술을 보유한 미국 기업 간 협력은 팬데믹 시대 위기 극복을 위해 연대·협력한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또한,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한미 백신 기업 간 대화」를 주재하여 한미 백신 기업들의 애로사항과 필요한 정부 지원 등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였다.
○ 여 본부장은, ①국내 백신 산업 고도화, ②유수 글로벌 백신 기업 투자유치, ③백신 분야 글로벌 협력 강화 등 우리나라가 글로벌 백신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범정부 지원을 강조하며,
○ 백신분야 연구개발(R&D) 지원, 인력 양성, 생산 인프라 개선 및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세제․재정 등 인센티브 확대, 우리나라의 자유무역협정(FTA)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미 백신 기업 제3국 공동 진출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아울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연구기관 간 MOU 체결을 통해 한미 연구개발 협력체계를 공고히 하는 기반이 마련되었다”라고 말하며, “협력 관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백신 개발 등 신·변종 감염병 대응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붙임 > 1. 한미 백신 협력 협약 체결식 개요2. 한미 글로벌 백신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개요
참고1 | 한미 백신 협력 협약 체결식 개요 |
□ 목적: 한·미 정부-기업-연구기관 간 연대와 협력을 통해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성과를 가시화하고, 글로벌 팬데믹 종식에 공동 기여
□ 일시: '21.9.21.(화) 10:30~11:10(40분) (뉴욕 현지시각)
□ 장소: JW 메리엇 에섹스 하우스 / 그랜드 살롱(1층)
□ 참석: 대통령, 복지부 장관·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양국 백신기업·연구기관
ㅇ (韓기업) 유바이오로직스, 아이진, 큐라티스, 팜젠사이언스
ㅇ (美기업) Cytiva, Adjuvance Tech, Trilink, HDT Bio, IVY Pharma, Access Bio
ㅇ (韓 연구기관)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마우스표현형사업단
ㅇ (美 연구기관) 펜실베니아 대학, 로체스터 대학, 스크립스 연구소, 잭슨연구소
□ 주요 내용
구 분 | 협약 당사자·주요 내용 |
❶투자유치 | ▸(美)Cytiva → (韓)산업부 투자신고서 제출 (9.14 이사회 결정) |
❷기업간 협력 MOU (원부자재·백신개발/생산) |
▸(韓)유바이오로직스(원부자재 수출·기술이전) → (美)Adjuvance Tech |
▸(韓)아이진(원부자재 구매) ← (美) Trilink | |
▸(韓)큐라티스(생산위탁) ← (美) HDT Bio | |
▸(韓)팜젠사이언스-(美)IVY pharma-Access Bio (mRNA 공동기술개발) | |
❸연구개발 협력 MOU | ▸(韓)한국화학연구원-(美)스크립스 연구소(서면), 로체스터 대학 |
▸(韓)한국생명공학연구원-(美)펜실베니아 대학교(UPenn) | |
▸(韓)국가마우스표현형사업단-(美)잭슨연구소 |
참고2 | 한미 글로벌 백신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개요 |
1. 행사 개요 |
□ 목적 : CEPI 등 감염병 대응 국제기구와 양국 기업 간 글로벌 협력 강화를 통한 K-글로벌 백신 허브의 국제홍보 및 성과 가시화
□ 일시 : '21.9.21.(화) 11:30~12:30(60분) (뉴욕 현지시각)
□ 장소 : JW 메리엇 에섹스 하우스 / 그랜드 살롱(1층)
□ 참여 : 복지부장관·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CEPI, 韓 ·美 백신기업 대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 등
ㅇ (韓기업) 유바이오로직스, 아이진, 큐라티스, 팜젠사이언스, 에스티팜, 진원생명과학
ㅇ (美기업) Cytiva, Adjuvance Tech, Trilink, HDT Bio, IVY Pharma, Access Bio
□ 주요 내용: 국제보건위기 대응을 위한 백신기업의 글로벌협력 강화 방향
2. 진행 순서 |
※ 한영 동시통역/좌장: 통상교섭본부장/사회: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
식 순 | 시 간 | 주요 내용 |
축사 | 11:30-11:40(10분) | - 복지부장관(글로벌 백신 공급 협력방향) -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글로벌 백신허브 산업통상지원방향) |
기조발표 | 11:40-11:50(10분) | - CEPI 대표 발표(화상연결) (COVAX Marketplce 운영 현황 및 계획) |
기관발언 | 11:50-11:55(5분) |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 겸 백신기업 협의체장 (백신기업협의체의 국제협력지원방향) |
협력기업 발언 |
11:55-12:30(35분) | - (韓) 유바이오로직스, 아이진, 큐라티스, 진원생명과학 - (美) Adjuvance Tech, Trilink, HDT Bio, IVY Pharma, Access Bio |
출처 : 보건복지부
'▶ 부동산정보 > √ 부동산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금융회의 개최 (0) | 2021.09.23 |
---|---|
한국, 글로벌 혁신지수 세계 5위, 아시아 1위! (0) | 2021.09.23 |
만기연장·상환유예 지원실적 222조원 관련 (0) | 2021.09.16 |
국민권익위, “지자체마다 상이한 전기·수소차 구매보조금 지급 거주요건 통일한다” (0) | 2021.09.15 |
대한민국 제1호 상생형 지역일자리 광주형 일자리, 양산체제 가동 (0) | 2021.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