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국제 환경·에너지 프로젝트, 인천 송도에 총집결 본문

▶ 송도 국제도시/∥송도 부동산정보

국제 환경·에너지 프로젝트, 인천 송도에 총집결

귀인 청솔 2013. 5. 4. 12:42

국제 환경·에너지 프로젝트, 인천 송도에 총집결

◇ 4월 29일~30일 “글로벌그린허브코리아 2013” 개최

- 세계 60여개국 발주처 인사 260여명, 국내 500여개 환경·에너지 기업이 참여하는 국내 최대 그린사업 발주처 초청 행사

1:1 비즈니스 상담회, 권역별 발주처 프로젝트 설명회, 수출 금융 설명회 등 국내 기업 해외 프로젝트 수주 지원 프로그램 제공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 환경부(장관 윤성규), 인천광역시(시장 송영길)가 공동 주최하고 KOTRA(사장 오영호) 및 KEITI(원장 윤승준)가 공동 주관하는 ?글로벌 그린 허브 코리아 2013 (Global Green Hub Korea)?가 ‘13.4.29일(월)부터 4.30일(화)까지 2일간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개최하였음

 

상하수도, 폐기물, 대기 등의 환경프로젝트와 풍력, 태양광, 지열 등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진출이 유망한 58개국 232개 발주처 관계자가 GGHK 2013 행사 참여를 위하여 방한함

 

○ 국제 환경․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위하여 세계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500여개 국내 기업이 해외 발주처 관계자와 약 300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 수주 상담을 진행하였음

 

세계 환경․신재생 에너지 등 그린산업시장은 현재 약 1,000조원 규모이며, 중남미․중동부 유럽․동남아 등 개도국의 경우 년 평균 8~9% 규모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블루오션 시장임

 

이는 약 300조원 규모인 세계 반도체 시장의 3배에 육박하는 규모이며, 개도국 시장의 경우 그린산업 인프라 구축 초기 단계여서 그 발전 가능성은 무한하다고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는 밝힘

 

더욱이, 국내 시장은 그린산업 관련 인프라 구축 완료 단계에 진입하여 국내 관련 기업의 세계 시장 진출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 사항이 되었다는 것이 국내 업계 관계자들의 의견

 

□ GGHK 2013 행사는 국제 환경․신재생 에너지 협력 사업 발굴과 국내 유관 기업의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

 

 

○ 권역별 주요발주처의 프로젝트 설명회를 통하여 국내 기업들에게 유망 해외 사업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기업 1:1 비즈니스 상담회가 개최됨

 

더불어, 또한 세계은행(World Bank), 아시아개발은행(ADB), 관계자가 국제 금융 활용과 국제개발은행 발주 사업 수주 방안과 전략을 제시

 

또한, 국내 환경․신재생 에너지 기술 수준을 해외 사업 발주처에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환경산업 및 신재생에너지 전시관을 운영고, 국내 상․하수 처리시설, 수도권매립지 등에 대한 현장 견학도 진행

 

□ 이번 GGHK 2013 행사는 국제 환경·에너지 이슈, 국내외 산업간 협력, 국내 환경·에너지기술 홍보, 국내 환경·에너지시설 견학까지 총 망라한 국내 최대 환경․에너지 행사임

○ 또한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는 각 부처별로 수행하던 환경과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수주 상담회를 2012년부터 통합하여 로벌그린허브코리아를 국제 브랜드 행사로 정착시켰다는 평가

 

이번 행사를 통하여 부처 간 칸막이를 제거하고 유기적 협업 체계를 구축하여 국내 환경․신재생 에너지 기업이 해외 진출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성공사례가 될 전망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 관계자는 “GGHK 2013 행사는 ‘12년 대한민국 인천 송도에 GCF 사무국 유치가 결정된 것을 기념하여 송도에서 세계적인 국제 환경․에너지 행사를 기획하게 되었다”고 언급하면서, “우수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갖춘 한국은 그린 프로젝트 발주국에 최적의 파트너로 정부 역시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다”라고 밝힘.

 

 

 

 

 

 

붙임 : 1. 글로벌 그린 허브 코리아 2013 개요 1부

2. 수주유망 및 국제기구 자금지원 프로젝트 현황 1부.

 

참고1

 

Global Green Hub Korea 2013 행사개요

 

□ 행사개요

 

ㅇ 목적 : 전 세계 유력발주처 초청 상담을 통한 국내 녹색기업의 해외프로젝트 수주 및 계 석학들의 그린포럼, 국제금융조달 및 프로젝트수주설명회 등 부대행사를 통한 수주관심 제고

 

ㅇ 일시 : 2013. 4. 29(월)∼30(화) 2일간

 

ㅇ 장소 : 안천 송도컨벤시아

 

ㅇ 참가규모 : 해외 58개국 232개 기관, 국내 500개사

 

* 동 행사를 통해 238개 프로젝트(총 296억불 규모)가 소개될 예정

 

ㅇ 주최 :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인천광역시

 

ㅇ 주관 : KOTRA(대한투자무역진흥공사), KEITI(한국환경산업기술원)

 

□ 주요 프로그램

세부 사업명

일 자

내 용

그린 프로젝트 상담회

4.29-30

에너지·환경 관련 발주처와 1:1 맞춤형 미팅

권역별 프로젝트 수주 설명회

4.29-30

중남미, 유럽,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지역의

그린 프로젝트 기회와 전망에 대해 해외 유

발주처 및 KOTRA 지역본부장이 발표

정부 간 협력회의

4.29

고위급 세일즈 외교 통한 기업 해외진출 밀착 수주지원

* 환경부-불가리아/말레이시아/캄보디아/

몽골/우즈베키스탄

수출금융설명회

4.30

WB, ADB, 등 국제금융기관 활용방안 및 국내기업의 해외프로젝트 PF성공사례 설명

글로벌 NGV(천연가스차량) 파트너십

4.30

주요국 NGV 정책현황, 중소기업 우수기술 발표 등

우수 중소 그린기업 전시관

4.29-30

인천시 홍보관, 녹색산업 전시관

산업시찰

4.30

그린산업 주요 발주처 담당자에 하수처리장,

재활용센터 등 견학을 통해 우리 기술수준 확인

□ 연혁

Green Hub Korea

(통합전 명칭)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KEITI공동)

Spring

Autumn

시 기

‘09.4월

‘09.10월

‘10.10월

‘11.9월

‘12.6월

장 소

COEX

COEX

COEX

리츠칼튼호텔

COEX

해외업체

217개사

255개사

100개사

62개사

109개사

국내업체

967개사

934개사

536개사

268개사

347개사

상담건수

453

668

553

318

693건

상담액(억불)

396

122

66

117

230

 

 

□ 해외 참여기업 현황

 

ㅇ 58개국, 232개 발주처, 238개 프로젝트, 296억달러 규모

ㅇ 분야별 프로젝트 현황

구분

아시아

CIS

북미

유럽

중남미

중동

아프

리카

총 계

신재생

국가 수

14개국

9개국

7개국

7개국

4개국

41개국

발주처 수

49개

27개

23개

17개

6개

122개

프로젝트수

50개

19개

18개

12개

5개

104개

총 규모

(억 US$ )

46.2

14.4

29.7

2.2

13

105.5

환경

국가 수

16개국

9개국

4개국

5개국

5개국

39개국

발주처 수

67개

24개

4개

5개

10개

110개

프로젝트수

64개

54개

5개

3개

8개

134개

총 규모

(억 US$ )

112.6

40.7

4.1

9

24.2

190.6

합계

국가 수

21개국

14개국

8개국

10개국

5개국

58개국

발주처 수

116개

51개

27개

22개

16개

232개

프로젝트수

114개

73개

23개

15개

13개

238개

총 규모

(억 US$ )

158.8

55.1

33.8

11.2

37.2

296.1

 

참고2

 

수주유망 및 국제기구 자금지원 프로젝트 현황

 

ㅇ 수주유망 프로젝트(13건)

국가

분야

프로젝트명

규모(원)

사유

필리핀

풍력

발레스테로 50MW급 풍력단지 개발

1500억

2MW급 터빈 25기 설치하는 민자사업으로 EPC입찰예정

인도

네시아

수처리

코타 프칸바루 물공급 프로젝트

2500억

국내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수주를 추진할 예정

수처리

발리 상수도 프로젝트

1100억

국내업체 상수도 공급시스템에 대해 높은 관심을 표명

바이오

Palm 부산물 건조 및 혼합 제조설비

50억

한국기업이 활발히 진출하고 있는 분야

인도

폐기물

폰디체리市 폐열발전프로젝트

200억

1일 200톤 처리설비 구매프로젝트로 수의계약 예정

베트남

수처리

브라짜시 신규 하수처리장 건설 프로젝트

200억

국내기업이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사전 업무협의 진행 완료

중국

수처리

신양시 발전소 탈질설비 입찰

50억

한국전력이 1차 입찰에 납품한 것과 동일한 설비 구매계획

칠레

태양광

산티아고 60MW 태양광 발전단지 개발

1600억

제한입찰 방식으로 한국 EPC업체 참가를 희망

모로코

풍력

엘호마 풍력단지개발

1100억

총 7개의 풍력단지 건설프로젝트로 민간발전사업자 참가 가능

남아공

폐기물

요하네스버그 쓰레기 소각발전

3520억

2012년 방한하여 한국기술 우수성을 확인

크로아

티아

바이오

오굴린 바이오매스발전소 건립

286억

발전차액지원 프로젝트로 원료 확보 및 전기판매 계약완료

인도

수처리

부리한뭄바이 상수도 관리시스템

550억

청구시스템이 포함된 상수도 처리설비

케냐

지열

560MW급 2차 지열발전소 건립

9900억

국내기업이 1차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2차 수주도 유망

ㅇ 국제기구 자금지원 프로젝트(8건)

국가

분야

프로젝트명

규모(원)

자금원

진행사항

키르키즈스탄

환경

폐기물 및 하수프로젝트

3500억

ADB

13년 5월중 입찰

캄보디아

환경

프놈펜 수처리시설 개발

2600억

EDCF

13년 10월 입찰

방글라데시

태양광/풍력

하트야 복합발전소 개발

220억

ADB

13년 7월중 입찰

베트남

환경

호치민 물공급 프로젝트

1700억

ADB

13년 2분기 입찰

환경

하노이 고형폐기물 처리

1100억

WB

WB지원규모 확정

환경

하이퐁 상수공급 설비

800억

ADB

13년 상반기 입찰

환경

탄호아-로곰 수 처리 설비

2200억

WB

타당성조사 진행중

이집트

태양광

100MW 태양광 발전

6050억

CTF

/AfDB

입찰추진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