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해명] “GTX 조기착공 가능성... 부실검증 우려”보도 관련 본문

▶ 부동산정보/┃♡┃┛_ 부동산 정보

[해명] “GTX 조기착공 가능성... 부실검증 우려”보도 관련

귀인 청솔 2013. 1. 5. 10:06

[해명] “GTX 조기착공 가능성... 부실검증 우려”보도 관련

 

출처 : 국토해양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는 2천만 수도권 주민들의 교통편의를 개선하기 위한 신개념 교통수단으로서 주요 거점역을 30분이내 접근가능하도록 계획


   * ’10년 기준, 수도권(서울?인천?경기) 지역 통근자는 1,065만명이며 이 중 4명중 1명은 통근시 1시간 이상을 소비(교통연구원)



 ’08년 이전부터 광역급행철도 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경기도, 대한교통학회에서 사전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전문연구기관인 교통연구원의 추가 검증을 통해 사업 타당성은 충분히 확인되었으므로 의정부 경전철 등과의 단순 비교는 곤란


   * (B/C) 대한교통학회 1.24, 교통연구원 1.17



 ’11.12월 정부는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하여 충분한 시간을 갖고 검토 작업을 진행해왔으며

  금년 예산 미 확보시, 사업 추진이 1년 이상 지연되어 수도권 외곽 서민들의 교통 불편도 가중될 수 밖에 없는 상황 

 광역급행철도는 세계 3대 인구밀집 권역인 수도권의 고질적인 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수도권 철도교통 인프라 공급이 절대 부족한 상태


   * (세계 인구순위, 만명) ①도쿄권 3,245, ②서울권 2,055, ③멕시코시티권 2,045
   * (대도시권 전철 연장) 동경권 2,578km, 파리권 1,698km, 수도권 1,184km



  기존 경전철과 달리 주요 광역교통축을 비롯한 수도권 전역이 영향 범위에 포함되므로 수요는 충분 

 국토해양부는 수도권 통근자들의 교통편의를 위해 통합환승요금제를 비롯한 다양한 요금제를 검토하고 전문기관의 수요 분석을 통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계획을 수립

  국토해양부는 예비타당성조사 단계에서 기획재정부와 협의해가며 적정 요금제, 이용 수요 산정방법 등을 검토중이며

  애초 계획에 없던 환승할인을 추가하고 이용객 추정범위도 통상적인 범위 이상으로 조정했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름

  〈 보도내용 (한겨레) '13.1.4) 〉

 GTX 조기착공 가능성... 부실검증 우려

  - 당초 계획에는 없던 환승할인을 추가 - 이용 예상객 추정범위를 500m에서 1km로 확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