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전주탄소 국가산단,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로 조성 본문

▶ 부동산정보/┃♡┃┛_ 부동산 정보

전주탄소 국가산단,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로 조성

귀인 청솔 2023. 12. 26. 10:32
전주탄소 국가산단,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로 조성
- 온실가스배출 저감과 폐자원 재활용을 통한 친환경 탄소리사이클 산업단지로

 

 국토교통부는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 12월 26일(화) 지정한다고 밝혔다.

 

 ㅇ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관계기관 협의, 산업입지정책심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지정하게 되었으며, 새만금 국가산단, 대구율하 도첨산단, 밀양 국가산단에 이은 네 번째 사례이다.

 

 ㅇ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는 입주기업과 기반시설 등의 디지털화, 에너지자립 및 친환경화를 추진하는 산업단지로, 이산화탄소(CO2) 배출 저감 계획을 별도로 수립하지 않는 일반적인 산업단지와 달리 신재생에너지 발전 등을 포함하여 이산화탄소 예상 배출량의 25% 이상을 저감하도록 계획한다.

 

□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는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추진전략”(21.4) 따라 지자체 공모를 통해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21.6)된 곳으로,

 

 ㅇ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2곳, 대구율하, 전주탄소)는 산단 조성시 스마트‧에너지 관련 기반시설 설치를 위한 비용 일부에 대해 국비 지원(50%, 101억원 한도)한다.

 

 전주 탄소소재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산업단지 내 이산화탄소(CO2) 배출  26% 감축하고 에너지자립률 26% 수준 달성할 것*으로 기대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CO2 배출량 : 152,276 TCO2/, 절감량 : 39,785 TCO2/년 ⇒ 배출 감소율 :  26.13%
에너지 사용량 : 72,705TOE/, 절감량 : 19,027 TOE/년 ⇒ 에너지자립률 :  26.17%

 

 ㅇ 먼저, 에너지자립화 전략으로 입주기업 지붕, 유휴부지 등에 태양광 발전설비(8MW) 및 수소연료전지 발전(3.2MW)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계획하고, 산업단지 내 에너지 사용량 예측‧분석을 위한 통합에너지플랫폼을 구축한다.

 

 ㅇ 디지털화 전략으로는 스마트 교차로, 스마트 그늘막 등 스마트 교통‧안전 인프라를 설치하여 교통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제고하고, 산업단지 디지털트윈 플랫폼을 통해 기반시설의 효율적 관리와 함께 시제품 시뮬레이션 등으로 입주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ㅇ 마지막으로 친환경화 분야에서는 미세먼지 저감 등 위한 도시숲 스마트 역사문화공원 조성으로 쾌적한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산업단지 내 발생하는 부산물‧폐기물 등 자원순환을 모니터링하는 탄소소재부품 리사이클링 사업을 도입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김기용 산업입지정책과장은 “지역 내 산업‧경제 성장의 거점인 산업단지가 탄소중립 혁신성장을 선도하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스마트그린산업단지 정착과 확산을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참고    전주 탄소소재 스마트그린산업단지 사업 개요

 

□ 개 요

 

 가. 명    칭 : 전주 탄소소재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

 

 나. 위    치 : 전주시 덕진구 동산동, 고랑동, 팔복동 일원

 

 다. 면    적 : 655,993㎡

 

 라. 사업기간 : ’23 ~ ’30년

 

     * 단지조성은 ’27년,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및 운영 체계 구축은 ’30년까지 추진

 

 마. 사업목적

 

   저탄소 ‧ 친환경 에너지, 데이터기반 고효율 에너지 관리 전략을 바탕으로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구축

 

   4차 산업혁명 대비 특화산업 기술개발 주도 및 소재, 부품, 장비산업의 활성화를 통한 미래 신산업 창출

 

 바. 사업시행자 : 한국토지주택공사

 

□ 목표 및 추진전략

 

□ 스마트그린산업단지 기본계획(안) 주요내용

 

 ㅇ (에너지자립) 신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화** 등을 통해 탄소배출 26.13% 저감 계획

 

     * (신재생) 태양광(2,321toe/년), 연료전지(4,666toe/년), 지열(539toe/년) 등

    ** 산단에너지통합플랫폼, 지능형전력망,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 구축

 

 

 

출처 : 국토교통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