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송도컨벤시아 2단계 건립사업 최종 확정, 국비 1,500억원 확보 쾌거 본문

▶ 송도 국제도시/∥송도 부동산정보

송도컨벤시아 2단계 건립사업 최종 확정, 국비 1,500억원 확보 쾌거

귀인 청솔 2014. 1. 2. 13:38

송도컨벤시아 2단계 건립사업 최종 확정, 국비 1,500억원 확보 쾌거

 

 

송도컨벤시아 2단계 건립사업 최종 확정,

국비 1,500억원 확보 쾌거

 

○ 인천경제자유구역청 환상의 드림팀의 국비확보 전략이 빛을 보았다. 5년전에 산업부로부터 국비지원 불가라는 통보에 포기하지 않고 송영길 인천시장이 팔 걷어 부치고 뚝심으로 일궈 낸 결과이다.

 

○ 송도컨벤시아 2단계 건립사업은 ’09년 산업부 전시산업발전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비를 ’13년 광특회계로 20억원 반영한바 있으나, 중앙정부의 SOC 투자사업 예산 축소 계획에 따라 컨벤시아 2단계 사업이 어렵다는 입장표명에 따라 임대형 민자사업(BTL)으로 전환하였다. 이에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사업 타당성검토로 적격성을 확보하고, 산업부, 기재부로부터 BTL 한도액 1,542억을 심의의결 받아 ‘14년 정부BTL한도액에 반영시켜, 국회 산업위원회 및 예산결산위원회를 거쳐 본회의 최종의결을 거쳐 1,500억원의 쾌거를 이루었다.

 

○ 송도컨벤시아 2단계는 연면적 61,371㎡에 지하 1층, 지상 4층 건물로 전시실 8,500㎡에 회의시설 2,700㎡으로 조성된다. 송도컨벤시아 2단계 건립으로 인천시 MICE산업 발전을 위한 전기가 마련되었다. 그 동안 시설이 부족해 개최하지 못했던 전시 및 컨벤션 행사를 유치하고 편의시설 확충 등 1단계 시설을 보완하여 건립되며 2017년 완공될 예정이다.

 

○ 쉽지 않은 과정이었다. 이종철 경제청장은 치밀한 전략과 계획을 세워 기재부, 산업부, KDI, 감사원 국회 등 밤낮없이 뛰어 다니며 컨벤시아의 건립 필요성을 설득하였다. 조명우 행정부시장은 감사원 감사위원등을 만나인천시 행정의 발전방향, 송도국제도시가 우리나라에서 차지하는 위치 및 MICE 산업발전의 파급효과 등을 상세히 설명하여 사업의 타당성을 설득하였으며 김교흥 정무부시장은 관련 상임위 및 지역 국회위원을 찾아 컨벤시아 사업에 대하여 심도 있는 대화로 경제청사업에 대하여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도록 한명 한명 일일이 만나며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송영길 시장 이하 간부 공무원들 모두 한마음이 되어 발로 뛴 열정이 빚어낸 결과이다.

 

○ MICE산업은 황금알을 낳는 산업으로 인정받을 정도로 전후방 파급효과가 높은 산업이다. 한국관광공사 통계에 의하면 MICE 관광객 씀씀이는 일반관광객의 씀씀이보다 1.63배를 넘어선다. 한국관광공사가 2011년 발표한 국제회의 참가자들의 직접지출은 평균 2,496달러에 달한다. 마이스 관광객 4명만 끌어와도 1,000cc 경차 한대를 수출한 것과 맞먹는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셈이다. 내국인 마이스 참가자들의 씀씀이도 적지 않다. 2인당 직접 지출이 무려 86만5662원이다. 취업 유발 효과도 크다. 외국인 관광객 지출 10억당 22.9명이니 제조업(12.1명)의 두 배에 달한다. 싱가폴에 마리나베이 샌즈 리조트 개장 3년만에 싱가폴 관광업 전체 매출이 41% 상승, 직간접적으로 창출된 일자리가 3만5000개에 달한다. 이렇다 보니 국내 지자체별 MICE산업 육성을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 그러나 인천시는 타 지자체와 차별화되는 점이 있다. 바로 국제기구이다.. 최근 오픈한 월드뱅크 한국사무소까지 하면 13개의 국제기구가 송도지구에 유치되었다. 2012년 유치 확정된 녹색기후기금(GCF)의 경우 연간 100회 이상의 국제회의가 개최되고, 이로 인한 경제유발효과만 1900억원에 달한다.

 

○ 이러한 국제기구를 제대로 활용한다면 인천시는 기존 행사 유치 위주였던 산업 형태에서 자체 행사를 보유한 국내 최초 유일한 지자체가 될 것이다. 이는 마이스 산업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혁신적인 사례가 될 것이며 인천 마이스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마이스산업 미래의 모습이 인천시에 있다.

 

출처 : 인천경제자유구역청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