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인공지능 혁신 중심지(허브) 사업 선정 결과 본문

▶ 부동산정보/√ 부동산 경제

인공지능 혁신 중심지(허브) 사업 선정 결과

귀인 청솔 2021. 7. 29. 15:34

인공지능 혁신 중심지(허브) 사업 선정 결과

 

국가 인공지능 역량 제고 위해 산연 한데 뭉친다.

 

인공지능 혁신 중심지(허브) 사업에 고려대 케이-중심지(K-HUB) 그랜드 연합체(컨소시엄) 선정

국내외 총 215(대학57, 기업119, 연구소18, 기타21) 기관 참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인공지능 혁신 허브 사업을 수행할 기관으로 고려대학교 주관의 K-Hub 그랜드 컨소시엄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혁신허브 사업은 국내 대학기업연구소 등에서 축적되고 있는 인공지능 연구 역량모으고, 개방형 인공지능 연구 환경 조성하여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국가 연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5월부터 사업 수행기관 선정을 위한 공모 절차진행해 왔다.

 

(5.286.28) 사업공고 (7.10) 선정평가 (7.167.29) 평가 결과 심의 및 이의신청

 

이번에 선정 된 ’K-Hub 그랜드 컨소시엄에는 국내57개 대학, 119개 기업, 18개 연구소 등 총 215개 기관이 참여한다.

 

대학고려대학교를 포함한 12개 대학2개의 연구그룹*으로 나뉘어 연구를 주도하고, 강원대, 동국대 등 국내 14개 대학 및 매사추세츠공과대(MIT), 카네기멜론대(CMU) 해외 31개 대학이 협력한다.

 

* (연구그룹1) 고려대, KAIST, 포항공대, 연세대, 한양대, 경북대
(연구그룹2) 서울대, 이화여대, 경희대, 성균관대, UNIST, 전남대

 

- 아울러, 국내 중소벤처 기업 102와 구글페이스북 등 17 해외 기업, ETRIKISTKETI 국내 주요 출연연 7개와 프라운호퍼막스플랑크연구소 등 해외 연구소 11도 협력할 예정이다.

K-Hub 그랜드 컨소시엄은 향후 최대 5년 간 약 445억원을 지원받아 인공지능 분야 고난도도전형 연구, 개방형 연구 환경 조성 최고 수준의 인재양성 등 국가 인공지능 역량 강화 인재양성구심점 역할 수행하게 된다.

 

두 개의 연구 그룹은 핵심원천 기술 확보를 위한 초거대 인공지능 개발과 로봇, 드론, 모바일, 의료, 에너지 등 분야별 특화 인공지능 연구주요 방향으로 정하고, 각 그룹이 세부 주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 연구 그룹별 주요 연구주제() >

그룹 연구방향 주요 연구주제()
연구
그룹1
초거대
인공지능
핵심기술
개발
장애인 및 노약자 의사소통을 위한 뇌파 기반 음성합성 기술
다종 데이터를 동시에 이해하는 초거대 딥러닝 학습 기술
극 사실적인 메타버스 시공간 설계 지능
뉴로 심볼릭 추론 기반 시스템 인공지능 개발
단백질 3차원 구조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
신물질 발견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개발
연구
그룹2
분야별
특화
인공지능
개발
(CORE) 능동적 학습을 통한 개념-관계 학습 인공지능
(로봇/드론) 다양한 하드웨어에 맞추어 자가 개선하는 인공지능
(모바일) 모바일 등 제한된/극한학습 환경 극복 인공지능
(의료) 기계와 전문가 판단을 고려한 상호작용 의료 진단 인공지능
(우주) 우주관측 빅데이터 보정 및 증강 연구 인공지능
(에너지) 에너지 빅데이터를 활용한 범용적 인공지능 플랫폼

 

대규모 연구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연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대 1,000명이 동시에 이용 가능한 규모인 50페타플롭스*(PF) 규모의 컴퓨팅 센터를 구축하고, KT, 네이버 등 기업에서 보유고 있는 다양한 컴퓨팅 인프라연계하여 컨소시엄 참여 대학 및 기업 연구수행제공할 계획이다.

 

* 1 페타플롭스는 초당 1천조회 이상의 연산을 수행한다는 의미로, 전 지구의 인구가(76억명)이 각각 1초동안 13만회 이상의 계산을 수행하는 것과 유사

 

아울러 대학 내 타 전공 석박사를 대상으로 인공지능 융합과정을 운영하고, 대학 간 학점교류, 지역 내 기업 재직자 대상 AI융합기술 과정운영하는 등 인재양성을 추진하며,

- 콜로퀴엄*, 세미나, 산학협력 기술 교류 활성화, 연구 성과의 산업계 확산추진하고, 개방형 공유 플랫폼을 통해 관련 정보를 인공지능에 관심 있는 연구자 모두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 (콜로퀴엄) 라틴어 모여서 말하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주로 연구과제와 관련된 전문가 토론회, 세미나 등을 의미

 

조경식 과기정통부 제2차관최신의 인공지능 연구는 보다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지고 있어 국내 최고 연구진역량을 한데 모아야 세계와 경쟁가능상황이다.”라며,

 

이번 인공지능 혁신허브에 국내 인공지능 분야를 이끌어가는 주요 연구자대부분 참여하는 만큼 국내 인공지능 역량을 한 차원 높여 줄 구심점 역할톡톡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지능 혁신 허브가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연구와 인재 양성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