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청솔공인중개사사무소
- 청솔공인중개사
- 송도 아파트형공장
- 송도타운 엄종수
- 공인중개사
- 엄종수
- 송도국제도시
- 송도 스마트밸리
- 청솔부동산
- 송도센토피아
- 송도신도시
- 주택임대차보호법
- 계양1구역
- 조은글
- 송도신도시 상가분양
- 송도타운 상가분양
- 중개실무
- 청솔공인엄종수
- 상가임대차보호법
- 스마트밸리
- 인천경제자유구역
- 송도타운
- 송도 국제도시
- 송도
- 송도타운 상가임대
- 조은 글
- 좋은 글
- 스마트밸리 엄종수
- 송도 상가분양
- 좋은글
- Today
- Total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2022 스마트국토엑스포 성황리에 막 내려 본문
2022 스마트국토엑스포 성황리에 막 내려
아시아·아프리카 등 해외진출을 위해 다자개발은행과 협력방안 논의
“2022 스마트국토엑스포”가 11월 4일 안전하고 원활한 진행 속에 성공적으로 막을 내렸다.
국토교통부가 LX, LH 등 7개 공동주관사와 함께 주최한 이번 스마트국토엑스포는 11월 2일부터 3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었으며 국내 관람객과 에티오피아, 탄자니아, 캄보디아 등 20개의 해외국가에서 온 공간정보 인사들이 행사장을 찾았다. 또한 초청국가-국내기업 미팅을 포함하여 약 80여건의 비즈니스 미팅과 32개 콘퍼런스도 성황리에 열렸다.
이러한 가운데 국토교통부는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아프리카개발은행 등 3개의 다자개발은행* (MDB)과 공간정보 분야 협업체계 구축을 위한 면담을 가졌으며 논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고 밝혔다.
* 다자개발은행(Multilateral Development Bank, MDB) : 개도국과 다수의 재원공여국 또는 선진국이 가입자격에 제한없이 참여해서 경제개발자금을 지원하는 은행
① 세계은행(World Bank)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트윈 분야 협력 방안 논의가 이루어졌다. 국토부와 World Bank는 ‘기후변화 대응 등 디지털트윈 활용방안 발굴’ 협업 연구과제 추진에 대한 계획을 향후 구체적으로 논의하기로 하였다.
② 아시아개발은행(ADB) : 아시아 개발도상국 대상 공간정보 분야 지원에 대해 논의하였다. ICT 기반 토지정보시스템 등 한국의 선진 공간정보 기술력 제공, 공간정보 전문가 파견, 워크숍 운영 등 아시아 개발도상국과의 공간정보 지식공유 체계 구축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었다.
③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 AfDB로부터 공간정보체계 관련 국가별 진단에 대한 필요성이 제시되었으며, 국토교통부는 양 기관이 함께 국가별 진단을 진행하고 조사결과를 향후 발표하며 이를 바탕으로 다음 단계 협력을 논의할 것을 제안하였다.
국내기업들의 해외진출 판로개척을 위한 ‘WB(세계은행), AfDB(아프리카개발은행) 설명회’에서는 아시아 및 아프리카 시장현황과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설명이 있었으며, ‘1:1 비즈니스 상담회’를 통해 국내 기업들과 관련 분야 발주처들 간 프로젝트 수주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행사 마지막 날(11.4)에는 공간정보 분야 주요 진출국*의 실무자가 참여하는 라운드테이블 회의가 열렸다.
* 라오스, 몽골, 에티오피아, 우즈베키스탄, 키르키스스탄, 탄자니아, 파라과이 등 7개 국가
이번 회의에서는 참여국의 대표단들이 각 국의 공간정보 제도, 기술 현황을 소개하였고 상호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협력문*이 채택되었다.
* 2022 국제 공간정보 발전협력회의 상호 협력문 : 각국은 혁신기술이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도구임을 인식하고 이러한 기술의 활용사례를 적극 공유 등
국토교통부 오성익 공간정보진흥과장은 “이번 2022 스마트국토엑스포의 성공적인 마무리로 대한민국의 공간정보산업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새로운 계기와, 국내 공간정보 기업들의 해외진출을 촉진하는 토대가 마련되었다”라고 평가하며, “정부는 국내 공간정보 기업들이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 등 해외 공간정보 인프라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판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 국토교통부
'▶ 부동산정보 > ┃♡┃┛_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규모 노후 교량·터널 관리 강화한다 (0) | 2022.11.09 |
---|---|
광명3구역, 정부 공공재개발 후보지 선정. 2천126세대 공급 기대 (1) | 2022.11.08 |
제7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23~‘27) 공청회 개최 (0) | 2022.11.08 |
방위사업청 대전 이전, ‘23년부터 착수 (0) | 2022.11.07 |
국토교통부는 부동산PF 보증 5조원 확대 계획을 차질없이 이행해나가겠습니다.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