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송도타운 상가임대
- 청솔공인중개사
- 스마트밸리
- 청솔부동산
- 송도센토피아
- 주택임대차보호법
- 계양1구역
- 조은 글
- 인천경제자유구역
- 상가임대차보호법
- 송도타운
- 송도타운 엄종수
- 송도국제도시
- 송도신도시
- 청솔공인중개사사무소
- 송도 아파트형공장
- 송도 스마트밸리
- 좋은 글
- 중개실무
- 청솔공인엄종수
- 조은글
- 송도 국제도시
- 송도 상가분양
- 좋은글
- 스마트밸리 엄종수
- 송도신도시 상가분양
- 송도
- 엄종수
- 송도타운 상가분양
- 공인중개사
- Today
- Total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기초과학연구원 건립 2차 기본계획(′23~′30) 수립·시행 본문
기초과학연구원 건립 2차 기본계획(′23~′30) 수립·시행
-2030년까지 철저한 공정관리로 국제적 수준의 기초연구시설 건립 완성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2차 기본계획(’22~’30)」에 따라, 기초과학연구원 본원 2차 및 캠퍼스 연구시설 건립을 위해 “『기초과학연구원 건립 2차 기본계획(’23~’30)』을 수립 시행한다.”고 밝혔다.
기초과학연구원 건립사업은 총사업비 6,335억원을 투입하여 본원 및 캠퍼스 연구시설을 건립하는 사업으로, 지난 1차 기본계획에서는 3,245억 원을 투입하여 기초과학연구원 본원 1차(‘17.12.) 및 KAIST(1차) 캠퍼스(’22.12.)와 POSTECH 캠퍼스(’22.10.) 연구동을 준공하였으며, 18개 연구단*이 입주하여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 기초과학연구원 본원 10개, KAIST(1차) 캠퍼스 5개, POSTECH 캠퍼스 3개
이번에 마련된 ‘기초과학연구원 건립 2차 기본계획(’23~’30)’은 3,090억 원을 투입하여, IBS 본원 2차와 UNIST · GIST · DGIST · KAIST(2차) 캠퍼스 연구동 건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IBS 본원2차는 금년 5월에 착공하였으며, UNIST 캠퍼스 연구동은 현재 설계 진행 중으로 이들 연구시설은 각각 ’25년과 ’26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GIST · DGIST · KAIST(2차) 캠퍼스 건립은 연구단 선정·운영 상황에 따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완료할 예정이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추진단 김현수 단장은 “과기정통부가 드물게 직접 시행하는 건립공사로 IBS가 세계 10위권 우수 정부연구기관으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철저한 공정관리와 완벽한 시공으로 세계적 수준의 연구시설 건립에 최선을 다하겠다 ” 고 밝혔다.
참고 1 | 기초과학연구원(본원·캠퍼스) 건립 2차 기본계획(안) |
□ 추진배경
ㅇ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2차 기본계획(2022~2030) 수립에 따라 기초과학연구원 건립 계획안 마련 필요
- 1차 기본계획에 따라 본원1차(’17.12), KAIST·POSTECH 캠퍼스(‘22.12) 건립 완료
- 기초연구 글로벌 경쟁 확보 및 핵심연구시설 구축을 위해 기초과학연구원 본원2차 및 캠퍼스 연구동 건립 완성 필요
<추진 경과>
국제과학 벨트법 재정 |
▶ | 과학벨트 1차 기본계획 수립 | ▶ | 과학벨트 1차 기본계획 변경 | ▶ | IBS건립 기본계획 수립 | ▶ | 과학벨트 2차 기본계획 수립 |
․특별법 제정 | ․기초과학연구원 입지 확정(둔곡) | ․기초과학연구원 입지 변경(도룡) |
․사업비, 사업기간, 건축규모 등 | ․ 사업기간 변경 (‘14~’21→ ‘14~’30) |
||||
2011.4월 | 2011.12월 | 2013.8월 | 2014.5월 | 2022.3월 |
□ 사업개요
ㅇ 기초과학연구원(IBS) 본원(연구단 20개 규모) 및 캠퍼스*(연구단 20개 규모) 건립
* 5개 특성화대(KAIST연합, POSTECH, UNIST, DGIST, GIST)에 설립
⬩사업기간/총사업비 : 2014년 ~ 2030년 / 6,335억원
⬩사업규모 : 부지면적 404,159㎡, 건축규모 239,826㎡
□ 추진체계
ㅇ (과기정통부(現 과학벨트단)) 본원 및 캠퍼스 건립을 직접 총괄․시행․관리
- 건립기본계획 및 연도별 시행계획수립, 자문위원회 등 구성·운영
ㅇ (기초과학연구원 건축자문위원회) 건설사업 설계․시공 등 자문
- 기획, 설계공모, 계약,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수시 자문
ㅇ (관계기관 협의회) 시설물 사용 및 사후관리 기관과 주요사항 협의
- 과기정통부, 조달청, 기초과학연구원, 5개특성화대학 관계자 등
ㅇ (조달청)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건설사업 설계·시공 감독
- 건설사업 추진과정(설계관리, 심의 대행, 공사 관리, 사후관리 등) 조달청에서 대행
□ 향후일정
○ 본원2차 : 설계(‘20.10~’22.6) → 공사(‘23.5~’25.5)
○ UNIST : 설계(‘22.11~’24.7) → 공사(‘25.12~’26.12)
○ DGIST, GIST, KAIST 2차 : 연구단 선정·운영 상황 고려 추진
※ 향후 추진일정은 예산, 설계 및 공사 추진과정에 변경 가능
참고 2 | 기초과학연구원 건립 기본계획 비교 |
구 분 | 1차 | 2차 |
추진근거 |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 (‘11.12)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 변경(‘13.8)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27조 |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2차 기본계획(‘22.3.)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27조 |
사업기간 | 2014년 ~2022년 | 2023년 ~ 2030년 |
총사업비 | 3,245억원 | 3,090억원 |
건축규모 | 118,127㎡ | 121,699㎡ |
사업부지 | 295,269㎡ | 108,890㎡ |
사업규모 |
|
|
연 도 별 투자계획 |
※ GIST, DGIST, KAIST(2차) 캠퍼스는 연구단 선정·상황을 고려 추진
참고 3 | 기초과학연구원 건립 조감도 |
□ 본원2차
□ UNIST 캠퍼스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부동산정보 > ┃♡┃┛_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초년생 주거 고민 토크콘서트도 듣고, 청약・대출 상담도 받아 보세요 (0) | 2023.12.18 |
---|---|
포항·부안·계양·하남에 고령자복지주택 들어선다 (0) | 2023.12.18 |
대전시‘대덕 양자 클러스터’구축 시동 (0) | 2023.12.18 |
원희룡 장관,“청년들과 소통하며 누구나 살고 싶은 뉴:홈 만들 것”강조 (0) | 2023.12.17 |
여주시, 남한강변 파크골프장 추가 조성 박차 (1) | 2023.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