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대구‧경북, 탄탄한 철도 인프라 기반으로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26~’30)’ 수립한다 본문

▶ 부동산정보/┃♡┃┛_ 부동산 정보

대구‧경북, 탄탄한 철도 인프라 기반으로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26~’30)’ 수립한다

귀인 청솔 2025. 5. 10. 14:09

대구‧경북, 탄탄한 철도 인프라 기반으로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26~’30)’ 수립한다



- 9일 간담회에서 14건의 신규사업 논의… 광역경제생활권 성장 지원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강희업, 이하



   “대광위”)는 5월 9일(금) 오후 대구테크노파크(동대구캠퍼스)에서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26~’30)’ 수립을 위한 대구권* 간담회를 개최한다.



    * 대구권: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구미시·경산시·영천시·청도군·고령군·성주군·칠곡군·의성군·청송군 및 경상남도 창녕군



ㅇ 이번 간담회에는 강희업 대광위원장, 홍성주 대구광역시 경제부시장을 비롯, 한국교통연구원, 대구정책연구원, 경북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하여 광역교통시설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할 사업에 대해 논의한다.



【 광역교통시행계획 】



▪ (개요) 「광역교통법」 제3조의2에 따라 광역교통시설의 확충과 광역교통체계의 개선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5년 단위로 수립하는 법정 계획



▪ (공간적 범위) 5개 대도시권(수도권, 부산‧울산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



  * 「광역교통법 시행령」 제2조 별표 1에 따른 대도시권으로, 「광역교통법」 개정(4.22 공포, 10.23 시행)에 따라, ‘인구 50만 이상의 대도시 중 도청소재지인 도시 및 그 도시와 같은 교통생활권’ 해당 지역 신설 예정



▪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 광역철도 47개, 광역도로 25개, 광역BRT 12개, 환승센터 44개 등 총 146개 사업 반영, 총 투자규모(국비) 28조원(5개년 국비 기준 7.1조원)



□ 먼저, 대구정책연구원과 경북연구원이 대구‧경북 지역의 교통 현황과 광역교통 개선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이어서,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가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21~’25)에 반영된 사업의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 건의 사업을 발표한다.



   마지막으로,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 수립 연구의 주관기관인 한국교통연구원이 건의 사업에 대한 1차 검토 결과 및 향후 추진일정을 설명할 예정이다.



□ 대구광역시는 지난해 말 개통한 지방권 최초의 도시철도 연장형 광역철도*인 안심~하양선을 비롯해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되었던 기존 사업 10건의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1건의 광역도로 사업을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 (사업규모) 연장 8.9km, 정거장 3개소 / 대구 괴전동(안심역) ~ 경산 하양읍(하양역)

(총사업비) 3,728억원 / (이동시간) 동대구→하양: 60분(버스)→32분(△28분 단축)



□ 경상북도는 안심~하양선을 연장하는 대구 1호선 영천 연장* 등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되었던 기존 사업 3건의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9건의 광역철도, 3건의 광역도로, 1건의 환승센터 등 총 13건의 신규사업을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 (사업규모) 연장 5.77km, 정거장 2개소 / 경산 하양역 ~ 영천시

    (총사업비) 2,341억원 / (진행단계)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수립용역 착수(’24.10~)



ㅇ 한국교통연구원은 대구권 신규 건의사업 14건에 대한 검토 결과를 보고하고, 사업별 경제성 분석(B/C), 자체 신규 사업 발굴, 지자체 협의, 공청회 개최 등 앞으로의 일정에 대해 설명한다.



□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대구‧경북 지역은 대경선(지방권 최초의 광역철도)과 안심~하양선이 작년 말 개통하여 안정적으로 운행되는 등 전국에서도 손에 꼽히는 철도 인프라를 갖춘 지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ㅇ “대구와 경북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광역교통망 구축을 통해 두 지역이 하나의 광역경제생활권으로 성장하고, 수도권에 대응하는 지역의 거점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힐 예정이다.



□ 한편, 대광위는 앞서 3월에는 부산‧울산권, 4월에는 광주권 간담회를 개최했다. 5월 9일 대구권, 5월 14일 대전권 간담회 및 6월 중 수도권 간담회를 순차적으로 개최하여, 상반기 내 권역별 의견 수렴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출처 : 국토교통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