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부산항, 수출입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글로벌 TOP 3 항만으로 키운다 본문

▶ 부동산 개발/└‥‥▷ 항만

부산항, 수출입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글로벌 TOP 3 항만으로 키운다

귀인 청솔 2024. 12. 11. 11:39

부산항수출입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글로벌 TOP 3 항만으로 키운다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에도 안정적인 수출입 물류체계를 확보하기 위한 글로벌 거점항만 구축전략을 마련하여 12월 11()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했다.

 

  국가간 무역분쟁이 심화되면서 글로벌 물류시장은 급격히 재편되고 있으며, 중동분쟁으로 공급망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선사들은 해운동맹을 재편하고선박의 크기와 선대를 늘려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처하고 있다특히세계 2위 선사 머스크와 5위 하팍로이드가 합쳐 새롭게 출범한 제미나이 해운동맹은 거점항만 중심의 선대 운영 계획을 발표하였다.

 

   컨테이너 운임지수(SCFI) : (23.1) 1,061  (23.11) 1,067  (24.1) 2,206  (24.6) 3,714 → (24.10) 2,063

  ** 희망봉 우회로 亞-유럽 10~14일 추가 소요파나마 운하 가뭄으로 통항 ∆39%/

 

  이같은 해운산업의 변화에 발맞추어 중국싱가포르와 같은 세계 주요 항만들은 터미널을 대형화하고 스마트항만 구축과 항만의 친환경화를 통해 글로벌 선사 유치에 힘쓰고 있다향후 주요 국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으로 공급망 변화의 가속화가 전망되는 가운데물류환경의 변화 속에서 부산항에 글로벌 선사를 지속 유치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인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

 

  부산항은 국내 컨테이너(이하 ) 물동량의 76.8%, 특히 환적* 물동량의 97% 이상을 처리하는 항만이다. 2015년 이후 세계 환적 2위 항만의 위상을 유지하며 많은 선사들을 유치하여 우리 경제에 안정적인 공급망을 제공하고 있다.

 

   화물선에서 다른 선박으로 컨테이너를 옮겨 적재하는 것으로 화물입항료와 보관료셔틀비용 항비 등 화물 1TEU 당 약 15만 원의 부가가치가 발생

 

  그러나부산항은 다수 터미널 운영사가 항만을 소규모로 운영하고 있어 타부두 환적(ITT)* 발생선석 관리의 비효율 등 운영에 일부 려움이 나타나고 있다선박 대형화와 해운동맹 강화에 대응하기 해서는 메가포트로의 전환과 항만 운영상의 체질 개선이 요구된다.

 

  ITT(Inter-Terminal-Transshipment) : 동일 항만 내 타 부두로 화물을 이송하여 처리하는 환적을 의미하며부산항 내 연간 232 TEU(추가 물류비 551억 원발생(23, BPA)

 

  이에 정부는 글로벌 거점항만으로서의 부산항의 위상을 공고히하고 항만 경쟁력을 세계 TOP 3* 수준으로 높이기 위하여 이번 방안을 마련하였다해양수산부는 부산항의 운영체계를 효율화하여 해운동맹 물량을 적기에 처리하도록 하고친환경스마트 전환을 가속화하여 국제규범을 선도하는 항만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항만의 인프라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경쟁력 순위를 매년 발표 (1위 상하이, 2위 닝보, 3위 싱가폴4위 부산)

 

  첫째선대 대형화에 발맞춰 2045년까지 14조 원을 투입하여 진해신항을 구축함으로써 부산항을 현존 세계 최대 규모의 항만시설을 확보한다환적 1위의 싱가포르가 건설 중인 TUAS항과 동일한 66개의 선석을 부산항에 구축한다현존 세계 최대 선박인 24TEU급을 넘어 3TEU급 선박이 안정적으로 접안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고기존 부두보다 1.5배 넓은 ‘ 보관 공간을 조성한다.
 

  둘째진해신항 1단계 9선석을 전부 단일 운영사로 선정하여 국내 최대 규모의 운영체계를 마련한다이 경우 6백만TEU 이상의 화물처리 능력을 확보할 수 있어 현재 부산항에 기항하는 최대 규모의 얼라이언스 물(THE, 650TEU)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단일 운영사가 얼라이언스 물량을 온전히 처리함으로써 선석의 효율적 관리와 타부두 환적 최소화가 가능해진다한편기존 신항의 터미널 운영사가 통합하면 시설 통합비용, 임대료 등 최대 100억 원 규모의 인센티브도 제공할 예정이다.

 

  셋째허브항으로서 부산항과 해외 공급망 거점의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해 美동안동남아유럽 등 공급망 재편에 따른 유망 거점에 해외물류센터를 확대해나간다현재의 5개소*에서 2027년 8개소, 2032년 16지 확보하여 우리 중소중견 기업에게 센터 우선사용권물류 컨설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원활한 수출입 물류를 위해 美 동서부 항만 등 주요 거점 터미널의 지분운영권 확보도 병행 추진한다. 또한 1조 원 규모의 국제물류 펀드를 조성하여 해외진출 기업의 금융도 지원할 계획이다.

 

 

   스페인 바르셀로나네덜란드 로테르담인도네시아 자바 2개소미국 LA

 

  부산항 인근에 축구장 500개 규모(362만㎡)의 항만배후단지를 공급하여 글로벌 물류기업을 유치한다전략적 유보지 확보대형필지 공급 등 제도적 지원을 통해 유망기업 투자를 유도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부산항의 자체적인 물동량 창출 기능을 강화한다또한인근에 위치할 가덕도 신공항과 연계를 통해 부산항을 육공 물류거점으로 육성한다.

 

   부산항 배후단지 면적 : (23) 467 m→ (30) 829 m2

 

  마지막으로항만 내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2년까지 25%, 2050년까지 100%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친환경 항만 전환을 추진한태양광연료전지해상풍력 등 친환경 발전시설을 구축하는 한편부산항에 메탄올암모니아 등 친환경 선박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인프라도 만든다또한 항만 내 하역장비의 무탄소 동력 전환을 통해 항만운영 과정도 무탄소화 하여 항만지역 대기질을 개선하고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할 계획이다아울러항만 친환경 전환과 더불어 항만의 스마트 전환을 위해 5천억 원 규모의 스마트항만 구축 펀드를 신설하여 지능화 항만 조성을 지원해나간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보호무역주의 강화지역분쟁 및 해운동맹 변화 등 공급망 재편은 우리항만에 위기이자 기회가 되고 있다라며 이번에 마련한 「글로벌 거점항만 구축전략」을 바탕으로 부산항을 글로벌 TOP 3 항만으로 키워, 한민국 역동경제를 든든히 지탱하는 글로벌 물류 중심으로 만들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글로벌 거점항만 구축전략(안) (요약)
 

 

 추진 배경

 

 (공급망 재편) - 갈등에 따른 생산기지 이전지정학적 분쟁 심화기후위기 증가 등으로 해운물류 분야 공급망 불확실성 확대

 

 ㅇ ’ 해운 시장은 운임 변동성* 증가 및 선박 정시성** 악화국지적 분쟁항만파업 등 잠재적 공급망 리스크도 상존

 

    SCFI : (23.1) 1,030  (24.1) 2,240  (24.3) 1,733  (24.7) 3,734  (24.11) 2,252

   ** 희망봉 우회로 亞-유럽 10~14일 추가 소요파나마 운하 가뭄으로 통항 ∆39%/

 

 (시장대응) 선사는 해운동맹 강화대형선박*거점항만** 중심 선대 운영

 

    * 해운동맹 선복량 비중 : (14) 58%  (24) 88%, 초대형 ‘컨’선 비중 : (14) 4%  (24) 15%

   ** Maersk(2)Hapag-Lloyd(5新해운동맹 결성(25.2), 18개 허브항에 물량 집중

 

 ㅇ 각국 주요 항만은 부두 대형화스마트화친환경 전환으로 대응

 

    * 中청도항(아시아 최초포함 완전자동화 항만 7개소 개장(17~22)
항만 디지털 전환에 2.3억 달러무공해 항만장비‧인프라에 30억 달러 재정지원

 

 부산항의 위상 및 과제

 

 (위상) 국내 1위의 ’ 처리 항만이자 세계 2 환적 거점항만

 

    * 美서안(24)‧中(52)‧日(71등 노선 수 세계 2-북미향 노선의 핵심항만

 

 (과제) 소규모다수 터미널로 분절화된 운영체계로 비효율 발생*,선박 대형화와 해운동맹 강화에 대응하기 위한 체질개선 요구

 

     운영사 간 主계약선사가 상이하여 터미널 잔여 공간에 추가선박 접안 불가
② 타 부두 환적(ITT) 위한 육상 이동 물량 연간 232 TEU, 추가 물류비 551 원 발생

 

 ㅇ 공급망 재편 대응을 위한 국내외 물류 네트워크확장 필요

 

    * 10대 기업 해외 물류센터 자영 비중 5.8%, 민관물류센터 5개소배후단지 공급 부족

 

 ㅇ 터미널 노후화경쟁항만 대비 완전자동화 지체(韓 24 ↔ 中 17)항만하역(장비전력) 및 연료공급 인프라는 친환경 전환 초기 단계

 

➡ 글로벌 환적 거점항만으로서의 부산항 위상 유지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진해신항-기존 신항-북항 연계 발전 방안 필요

 

 추진 방향

 

비전   글로벌 항만 경쟁력 TOP 3 도약
글로벌 허브스마트 메가포트   항만물류 네트워크 강화   항만산업 생태계 마련
 메가포트 진해신항 구축
 부산항 운영체계 효율화
 친환경․스마트항만 기술 적용
   해외진출 네트워크 확장
 배후단지 글로벌 기업 유치
 육해공 원스톱 물류서비스
   스마트항만 기술산업 자립
 민간 녹색항만산업 육성
 항만건설 기술 혁신

 

 글로벌 거점항만 구축 전략

 

1 글로벌 허브스마트 메가포트 조성

 

  (메가포트) 진해신항 구축으로 현존 세계 최대 수준* 컨테이너 항만 인프라 확보부산항 하역능력을 약 2배 규모로 확대

 

    * (선석 수) () 40 → () 66(1), (선석 길이) () 18.8km → () 25.5km(2)

 

   30K급 선박(現 최대 24K) 접안 가능한 수심선석을 조성하고기존 부두 대비 야드 면적 1.5배 확대하여 물류대란 대응력 제고

 

  (운영체계) 해운동맹 재편 대응글로벌 물류난 극복타부두환적 최소화가 가능하도록 부산항 운영체계 규모화효율

 

   진해신항Mega Operator(9선석 이상 운영) 체계 도입을 위해 신규 운영사는 3대 기본 방향*을 바탕으로 세부선정 기준 마련(26)

 

    ➀ 환적물동량 증가에 기여 국적선사 모항으로서의 기능 진해신항↔신항 연계 강화

 

   신항운영사 간 자발적 운영 통합을 위한 수준별 지원패키지* 제공(BPA)

 

    * ➀ 운영통합 : 시스템 개선 지원 공동법인 : 통합시설 지원 법인통합 : 임대료 감면 등

 

   항만 현대화를 위한 스마트화 펀드(5천억 원)이차보전 등 금융지원

 

  (첨단항만무탄소 동력 항만하역장비와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을 구축하고친환경 선박연료 인프라* 단계적으로 도입

 

    (단기 : LNG울산항 벙커링 선박을 이용하여 부산항에 공급, (중기 : 메탄올) 남‘컨’ 배후지역 내 시설 조성, (장기 수소암모니아진해신항 2단계 부지 활용 검토

 

   자동화와 함께 AI빅데이터 기술을 접목하여 지능화 항만 조성

 

2 항만물류 네트워크 강화로 물동량 창출

 

  (해외거점) 물류 인프라 우선 확보 필요 지역 및 대상투자 주체 등을 포함한 글로벌 물류 공급망 마스터플랜’ 수립(25.)

 

   글로벌 주요 공급망 거점에 공동 물류센터* 확대(現 → 16)

 

    우리 기업 우선 사용물류서비스(시장가 80~90% 수준제공현지 컨설팅 등 지원
* 네덜란드·스페인·인니·美서안  美동안(3개소), 동유럽 등 신흥시장 추가 확보

 

   부산항과 연계된 주요 터미널(美 동서안 등) 지분운영권 확보 추진

 

   우리 기업의 해외 물류자산 투자 지원하는 펀드 조성(24~28, 1 )

 

  (배후단지) 축구장 500개 규모의 배후단지를 신규 개발하여 항만 물동량 및 부가가치를 창출내륙부지 등 추가지정 검토

 

   공급 필지 대형화 및 전략적 유보지 설정으로 글로벌 기업 유치

 

  (육해공 연계) ①항공지리적으로 인접한 가덕도 신공항 ↔ 부산항 Sea&Air 복합물류 활성화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국토부해수)

 

   ②육상비상시 ’ 부두 지원을 위해 ICD 등 내륙 물류기지 운영,
③해상마산항  인접 항만과 연계한 통합 항만서비스 제공

 

3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항만산업 생태계 마련

 

  (장비산업) 하역장비 국내 제작기술 확보 및 광양항 테스트베드 기술 검증,항만기술산업법(25.1, 시행)에 맞춰 지원체계 마련

 

   국산 하역장비 제작장 지원, 진해신항 장비 도입으로 수요창출

 

  (녹색항만) 노후 항만 하역장비를 무탄소 연료로 전환 지원*, 선박 육상전원공급설비를 구축하여 항만  주변지역 환경 개선

 

    * 경유, LNG 등 노후 YT를 국산 전기 YT로 전환 지원(‘25~’27, 100대)

 

   친환경 선박연료 인프라 펀드 조성(1조 원24~)①LNG인프라 확대(통영울산광양), ②신규연료사업성 확보로 벙커링 산업 육성

 

  (건설‧관리설계기준 강화 등 중장기 지반침하 대응 강화BIM* 등을 접목한 디지털트윈 도입으로 첨단 항만관리 체계 구축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3D모델링을 통한 시설물의 설계-시공-관리 효율화

 

출처 : 해양수산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