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엄종수
- 중개실무
- 송도 상가분양
- 스마트밸리
- 인천경제자유구역
- 송도신도시 상가분양
- 송도센토피아
- 계양1구역
- 주택임대차보호법
- 공인중개사
- 송도 스마트밸리
- 스마트밸리 엄종수
- 좋은 글
- 좋은글
- 청솔공인중개사
- 송도국제도시
- 청솔공인엄종수
- 송도 아파트형공장
- 상가임대차보호법
- 송도타운 상가임대
- 송도타운 엄종수
- 조은글
- 조은 글
- 송도 국제도시
- 청솔공인중개사사무소
- 송도
- 송도신도시
- 송도타운 상가분양
- 청솔부동산
- 송도타운
- Today
- Total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2014년 국토교통부 예산 20.9조원으로 확정 본문
2014년 국토교통부 예산 20.9조원으로 확정
2014년 국토교통부 예산 20.9조원으로 확정 |
- 도시재생 등 생활밀착형 SOC 중점 투자 -
□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14년 예산이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3,940억원 증액된 20.9조원으로 확정되었으며, 이는 전년(22.0조원)에 비해 5.0% 감소된 규모라고 밝혔다.
ㅇ 전체적으로는 침체된 경제 활성화, 서민생활 안정 등을 뒷받침하기 위해 일정수준의 투자규모를 유지하면서,
ㅇ 특히, 국회 심의과정에서 도시재생 등 생활밀착형 SOC와 도시권 교통난 완화를 위한 철도사업 등이 주로 증액되었다
< 연도별 국토교통부 예산 추이 >
|
|
|
|
|
(단위 : 조원) | |||||||||||
부 문 |
'06 |
'07 |
'08 |
'09 |
'10 |
'11 |
‘12 |
'13 | ||||||||
본예산 |
추경 |
본예산 |
추경 |
본예산 |
추경 | |||||||||||
◇ 국토부 예산 |
18.1 |
17.6 |
16.8 |
17.7 |
21.9 |
22.6 |
21.3 |
20.9 |
20.0 |
21.3 |
22.0 |
□ 국토교통부는 전년보다 예산이 다소 줄어들었으나, 생활밀착형 SOC예산 등이 상당 부분 보강됨에 따라 SOC 투자에 따른 국민들의 실질적인 체감도는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민체감형 지역균형 발전 |
□ 도시재생사업의 추진기반을 ‘13년까지 구축하고, 올해부터 선도사업(11개)을 본격 추진한다(306억원)
□ 해안권 발전사업(350억원) 등 지역성장거점사업도 내실있게 추진하고, 기반시설이 부족한 노후 공단 재정비(275억원)를 위해 대구, 대전, 전주 등 3개 우선사업 지구 공사를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생활 |
□ 주거가 불안정한 저소득층을 위해 임차료를 보조하고, 주택개보수 등을 지원하는 주택바우처 제도(296억원)를 새롭게 추진하고,
< 주택바우처제도 도입효과 >
|
대상규모 |
연 예산(국비) |
월평균 지급액 |
현행(주거급여) |
73만가구 |
5,692억원 |
8만원 |
개편이후 |
약 97만 가구 |
약 1조원 |
약 11만원 |
ㅇ 서민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노후공공임대주택 시설개선(500억원)과 재정비촉진지구 기반시설지원(1,250억원)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 아울러 아파트관리비 절감을 위해 공사․용역계약의 전문상담 지원 등을 담당하는 전문 지원센터(5억원)도 새롭게 설치한다.
* LH공사 산하 주택관리공단에 지원센터를 신설하여 전문가의 상담과 분쟁조정 지원
빠르고 편리한 교통인프라 구축 |
□ 호남고속철도(11,587억원) 및 경부고속철도 2단계(대전·대구 도심구간, 3,939억원)를 개통하고, 수도권 고속철도(2,402억원)도 ‘15년 완공을 위해 중점 투자한다.
□ 수도권 교통난 완화를 위해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100억원), 월곶-판교 복선전철(20억원),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226억원) 등 5개 도시(광역)철도* 등도 새로이 추진하고, 대도시권 혼잡도로 개선*을 통해 출퇴근 교통불편을 완화한다.
* 상일-하남 복선전철(240), 광교-호매실 복선전철(3), 광주도시철도 2호선(52), 대전도시철도 2호선(10)
** 혼잡도로 개선(생활교통혼잡도로 계획수립비 10억 포함) : 1,290(‘13) → 1,423억원(’14)
□ 또한, 장애인들의 이동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해 저상버스(862대, 378억원) 및 장애인 콜택시(281대, 55억원)를 지속적으로 보급하고,
ㅇ 교통오지 불편해소 등을 위해 울릉·흑산도에 소형공항 건설사업도 새롭게 추진한다. (울릉도 : 20억원, 흑산도 : 15억원)
□ 택시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택시산업 선진화 방안도 추진한다.
ㅇ 택시감차 보상(56억원)을 통해 택시과잉공급을 해소하고, 운송원가 부담 완화를 위해 CNG 개조(6억원)와 충전소 설치(3억원)를 지원함으로써 이용자 서비스 수준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국민 안전 및 기후변화 대응 |
□ 항공기 추락, KTX 탈선 등 최근 발생한 사고재발 방지를 위해 주요교통시설의 안전투자도 확대한다.
ㅇ 도심 내 헬기사고 등 항공기 사고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항공장애표시등을 점검·관리(1억원)하고, 제2항공교통센터를 본격 착공(대구, 120억원) 하는 등 항공안전체계 구축을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ㅇ KTX 탈선사고 재발방지를 위해 철도안전관리체계 승인제(0.8억원) 및 철도차량·용품 인증제(6억원) 도입 등 철도안전투자를 확대한다.
(‘13년 2,732 → 14년 3,067억원)
□ 또한 수도권에 교통안전체험교육장(70억원)을 추가로 건립하여 체험형 학습을 강화하는 등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17년까지 30% 줄일 계획이다. (자동차 1만대당 사망자 수 : ‘12년 2.34명 → ’17년 1.64명)
□ 재해에 취약한 하천의 시급한 정비를 위해 지방하천정비(7,653억원) 와 국가하천정비(4,281억원)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ㅇ 이상홍수에 대비한 댐치수능력증대를 위해 7개댐에 1,367억원을 투자하며, 도심침수 예방을 위한 재해취약성분석(3억원)도 새로이 시행한다.
미래대비 투자 등 신성장동력 발굴 |
□ 공간정보와 교통정보를 IT·모바일 기술과 융합한 스마트 인프라를 구축하여 신규 일자리를 창출한다.
ㅇ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부동산 입지여건 등을 인터넷 3차원 지도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고(223억원), 교통정보를 실시간 공유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차세대 ITS 시범사업(30억원)도 새로이 추진한다.
※ 국토교통분야 R&D투자 확대 : ‘13년 4,014 → ’14년 4,110억원
□ 또한 건설산업의 해외진출지원 강화를 위해 해외건설정책지원센터(’14.2월 출범)를 새롭게 설립(4억원)하는 등 해외건설시장 개척사업도 중점지원 한다.
* 해외건설시장 개척 : 108(‘13) → 148억원(’14), 글로벌인프라펀드 : 120(‘13) → 132억원(’14)
국제행사 성공적 개최 지원 |
□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지원을 위한 원주-강릉 철도 건설(8,000억원) 등 2개의 철도사업과 국도 6호선 둔내-무이(364억원) 등 8개 도로사업에 중점 투자할 계획이다.
* 평창동계올림픽 연계교통망(억원) : '13년 9,475 → '14년 11,491억원
□ 또한 제 7차 세계물포럼 개최(‘15.4, 대구·경북)를 차질없이 지원(75억원)하고, 세계도로대회(’15.11, 서울) 개최도 지원함으로써 국제 위상도 제고한다.
□ 국토교통부는 앞으로 국민들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철저한 사업계획 수립 및 집행관리를 통해 SOC 투자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제고시켜 나가고,
ㅇ 경기부양과 고용유발 효과가 큰 SOC 예산을 상반기에 조기 집행(상반기까지 64%)하는 등 속도감 있는 집행관리를 통해 최근의 경기 회복세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참고 1 |
|
'14년 국토교통부 부문별 예산 현황(국회 확정) |
(단위 : 억원, %)
부 문 |
'13예산 (A) |
‘14년 예산 |
증감 | |||
정부안 (B) |
최종 (C) |
금액 (C-B) |
정부안대비 (B-A)/A |
‘13년대비 (C-A)/A | ||
합 계 |
220,205 |
205,176 |
209,116 |
3,940 |
1.9 |
△5.0 |
도 로 |
89,344 |
82,954 |
83,912 |
958 |
1.2 |
△6.1 |
철 도 |
61,380 |
59,810 |
61,799 |
1,989 |
3.3 |
0.7 |
도시철도 |
7,761 |
6,103 |
6,233 |
130 |
2.1 |
△19.7 |
항공ㆍ공항 |
830 |
1,004 |
1,007 |
3 |
0.3 |
21.3 |
물류 등 기타 |
12,159 |
12,615 |
12,684 |
69 |
0.5 |
4.3 |
수자원 |
27,694 |
23,512 |
23,830 |
318 |
1.4 |
△14.0 |
지역 및 도시 |
8,034 |
7,842 |
7,978 |
136 |
1.7 |
△0.7 |
산업단지 |
9,742 |
8,964 |
8,991 |
27 |
0.3 |
△7.7 |
주택 |
3,260 |
2,372 |
2,682 |
310 |
13.1 |
△17.7 |
※ 주택기금 : (‘13년) 17.2조(추경제외) → (’14 정부안) 18.0조 → ('14 최종) 18.0조(△ 318억)
참고 2 |
|
'14년 국토교통부 예산 주요내용(요약) |
국민체감형 지역균형발전 |
쇠퇴도심 재생 |
|
▪도시재생 선도사업 지원 (5 → 306억원) ▪노후공단 재정비 (43 → 275억원) |
|
| |
지역성장거점 육성 |
|
▪혁신도시 지원 (90 → 109억원) ▪해안권 발전사업 지원 (198 → 350억원) |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생활 |
저소득층 주거안정 강화 |
|
▪주택바우처 제도 도입 (296억원) ▪행복주택 건설지원 (2.4만호, 4,294억원(기금)) |
|
| |
주거환경 개선 |
|
▪노후공공임대 시설개선 (500억원) ▪공동주택 분쟁조정 전문센터 설치 (5억원) |
빠르고 편리한 교통인프라 구축 |
국책사업 적기 완공 |
|
▪호남·경부2단계 KTX 완공 (15,526억원) ▪평창동계올림픽 연계교통망 (9,475 → 11,491억원) |
|
| |
수도권 교통난 완화 |
|
▪GTX(100억원), 광역(도시)철도 신규 (삼성-동탄 등 5개) ▪대도시권 혼잡도로 개선 (1,290 → 1,423억원) |
|
|
|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
|
▪저상버스(862대), 장애인콜택시(281대) 보급 ▪울릉·흑산도 소형공항 건설 (35억원) |
|
|
|
택시산업 선진화 |
|
▪택시감차보상 지원 (56억원) ▪CNG개조(6억원) 및 충전소(3억원) 설치 지원 |
국민안전 및 기후변화 대응 |
교통시설 안전투자 확대 |
|
▪철도·항공 안전투자 확대 (3,133 → 3,669억원) ▪수도권교통안전체험교육장 건립 (70억원) |
|
| |
기후변화 대응 |
|
▪국가하천(4,281억원) 및 지방하천(7,653억원) 정비 ▪세계물포럼 개최 지원 (50 → 75억원) |
미래 신성장동력 발굴 |
스마트 인프라 구축 |
|
▪국토공간기반조성 (152 → 223억원) ▪차세대 ITS 시범사업 (30억원) ▪국토교통 R&D투자 확대 (4,014 → 4,110원) |
|
| |
해외건설 시장개척 지원 |
|
▪해외건설시장 개척지원 (108 → 148억원) ▪글로벌인프라펀드 (120 → 132억원) |
참고 3 |
|
국회 심의 시 주요 증액사업 |
(단위 : 억원)
사 업 명 |
정부안 |
증액규모 |
최종 |
비고 |
주택바우처시범사업 |
236 |
60 |
296 |
기초 조사비 |
노후공공임대주택시설개선개선(그린홈) |
400 |
100 |
500 |
시설개선 사업비 |
지적재조사 |
30 |
50 |
80 |
지자체 보조 사업비 |
도시재생 |
243 |
63 |
306 |
선도지역 개수 증가(8→11) |
서울지방항공청 항공안전관리 |
1 |
1 |
2 |
항공장애등 설치 |
해외건설시장개척 |
141 |
7 |
148 |
정책지원센터 등 |
물포럼 개최지원 |
63 |
12 |
75 |
행사비용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
- |
100 |
100 |
기본계획 수립비 |
상일-하남 복선전철 |
140 |
100 |
240 |
착공비 |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
120 |
106 |
226 |
기본계획 및 설계비 |
출처 : 국토교통부
'▶ 부동산정보 > ┃-·┃┓_ 부동산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적률 높이고, 복합용지 늘려 도시첨단산업단지, 노후산단 재생사업 활성화 한다 (0) | 2014.01.07 |
---|---|
[참고] 아파트 관리 비리 보도 관련 (0) | 2014.01.06 |
제2차 장기(2013~2022년) 주택종합계획 추진 (0) | 2013.12.30 |
국토부, 내년부터 대규모 개발사업에 대한 정책실명제 도입 (0) | 2013.12.30 |
기획재정부 「2014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발간 [첨부파일] (0) | 2013.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