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충북 경제자유구역 항공 부품 및 헬기 MRO 유치기반 확대 본문

▶ 부동산 개발/└‥‥▷ 공항

충북 경제자유구역 항공 부품 및 헬기 MRO 유치기반 확대

귀인 청솔 2020. 4. 28. 09:28

충북 경제자유구역 항공 부품 및 헬기 MRO 유치기반 확대


충북 경제자유구역 항공 부품 및 헬기 MRO 유치기반 확대

 

- 115 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 개최(4.27) -

 

 

정부는 427() 115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위원장 성윤모 장관) 개최하여, 충북 경제자유구역 청주 에어로폴리스2지구 개발계획 변경 승인() 2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하고 1건을 보고함

 

 

< 115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 개요 >

 

 

 

(일시/장소) 2020.04.27.(), 14:00 ~ 16:00, 한국기술센터

 

(위원현황) 위원장, 당연직 위원 13(기재부 등 13개 부처 차관), 민간 위원 10

 

(안건) 충북 경제자유구역 청주 에어로폴리스2지구 개발계획 변경 승인() 광양만 경제자유구역 율촌항만부지 지정해제 의제 유예기간 연장 결정()

산학협력법 개정에 따른 외국교육연구기관 산학연 활성화 방안 보고()

 

금번 위원회에서 심의·의결된 내용은 다음과 같음

충북 경제자유구역 청주 에어로폴리스2지구 개발계획 변경 승인()

 

청주공항을 기반으로 항공기 부품제조, 헬기 MRO(Maintenance, Repair, Overhaul) 및 연관분야 산업 중점 육성을 위해 유치 업종확대, 개발면적 확대 등을 승인하였음

 

특히, 산업용지·연구시설용지 등을 확대하여 헬기 MRO, 항공기 부품제조 및 연관분야 육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함

 

< 주요 개발계획 변경 내용 >

구 분

기존

변경

유치업종

항공기ㆍ부품 제조 및 창고ㆍ운송 서비스업

기존 + 항공운수업 전자부품ㆍ전기ㆍ기계ㆍ장비 추가

토지이용

320,627

411,152(90,525)

사업기간

`13`20

`13`22

 

민간 항공 MRO 투자유치 실패(‘16.8) 이후 개발 다소 지연된 청주 에어로폴리스지구(1·2)*는 개발 촉진 및 투자유치 활성화를 통해 항공기 부품 및 헬기 MRO 생태계 구축에 중요한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됨

 

* 1지구(헬기 MRO 및 서비스 등), 2지구 (항공기 부품 등)

 

광양만 경제자유구역 율촌항만부지 지정해제 의제 유예기간 연장 결정()

경제자유구역 지정해제 유예기간이 도래*한 광양만 경제자유구역 율촌항만부지에 대해 인접한 율촌3산단에 대한 자발적 구조조정을 조건으로 지정해제 유예기간을 2년 연장하기로 결정함

 

* 율촌3산단 및 율촌항만부지는 제66차 경자위(‘14.4) 의결을 통해 ‘20. 8. 4. 지정해제 시점이 도래하는 단위지구임

 

 

 

지정해제 유예기간 연장에 따라 사업시행자(여수광양항만공사)는 실시계획 수립 등 조속한 사업추진을 통해 인접한 여수국가산단, 율촌2산단 등과 기능연계 및 시너지 효과 극대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 광양만 율촌항만부지 현황 >

 

 

 

(소재지) 여수시 율촌면·소라면·중흥동 해면 일원

 

(사업비 및 사업시행자) 3,078억원, 여수광양항만공사

 

(사업내용) 항만시설용지(263), 항만배후단지 (263) 등 총513

산학협력법 개정에 따른 외국교육연구기관 산학연 활성화 방안 보고()

 

최근산학협력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3.6.)함에 따라 경제자유역 내 유치운영 중인 뉴욕주립대 등** 외국 교육기관과 인근 기업체가 산학연 활동을 활발히 진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

 

*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 인천경자구역에 5개교(뉴욕주립대 SBU, FIT, 겐트대, 유타대, 조지메이슨대)를 유치운영 중

 

 

 

뉴욕주립대, 겐트대 등 외국교육기관에서는 산학협력단 설치, 본교에서 운영 중인 자격증 프로그램 운영, 인근 바이오 등 기업체의 직원 재교육을 추진하고 있으며,

 

ㅇ 산업부와 경제청은 외국교육연구기관 산학연 활동을 지원할 전담 조직을 구성, 산학연 엑스포 참여 등 네트워크 확대, 업종별 미니러스터 등을 구축*하여 국내외 공동연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임

 

* 바이오 헬스케어 클러스터 (겐트대, 인하대, 셀트리온, 삼성바이오 로직스, 인천테크노파크, 바이오산업센터 등)

** 부산진해청, FAU 연구소는 호라이즌 2020 프로젝트 최종선정 (저탄소 재생가능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에 관한 연구, 이태리 피사대, 그리스 아테네 국립대등 13개기관 참여, ‘20-23, 사업비 6.5억원)

  

ㅇ 향후, 하반기 개소예정인 스탠포드대 스마트시티 연구소 등 신산업 관련 외국 교육연구기관과 기업체간 산학연 협력을 강화하여 선진기술을 획득하고 산업융합인력을 양성하여 경제자유구역의 혁신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예정임


(28일조간 17시엠바고) 정책기획팀, 충북 경제자유구역 항공 부품 및 헬기 MRO 유치기반 확대.hwp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28일조간 17시엠바고) 정책기획팀, 충북 경제자유구역 항공 부품 및 헬기 MRO 유치기반 확대.hwp
0.35MB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