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3월 전국 땅값 0.11% 올라 안정세 지속 본문

▶ 부동산정보/┃♡┃┛_ 부동산 정보

3월 전국 땅값 0.11% 올라 안정세 지속

귀인 청솔 2013. 4. 25. 09:27

 3월 전국 땅값 0.11% 올라 안정세 지속

 

- 53개월 만에 세계금융위기 전 지가수준(’08.10) 회복

 

 

  ’13. 3월 지가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3월 전국 지가가 전월 대비 0.11% 상승하여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현 지가는 금융위기 발생 전 고점('08.10월) 대비 0.09% 높은 수준으로 53개월 만에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 전국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12

‘13

3

4

5

6

7

8

9

10

11

12

1

2

3

0.12%

0.12%

0.11%

0.10%

0.07%

0.03%

0.02%

0.06%

0.07%

0.08%

0.03%

0.07%

0.11%


 

  < 지역별 지가변동률 >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지방

'13.3월 지변율

0.11 %

0.10 %

0.11 %

0.12 %

0.10 %

0.12 %

고점대비(’08.10)

0.09 %

-1.04 %

-2.91 %

0.50 %

0.81 %

2.18 %



 [1] 행정구역별 

 서울은 0.11%를 기록하여 2개월 연속 소폭 상승하였으며, 용산구(-0.04%)를 제외한 24개 자치구가 상승하였다.


  * 0.03%(‘12.11월)→0.05%(12월)→-0.06%(‘13.1월)→0.06%(2월)→0.11%(3월)



 세종시는 0.51% 올라, 작년 3월부터 13개월 연속 전국 1위를 기록하였다. 
 

  < 세종시 월간 지가변동률 추이 >

 ※ ’12.6월까지는 구 연기군 지가변동률(’12.7.1 세종시 출범)



 전국적으로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중앙행정기관 이전이 진행되고 있는 세종시와 평택-시흥간 제2서해안고속도로가 개통된 안산 단원구 등에서 국지적으로 지가가 상승하였다. 
 

  < 지가변동률 상위 5개 지역 >

순위

행정구역명

변동률(%)

변 동 사 유

1

세종특별자치시

0.509

중앙행정기관 이전, 영호남 교통물류 분기점으로 접근성 개선 등

2

경기도 안산 단원구

0.313

평택-시흥 고속도로 및 소사-원시선 지하철공사 등 교통여건 개선

3

경기도 군포시

0.278

군포-의왕 시계간 도로개설공사, 지구단위 개발사업 등

4

경기도 하남시

0.255

미사 보금자리 개발, 감일 지구 보상예정, 신장동 복합쇼핑센터 개발 등

5

인천광역시 연수구

0.230

송도 5공구 공동주택용지 계약체결, 동춘구역 개발사업 지속 진행 등



 반면, 뉴타운·재건축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고양 덕양구, 남북관계 경색으로 긴장감이 조성되고 있는 인천 옹진군 등은 하락하였다. 
 

  < 지가변동률 하위 5개 지역 >

순위

행정구역명

변동률(%)

변 동 사 유

1

경기도 고양 덕양구

-0.151

뉴타운, 재건축 사업의 정체, 택지개발사업의 지연 등

2

인천광역시 옹진군

-0.150

대북관계 등으로 인한 접경지역의 부동산 경기악화 등

3

경기도 수원 권선구

-0.083

권선지구 택지개발 및 도시정비사업 부진 등으로 거래감소

4

부산광역시 사하구

-0.071

신평/장림/다대 등 공업지역의 거래감소 및 조선업 불황 등

5

서울특별시 용산구

-0.035

국제업무지구 사업 무산에 따른 가격수준 하락



 [2] 용도지역·이용상황별 

 용도지역별로는 계획관리지역(0.18%), 주거지역(0.11%), 녹지지역(0.11%)등은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되었고, 공업지역(0.10%), 상업지역(0.08%) 등은 전월과 비슷한 수준의 상승폭을 나타내었다. 
 

  <용도지역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구 분

도시지역

도시지역

주거

상업

공업

녹지

관리

농림

자연환경

보전

생산

계획

'13.1

-0.01

0.09

0.03

0.06

0.03

0.08

0.13

0.10

0.07

2

0.05

0.08

0.10

0.08

0.03

0.05

0.11

0.05

0.02

3

0.11

0.08

0.10

0.11

0.04

0.07

0.18

0.07

0.04



 이용상황별로는 전(0.13%), 주거용(0.09%), 기타(0.08%) 등은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되었고, 상업용(0.09%)은 상승폭이 감소하였다. 
 

  < 이용상황별(지목별) 지가 동향(전월대비, %) >

구 분

농지

대지

임야

공장

용지

기타

주거용

상업용

'13.1

0.09

0.10

-0.04

0.07

0.05

0.05

-0.37

2

0.07

0.06

0.01

0.10

0.04

0.10

0.03

3

0.13

0.09

0.09

0.09

0.08

0.13

0.08



 ’13.3월 토지거래량 

 전체 토지거래량은 총 180,763필지, 175,003천㎡로 전년 동월(186,754필지, 189,211천㎡) 대비 (1) 필지수 3.2% 감소, (2) 면적 7.5% 감소하였으며,

  전월 대비 필지수 27.6% 증가, 면적 33.1% 증가하였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총 81,799필지, 166,052천㎡로 전년 동월(85,597필지, 178,353천㎡) 대비 (1) 필지수 4.4% 감소, (2) 면적 6.9% 감소하였으며,


  * 순수토지란 건축물 부속토지 거래를 제외한 토지만으로 거래되는 토지를 의미하며, 3월 전체 토지거래량의 필지수 45.3%, 면적 94.9%를 차지



  전월 대비 필지수 26.6% 증가, 면적 34.0% 증가하였다. 
 

  < 월간 토지거래량 추이(필지수 기준) >



 《 붙임 》 1. ’13.3월 참고 그래프 
               2. ’13.3월 지가동향 
               3. ’13.3월 토지거래량 
               4. ’13.3월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증감률 색인도

 

☞ 지가변동률과 토지거래량에 대한 상세한 자료는 ‘온나라 부동산정보 통합포털’(www.onnara.go.kr), ‘국토교통 통계누리’(stat.molit.go.kr) 또는 ‘R-ONE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one.co.kr)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30425(석간) '13년 3월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토지정책과).hwp

 

 

출처 : 국토교통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