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2022년 국내인구이동·주택거래량 감소, 1인가구 증가 등으로 귀농·귀촌 감소 본문

▶ 부동산정보/┃♡┃┛_ 부동산 정보

2022년 국내인구이동·주택거래량 감소, 1인가구 증가 등으로 귀농·귀촌 감소

귀인 청솔 2023. 6. 22. 13:38

2022년 국내인구이동·주택거래량 감소, 1인가구 증가 등으로 귀농·귀촌 감소

 

- 베이비 부머(55~63년생) 등 은퇴 연령층 증가, 도시민의 농촌에 대한 관심 증가 등 영향으로 귀농·귀촌 흐름은 이어질 전망

 

22일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통계청이 공동으로 발표한 ‘2022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은 331,180가구, 438,012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12.3%, 15.0%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귀농가구는 12,411가구, 귀촌은 318,769가구로 전년보다 각각 13.5%, 12.3% 감소했다.

 

  지난해 국내 인구이동자 수가 48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4.7% 감소하고 주택거래량도 49.9% 감소하면서 귀농·귀촌 인구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 1인 가구의 비율이 2021 75.2%에서 지난해 77.5% 상승하며 평균 가구원 수가 감소한 것도 귀농·귀촌 인구수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2020년과 2021년에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여파 등으로 인해 귀농·귀촌 인구가 2년 연속 증가(전년 대비 각각 7.4%, 4.2%)한 후, 지난해에 서비스업 중심으로 도시지역의 경기가 회복되면서 하향 조정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농촌 생활 경험을 가진 베이비 부머(55~63년생) 등 은퇴 연령층 증가*, 도시민의 농촌에 대한 관심 증가**  영향으로 귀농·귀촌 흐름은 견고하게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전체인구 중 60대 인구수(비중) : (18) 595백만명(11.5%)  (20) 674(13.0)  (22) 740(14.4)

   ** 도시민의 귀농·귀촌 의향 조사 결과(KREI) : (21) 34.4%  (22) 37.2(2.8%p)

 

  박수진 농림축산식품부 농업정책관은 “최근에는 일·삶 균형, 농촌살기, 워케이션(work+vacation 합성어) 등으로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도시민이 농촌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으로 뒷받침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별첨 2022년 귀농어·귀촌인 통계

 

(별첨) 2022년 귀농어귀촌인통계 보도자료(6.22. 12시 통계청).hwp
6.20MB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