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좋은글
- 중개실무
- 계양1구역
- 송도타운 상가분양
- 청솔공인중개사사무소
- 좋은 글
- 청솔공인엄종수
- 송도센토피아
- 송도신도시
- 공인중개사
- 송도 아파트형공장
- 송도
- 송도타운
- 조은 글
- 스마트밸리 엄종수
- 송도 상가분양
- 청솔부동산
- 상가임대차보호법
- 엄종수
- 송도국제도시
- 송도 국제도시
- 스마트밸리
- 송도 스마트밸리
- 송도타운 상가임대
- 주택임대차보호법
- 송도신도시 상가분양
- 청솔공인중개사
- 인천경제자유구역
- 송도타운 엄종수
- 조은글
- Today
- Total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경기도, 2040년 부천 도시기본계획 승인…인구 89만 명 목표 본문
경기도, 2040년 부천 도시기본계획 승인…인구 89만 명 목표
○ 도, 2040년 부천 도시기본계획(안) 승인
- 계획인구 89만 명, 시가화용지 35.119㎢, 시가화예정용지 0.498㎢
○ 도시공간구조를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1도심 3부도심 3지역중심으로 계획
○ ‘꿈으로 소통하고 문화로 하나되는 스마트녹색도시 부천’으로 발전전략 제시
![](https://blog.kakaocdn.net/dn/bfqVs0/btsL9uzIUCS/Ny3bREuUDBFKMBfIWgTyV0/tfile.png)
경기도는 부천시가 신청한 ‘2040년 부천 도시기본계획(안)’을 최종 승인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부천시의 미래와 장기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최상위 공간계획으로 지속 가능한 국토관리를 위한 정책 및 전략을 담고 있다.
2040년 부천시의 목표 계획인구는 통계청 인구추계치와 3기 신도시, 역세권개발 등 각종 개발사업으로 유입될 인구를 고려해 89만 명(현재 약 80만 명)으로 설정했다.
부천시 전체 행정구역(53.45㎢) 가운데 장래 도시발전에 대비해 개발 가용지 0.498㎢를 시가화예정용지로 계획하고 시가화된 기존 개발지 35.119㎢는 시가화용지, 나머지 17.833㎢는 보전용지로 토지이용계획을 확정했다.
부천시 공간구조는 신규 개발사업, GTX·지하철 신규노선 등에 따른 거점 변화 등을 고려해 1도심 3부도심 3지역중심으로 계획했다.
생활권은 대장·춘의, 중·상동, 부천·소사 총 3개 권역으로 계획했으며, 대장·춘의권역은 노후 공업지역 정비 및 역세권 활성화, 중·상동권역은 노후 신도시 정비 및 문화·행정·업무 기능 강화, 부천·소사권역은 도시재생활성화 및 생활기반시설(SOC) 공급을 통한 균형발전 등 발전전략을 제시했다.
교통계획은 단절·병목 없는 최적의 내부 도로망 체계 구축, 광역급행철도(GTX-B‧D) 등 철도망 계획, 대중교통 간 연계를 위한 스마트 환승플랫폼 시스템 구축 등을 반영했다.
박현석 경기도 도시정책과장은 “2040년 부천 도시기본계획 승인에 따라 부천시가 3기 신도시(대장지구), 영상문화단지, 종합운동장역세권 등 다양한 개발사업, 노후신도시 정비, 원도심 재생활성화를 통해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도시경쟁력을 강화시킬 것”이라며 “지속가능한 도시로 성장함과 더불어 부천시민들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승인된 2040년 부천 도시기본계획은 2월 중 부천시 누리집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출처 : 경기도청
'▶ 부동산정보 > ┃♡┃┛_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지난해 전세사기 집중 수사 완료. 공인중개사 등 99명 검찰 송치 (0) | 2025.02.08 |
---|---|
경기도가 직접 만든 신도시 광교, 개발시작 20년 만에 준공 (0) | 2025.02.08 |
경기도, 광명시 도시재생 전략계획 변경 승인. 도시재생 발판 마련 (0) | 2025.02.05 |
경기도, 제3판교TV 첨단학과 대학 유치 결과 4월 발표. 2026년 착공 (0) | 2025.02.05 |
경기도, 2040년 수원 도시기본계획 승인…인구 128만명 목표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