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중앙·지방 정부 협력 강화를 통해 새로운‘디지털 뉴딜 2.0’적극 뒷받침하기로 본문

▶ 부동산정보/√ 부동산 경제

중앙·지방 정부 협력 강화를 통해 새로운‘디지털 뉴딜 2.0’적극 뒷받침하기로

귀인 청솔 2021. 7. 21. 15:10

중앙·지방 정부 협력 강화를 통해 새로운디지털 뉴딜 2.0’적극 뒷받침하기로

 

- 과기정통부, 2디지털·지역균형 뉴딜 연석회의개최

 

- 지역별 성과를 점검하고, 지역거점 중심 인공지능 확산 계획() 등 논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721() 조경식 2차관 주재로 행전안전부, 전국 17개 시·도 기조실장, 지역별 디지털 뉴딜 유관기관장 등이 참여하는 가운데 2 디지털-지역균형 뉴딜 연석회의(비대면)’개최하였다고 밝혔다.

 

ㅇ 이는 지난 7.14() 문재인 대통령 주재 4차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를 통해 한국판 뉴딜 2.0’ 전략이 발표됨에 따라,

 

중앙·지방 정부 간 소통과 협력을 통해 디지털·지역균형 뉴딜 간 연계를 강화하고, 디지털 뉴딜 2.0’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마련된 자리이다.

 

금번 회의에서는 디지털 뉴딜 분야를 중심으로 17개 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주요사업의 추진현황*과 애로사항을 공유·점검하고, 그 간의 성과를 지역과 산업 전반으로 더욱 확산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와 디지털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을 심도 깊게 논의하였다.

 

* 붙임 지역별 디지털 뉴딜 추진 성과참조

 

ㅇ 구체적으로 지역이 보유한 역량과 강점을 토대로 한 지역거점 중심 인공지능 확산 계획()’과 함께, 지역의 좋은 SWICT 기업과 일자리가 창출되는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지역 SW·ICT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반조성 방안()’ 집중 논의되었다.

 

ㅇ 또한 지역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지역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에 대한 교육과 지자체를 대상으로 디지털 분야 정책 컨설팅을 지원하는 방안도 함께 이야기되었다.

 

특히, ‘지역거점 중심 인공지능 확산 계획()지역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향후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 상정하여 최종 확정(7월말 잠정)할 계획이다.

 

조경식 과기정통부 2차관지난 7.14문재인 대통령께서 말씀하신 바와 같이, 과기정통부는 지금까지의 성과에 머물지 않고, 계속 발전하고 진화하는 디지털 뉴딜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며,

 

디지털과 지역균형 뉴딜 간 연계를 강화해, 국민의 삶을 개선하고, 지역경제를 혁신시켜 우리나라가 디지털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원희 사무관(044-202-6157), 이태준 사무관(044-202-6348), 이은규 사무관(044-202-6371)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지역별 디지털 뉴딜 추진 성과

 

[과기정통부 주요 지역사업] 지역 경제의 활력을 제고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는 디지털 뉴딜 추진 중

 

(지역 혁신성장 지원)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인프라 확충과 함께, 지역 특화산업ICT 기술결합하여 산업의 경쟁력 강화 지역경제 활성화

(AI융합 지역특화산업) AI솔루션 개발 컨소시엄 선정(2, 4), 실증랩 개소(충북, ’21.5)


* (’20) 지역특화산업 분야의 12개 지역기업 수요에 따라 30개의 AI솔루션 세부과제 발굴


(5G융합서비스 발굴·공공선도) 신규 모델 발굴(6, ‘21.4), 착수보고회 개최(’21.6)


* (’20) MEC기반 5G융합서비스 모델 발굴·적용(7)

 

(국민체감 변화 창출) ICT 기술을 활용한 지역 현안 해결 사회기반 시설(SOC)의 디지털화를 통해 국민 삶의 질 제고

(SOS랩 운영·SW서비스 개발)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지역주도의 R&D 환경 구축·운영(8, ’21.5~)


* (‘20) 신규고용 148, 시민연구반 참여 412, 퍼실리테이터 양성 202


(디지털트윈 공공선도) 병원, 공연장 등 4개 공공시설물과 3개 제조현장 적용·추가실증 추진(‘21.5~)


* (‘20) 안전사고 대응, 음압병동 공기흐름 유동분석 등 공공시설물 실증(6개 지역)

 

(디지털 인재양성) 뉴딜 사업우수한 지역 인재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전문성을 갖춘 지역 ICT 교육 인프라 조성운영

(이노베이션스퀘어) SW분야 교육·개발·테스트·사업화 지원과 AI확산을 위한 거점을 전국으로 확산


* (’20) 서울권, 부산·울산·경남, 경북·대구·강원, 광주·전북·전남, 대전·충남·충북·세종


(SW미래채움센터) 초중등 대상 미래채움센터* 운영, SW전문강사 양성·일자리 연계(312, ~6)


* (10개소) 강원·경남·인천·전남·충북·경기·경북·울산·제주·충남10개소, (‘20) SW전문강사 양성(1,026), ·중등학생 대상 SWAI교육 제공(39,480)

 

(디지털 포용 강화) 디지털 취약계층디지털 기기 활용 교육농어촌 통신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지역 간 정보격차 해소

(디지털배움터) 전 국민 디지털 역량강화 교육을 위해 디지털배움터 전국 1,000개소 운영


* (’20) 17개 광역·215개 기초 지자체 참여, 42.8만명 교육, 디지털 강사·서포터즈 4,712명 일자리 창출


(스마트경로당 구축) 비대면 여가프로그램 및 생활·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지자체 2(대전, 부천시) 선정(3), 서비스 구축 전문기업 모집(6)


(통신인프라 확충) 574개 농·어촌마을 초고속 인터넷망 설치, 전국 공공장소 1.5만개소 공공Wi-Fi 확대구축
* (’20) 642개 농어촌마을 초고속인터넷망 설치, 공공장소 10,022개소에 Wi-Fi구축 및 전국 시내버스 공공Wi-Fi 구축 완료

(17개 시·도 주요 성과) 디지털 전환을 위한 스마트 도시, 교통 등 인프라를 구축·확대하고, 의료, 농업, 교육 등 국민 체감 디지털서비스 제공

 

· 주요 성과
서울 스마트 서울 플랫폼 구축(실내·외 공공Wi-Fi 3천여대, 도시데이터센서 설치 250개 등)
ICT 산업 생태계 활성화(블록체인지원센터·AI양재허브 운영, AI기업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58개사 지원 등)
부산 디지털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1,200여명 참여,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가족사랑 카드 발급 25,000(‘21.5)
ICT 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AI·블록체인 역량 강화 268명 등 교육)
대구 AI 기반 교통신호 제어로 혼잡비 24억여원 절감 효과 창출(‘20.11)
스마트웰니스규제자유특구 운영(투자유치 262억원) 및 사회적 약자 편익을 위한 돌봄로봇 복지관, 요양병원 등 62개소 보급
인천 수요 응답형 버스 서비스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 대기시간 5, 이동시간 15 감소, 이용시민 91% 만족
스타트업 파크개소(‘21.2)하고, 77개 기업 입주 및 211개 기업 육성
광주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 추진(AI 기업·공공기관·대학 등 100여 곳에 AI데이터센터 서비스 개시)
광주형 AI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AI 전문기업·기관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 96개사, AI 창업캠프 내 35개 기업 입주, 1,098억원 AI 투자펀드 조성 등)
대전 공공와이파이 1,000개소 설치, 스마트 긴급출동 신호제어 시스템 구축(5개소)
ICT이노베이션스퀘어 운영(AI·블록체인 전문인력 250명 양성(‘20)) 디지털 역량 강화(34개소 센터를 운영해 18,570명 교육, 일자리 199개 창출)
울산 스마트시티 구축(시민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고도화 및 미래형 스마트시티 선도 지구 조성 )
게놈 기반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한국인 1만명 게놈 해독·분석, 질병 예측 시스템 개발을 통한 특허 6건 및 기술이전 2)
세종 세계 최초 스마트시티 국제인증(ISO 37106) 레벨4 획득(’20.11)
자율주행 규제자유특구 지정 및 기업 27유치 등, 네이버 데이터 센터 유치를 통해 지역생산유발효과(7,076억원 등) 창출
경기 공공배달 배달특급플랫폼을 출시하고, 28개 시군 서비스 중(회원수 31.5만명, 가맹점 2.8만개 등)
과기정통부와 함께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경제 빅데이터(유통) 플랫폼 및 센터 구축(기업정보, 소상공인 정보 등 데이터 199종 유통)
강원 글로벌 디지털 스튜디오 구축(‘21.4), 비대면 온라인 행사 개최 및 수출 계약액 5,550천불 달성
도민 중심 강원도 통합서비스 플랫폼 나야나구축을 통해 주민센터 방문 없이 육아수당 등 보조금 비대면 신청(수혜대상자: 2.4만명)
충북 지능형 첨단도로 교통체계 구축 운영(청주) 및 시스템 구축 중(제천)
충북형 배달앱 운영을 통해 가입자 12만명, 가맹점 7,500개소(93.8%) 달성
충남 내포신도시 내 IT클러스터(2,980억원, 혁신창업공간+데이터센터), 인공지능 융합산업진흥원(161억원, 태안군) 디지털뉴딜 인프라 구축 추진 중
도시문제 해결과 주민편의 제공을 위한 스마트시티 솔루션 및 타운조성(스마트 횡단보도 40, 스마트 폴 5, 스마트 버스정류장 11곳 등)
전북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김제시 백구면, 실습농장 2.3ha, 임대형 스마트팜 4.5ha, 실증온실 1.6ha, 지원센터 1, 빅데이터 센터 구축)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팜·SW융합서비스 플랫폼 구축(농생명 SW융합 서비스 사업화·고도화 4건 등)
전남 순천, NHN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및 R&D센터 유치(‘21.3)
도민 디지털 접근성 및 역량 강화(농어촌 마을 초고속인터넷망 141개소, 공공WiFi 2,313개소(’17~‘20), 디지털배움터 39,000명 교육 등)
온라인 농축수산물 쇼핑몰(’남도장터‘) 매출 60배 성장(’17. 54‘20. 326억원)
경북 경북형 스마트공장 보급 및 생태공장 구축 지원(스마트공장 일반구축 263개사, 업종별특화 17개사 보급완료(‘20), 스마트공장 일반구축 166개사 선정(’21))
경북 중소기업을 위한 온라인 판로 지원(‘21.5, 3,746개사 입점, 매출 1,738억원)
경남 스마트 공장 1,476개 보급(~’20) 및 공공데이터 621건 개방 등 지능형 데이터 댐 구축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공공서비스 도입(모바일 도민카드 및 전자지갑 서비스 개시(‘21.3~), 3천여건 발급)
제주 초정밀 위치기반 공공서비스 제공(대중버스 위치안내 884(‘20.6), 통원버스 안심 서비스 62개교(’20.12), 실시간 긴급재난대응 서비스 6개 병원 등)
드론 허브 도시 조성(드론 특별자유화구역 지정, ‘21), 인공지능 통합 돌봄·안전 서비스 추진 중(AI로봇 안심돌봄 250가구, ICT기반 안전장비 보급 1,160명 등)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