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송도 국제도시
- 중개실무
- 조은글
- 송도국제도시
- 조은 글
- 청솔부동산
- 송도 스마트밸리
- 청솔공인중개사사무소
- 청솔공인중개사
- 주택임대차보호법
- 계양1구역
- 청솔공인엄종수
- 송도 상가분양
- 송도 아파트형공장
- 송도신도시
- 송도신도시 상가분양
- 공인중개사
- 송도타운 상가분양
- 송도센토피아
- 송도타운
- 좋은 글
- 상가임대차보호법
- 송도타운 상가임대
- 스마트밸리 엄종수
- 좋은글
- 송도타운 엄종수
- 스마트밸리
- 엄종수
- 인천경제자유구역
- 송도
- Today
- Total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인천도시공사 ․ 9개 군구 관광진흥 공동사업 본격 추진 본문
인천도시공사 ․ 9개 군구 관광진흥 공동사업 본격 추진
- 문화체육관광부 국비지원 공동사업 업무협약 체결 -
○ 인천도시공사(사장 유영성) 및 9개 기초단체(중․동․남․연수․남동․부평․계양․강화․옹진)는 문화체육관광부 국비지원 사업으로 선정된 ‘인천 군․구 연계 관광진흥 공동사업’(이하 ‘공동사업’) 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3월 14일에 체결했다고 밝혔다.
○ 이번 협약은 문체부「2014년 도시관광 활성화 공모사업」에서 인천도시공사가 기획․제안한 ‘공동사업’이 국비지원 사업으로 최종 선정(관광진흥개발기금 1억 8천만원 지원)됨에 따른 후속조치로써, 본격적인 사업 실행을 위한 기관별 역할분담과 협력사항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 협약에 의하면 인천도시공사와 9개 군․구는 공동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칸막이 없는 상호교류에 합의하고 세부적으로 군․구는 사업비 확보 및 장소 협찬과 자료 제공을, 공사는 관광전문기관의 노하우를 활용한 사업 총괄 실행을 담당하게 된다.
○ 6개 단위사업으로 구성된 ‘공동사업’의 총 사업비는 6억원이며, 국비와 지방비를 3:7로 매칭하여 국비 1억 8천만원, 군․구비 4억 2천만원으로 추진하게 된다.
○ 인천도시공사는 최초의 협업체계 구축 사례인 ‘공동사업’을 바탕으로 향후 개별 군구와 연계한 공동사업을 지속 발굴해 나감과 동시에 유관기관 및 민간단체가 참여하는 인천관광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인천의 관광진흥을 위한 협업 네트워크를 확대시켜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붙임] 공동사업 세부 내역
단위사업 |
내 용 |
참여 군․구 |
1. 군‧구 통합 블로그/SNS 운영 |
군‧구 통합한 관광자원 소개 블로그/SNS 운영 활성화 |
9개 전체 |
2. 군․구 스토리텔링 웹툰 제작 |
각 군‧구에 숨겨진 스토리텔링을 발굴하여 웹툰 제작을 통해 전파 |
9개 전체 |
3. AG 경기장 주변 관광명소 홍보 |
AG 경기장 및 주변 관광명소 (먹거리, 쇼핑, 재래시장 등) 발굴 및 홍보(TV) |
9개 전체 |
4. 군‧구 뮤직&북(Music&Book) 콘서트 |
‘2015 세계 책의 수도, 인천’의 지역 참여 활성화 및 음악도시 인천 추진 뮤직&북 콘서트 실시 |
9개 전체 |
5. 인천역사 바로알기 원정대 (원도심 리텔링 콘테스트) |
인천 원도심을 탐험 및 조사하는 10여개 원정대를 구성, 원정 후 스토리텔러 콘테스트를 통해 최우수 스토리텔링‧리텔링 발굴 |
중구 동구 남구 부평구 계양구 |
6. Island Camping 발굴 및 홍보 |
섬관광 활성화를 위해 섬에서 가능한 캠핑자원 발굴 및 홍보 |
중구 강화군 옹진군 |
'▶ 부동산정보 > ┃♡┃┛_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기 수도권신도시 건설안내 (0) | 2014.03.15 |
---|---|
[해명]「제2경부고속도로 내년 착공」 보도는 사실과 다름 (0) | 2014.03.14 |
그린벨트 해제지역에 상업ㆍ공업시설 허용 (0) | 2014.03.13 |
임대주택 리츠에 대한 투자자 관심 뜨거워 (0) | 2014.03.13 |
건축물 에너지 절감 생활 속에서 느끼게 된다 (0) | 2014.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