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계양1구역
- 스마트밸리 엄종수
- 송도 아파트형공장
- 송도 국제도시
- 송도타운 상가임대
- 청솔공인중개사사무소
- 조은글
- 송도타운 엄종수
- 송도타운
- 송도 상가분양
- 송도신도시 상가분양
- 좋은 글
- 청솔부동산
- 청솔공인중개사
- 엄종수
- 주택임대차보호법
- 공인중개사
- 중개실무
- 조은 글
- 청솔공인엄종수
- 송도국제도시
- 인천경제자유구역
- 송도 스마트밸리
- 송도
- 상가임대차보호법
- 스마트밸리
- 좋은글
- 송도신도시
- 송도타운 상가분양
- 송도센토피아
- Today
- Total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전주탄소 국가산단,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로 조성 본문
전주탄소 국가산단,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로 조성 |
- 온실가스배출 저감과 폐자원 재활용을 통한 친환경 탄소리사이클 산업단지로 |
□ 국토교통부는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를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로 12월 26일(화) 지정한다고 밝혔다.
ㅇ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기본계획(안)을 수립하여 관계기관 협의, 산업입지정책심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지정하게 되었으며, 새만금 국가산단, 대구율하 도첨산단, 밀양 국가산단에 이은 네 번째 사례이다.
ㅇ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는 입주기업과 기반시설 등의 디지털화, 에너지자립 및 친환경화를 추진하는 산업단지로, 이산화탄소(CO2) 배출 저감 계획을 별도로 수립하지 않는 일반적인 산업단지와 달리 신재생에너지 발전 등을 포함하여 이산화탄소 예상 배출량의 25% 이상을 저감하도록 계획한다.
□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는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추진전략”(’21.4)에 따라 지자체 공모를 통해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21.6)된 곳으로,
ㅇ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2곳, 대구율하, 전주탄소)는 산단 조성시 스마트‧에너지 관련 기반시설 설치를 위한 비용 일부에 대해 국비를 지원(50%, 101억원 한도)한다.
□ 전주 탄소소재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산업단지 내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약 26% 감축하고 에너지자립률을 26% 수준 달성할 것*으로 기대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CO2 배출량 : 152,276 TCO2/년, 절감량 : 39,785 TCO2/년 ⇒ 배출 감소율 : 약 26.13%
에너지 사용량 : 72,705TOE/년, 절감량 : 19,027 TOE/년 ⇒ 에너지자립률 : 약 26.17%
ㅇ 먼저, 에너지자립화 전략으로 입주기업 지붕, 유휴부지 등에 태양광 발전설비(8MW) 및 수소연료전지 발전(3.2MW)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계획하고, 산업단지 내 에너지 사용량 예측‧분석을 위한 통합에너지플랫폼을 구축한다.
ㅇ 디지털화 전략으로는 스마트 교차로, 스마트 그늘막 등 스마트 교통‧안전 인프라를 설치하여 교통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제고하고, 산업단지 디지털트윈 플랫폼을 통해 기반시설의 효율적 관리와 함께 시제품 시뮬레이션 등으로 입주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ㅇ 마지막으로 친환경화 분야에서는 미세먼지 저감 등 위한 도시숲과 스마트 역사문화공원 조성으로 쾌적한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산업단지 내 발생하는 부산물‧폐기물 등 자원순환을 모니터링하는 탄소소재부품 리사이클링 사업을 도입할 예정이다.
□ 국토교통부 김기용 산업입지정책과장은 “지역 내 산업‧경제 성장의 거점인 산업단지가 탄소중립과 혁신성장을 선도하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스마트그린산업단지 정착과 확산을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참고 | 전주 탄소소재 스마트그린산업단지 사업 개요 |
□ 개 요
가. 명 칭 : 전주 탄소소재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
나. 위 치 : 전주시 덕진구 동산동, 고랑동, 팔복동 일원
다. 면 적 : 655,993㎡
라. 사업기간 : ’23 ~ ’30년
* 단지조성은 ’27년,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및 운영 체계 구축은 ’30년까지 추진
마. 사업목적
ㅇ 저탄소 ‧ 친환경 에너지, 데이터기반 고효율 에너지 관리 전략을 바탕으로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구축
ㅇ 4차 산업혁명 대비 특화산업 기술개발 주도 및 소재, 부품, 장비산업의 활성화를 통한 미래 신산업 창출
바. 사업시행자 : 한국토지주택공사
□ 목표 및 추진전략
□ 스마트그린산업단지 기본계획(안) 주요내용
ㅇ (에너지자립) 신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화** 등을 통해 탄소배출 26.13% 저감 계획
* (신재생) 태양광(2,321toe/년), 연료전지(4,666toe/년), 지열(539toe/년) 등
** 산단에너지통합플랫폼, 지능형전력망,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 구축
출처 : 국토교통부
'▶ 부동산정보 > ┃♡┃┛_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신도시 입주민 교통편의 높혔다. (0) | 2023.12.27 |
---|---|
‘청년월세한시특별지원’ 사업계획은추후 확정될 예정입니다. (0) | 2023.12.27 |
5개 시도 남부권 광역관광 개발해 케이-관광 중심지 만든다 (0) | 2023.12.22 |
시흥대야역세권,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후보지 선정 (1) | 2023.12.22 |
경남도, 국내 최초 ‘초거대제조AI 공동연구센터’ 개소 (1) | 2023.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