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스마트밸리
- 조은글
- 청솔공인중개사사무소
- 엄종수
- 주택임대차보호법
- 송도타운 상가임대
- 송도 아파트형공장
- 공인중개사
- 송도타운 상가분양
- 스마트밸리 엄종수
- 중개실무
- 송도 스마트밸리
- 인천경제자유구역
- 송도신도시
- 계양1구역
- 좋은 글
- 송도국제도시
- 송도타운
- 청솔공인중개사
- 송도타운 엄종수
- 송도신도시 상가분양
- 송도센토피아
- 조은 글
- 송도 상가분양
- 송도 국제도시
- 청솔공인엄종수
- 상가임대차보호법
- 좋은글
- 청솔부동산
- 송도
- Today
- Total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한·캐나다 FTA 2015.1.1일 발효 본문
한·캐나다 FTA 2015.1.1일 발효
한·캐나다 FTA 2015.1.1일 발효 - 세계 11위 북미선진시장과의 FTA로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전자전기제품 등 공산품 수출 확대 기대 - |
1. 한·캐나다 FTA 발효일 확정
□ 정부는 12.13일 국내절차 완료를 통보하는 서한을 캐나다와 교환하여 ’15.1.1일 한·캐나다 FTA를 발효하기로 합의함
* 한·캐나다 FTA 협정문에 따라, 양국이 국내절차 완료 상호통보일부터 30일 후 또는 양국이 합의하는 날 발효
ㅇ 우리측은 12.2일 국회 본회의에서 한·캐나다 FTA 비준 동의안이 의결되어 국내절차가 완료됨
ㅇ 캐나다는 12.11일 내각에서 한·캐나다 FTA 비준을 위한 칙령(Order in Council) 승인이 완료됨에 따라 국내절차를 완료함
□ ’15.1.1일 한·캐나다 FTA 발효시 우리의 11번째 FTA가 됨
* 발효된 FTA(10) : 한·칠레, 한·싱가포르, 한·EFTA, 한·ASEAN, 한·인도, 한·EU, 한·페루, 한·미, 한·터키, 한·호주 FTA
* 서명·타결된 FTA(4) : 한·콜롬비아, 한·뉴질랜드, 한·중, 한·베트남 FTA
2. 한·캐나다 FTA 발효 기대효과
□ 캐나다는 GDP 1.8조달러, 1인당 GDP 5.2만 달러로 세계 11위 경제대국으로서 한·캐나다 FTA를 통해 양국간 교역·투자 확대 기대
ㅇ NAFTA 이외에 주요국과 FTA를 체결하지 않은 캐나다와 아시아국가로서 처음으로 FTA를 체결함으로써, 가격경쟁력 제고 등을 통해 시장선점을 위한 유리한 위치 확보
□ (수출) 캐나다 최대 수출품목*인 승용차 관세(6.1%)가 3년철폐 되는바, ’15.1.1일 1차 관세 삭감을 시작으로 ’17.1.1일 관세가 완전 철폐됨
* ‘13년 수출 22.3억불, 수출비중 42.8%
ㅇ 자동차부품(6%)은 즉시(기어박스·클러치 등) 내지 3년철폐(범퍼·안전벨트·운전대 등)되어 ’15.1.1일 내지 ’17.1.1일 관세가 완전 철폐
ㅇ 칼라TV(5%), 세탁기·진공청소기(8%)는 즉시철폐되어 ’15.1.1일 관세가 완전 철폐
ㅇ 냉장고(8%)는 3년철폐되어 ’17.1.1일 관세가 완전 철폐
ㅇ 타이어(승용·버스·화물차용)(7%)는 5년철폐되어 ’19.1.1일 관세가 완전 철폐
□ (수입) 돼지고기 냉장(22.5%) 및 냉동삼겹(25%)은 13년철폐, 쇠고기(40%)는 15년철폐, 맥아(볶지않은 것)(269%)는 12년철폐됨
ㅇ 캐나다구스(재킷·블레이저·잠바류)(13%)는 즉시철폐되어 ’15.1.1일 관세가 완전 철폐
ㅇ 아이스와인(15%)은 3년철폐되어 ’17.1.1일 관세가 완전 철폐
ㅇ 바닷가재(20%)는 즉시(냉동) 내지 3년철폐(냉동이외)되어 ’15.1.1일 내지 ’17.1.1일 관세가 완전 철폐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 부동산정보 > ┃♡┃┛_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거복지 뿌리 내리려면 NGO 역할 중요 (0) | 2014.12.17 |
---|---|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분야 규제 철폐에 박차 (0) | 2014.12.16 |
실적공사비 제도 전면 손질한다 (0) | 2014.12.16 |
광역시·도 지방공사도 ‘토지보상 업무’ 수탁 가능 (0) | 2014.12.16 |
국토계획과 환경계획 연계로 친환경적 국토관리 강화 (0) | 201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