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송도국제도시 부동산 정보

제38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 개최 본문

▶ 부동산정보/┃♡┃┛_ 부동산 정보

제38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 개최

귀인 청솔 2022. 2. 3. 09:41

제38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 개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2.3() 07:30 정부서울청사에서 38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개최하여 다음 안건에 대해 논의하였음

 

최근 주택가격의 하향 안정 흐름 점검 및 대응

2.4대책 1주년 계기 주택공급 점검 및 향후 계획

저가아파트 실거래 기획조사 결과 및 조치방안

 

[붙임] 모두 발언

지금부터 38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시작하겠음

 

<최근 부동산시장 동향·평가>

 

1.4주 부동산시장에서 수도권 아파트‘19.8월 이후 25개월 만에 매매상승세멈추고(0.00%), 서울아파트‘20.5월 이후 18개월 만에 0.01% 하락 전환

 

매매시장에서는 서울(0.01%), 대전(0.04%) 대구(0.08%) 세종(0.19%) 광역 단위하락을 비롯하여 기초단위로는 전국 조사대상 176 지자체 락 지자체수54개까지 증가*

* 가격 하락 기초 지자체수(): (’21.11.1) 6 (‘22.1.1) 35 (1.3) 40 (1.4) 54

 

- 특히 거래의 경우 ’21.12월 전국 아파트 거래에서 5채 중 4이전 고가 대비 하락*하였으며, 1 들어서는 강남, 서초, 성동, 일산 다수지역에서 1억원 이상 하락한 거래사례가 지속 포착되는 등 그 체감의 폭더 확대

* 이전 신고가 거래 대비 가격 하락 비율(전국,%): (‘21.9)69.6, (10)71.8, (11)75.9, (12)79.5

 

- 민간매수우위지수22주 연속 하락(46.6)하며 ’08.6이후 최장기간 하락세

* KB 매수우위지수(전국): (‘21.8.3)114.6(’22.1.4)46.6 <22주 연속 하락>
부동산원 매매수급지수(전국): (‘21.10.1)105.5(’22.1.4)94.4 <16주 연속 하락>

 

세시장의 경우도 매매가 하락, 매물 누적* 등으로

1.4수도권하락(1.40.02%) 전환하고 서울도 상승세를 종료**

* 서울APT 전세매물(만호, 아실, 기말): (‘21.5)2.2 (7)2.0 (9)2.4 (11)3.1 (’22.1)3.1

** 1.4주 서울은 0.00%(보합)이나 소수점 셋째자리 기준(0.002%)으로는 이미 하락세 전환

 

- 특히, 갱신계약 비중확대*되고 신규 임차수요 감소함에 따라 강남, 양천 1천세대 이상 대단지를 중심으로 매물 소화기 1개월을 상회하고 계약 체결을 위해 호가지속 조정하는 사례도 증가

* 서울APT 전세거래 중 갱신계약 비중(%): (’21.6)35.0 (8)43.1 (11)55.0

 

최근 KDI 설문조사*(1.28)에 따른 전문가 집단한은 주택가격전망 CSI(1.26) 따른 서울 거주자** 모두 과반 이상 금년 주택가격하락을 전망

* 전문가 하락 응답(KDI, %, ‘22년 전국 주택가격 전망): (10% 이상)7.2, (10~5%)15.1, (5~0%)29.0 <하락 계 51.3>

** 서울거주자 주택가격전망 CSI(한은, 향후1년 전망) : (‘21.9)125 (11)113 (12)101 (’22.1)95
? 100 이하일 경우 하락 응답비중이 상승 응답비중 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

 

최근의 공급 확대, 심리 진정, 금리 추이, 글로벌 동향 등을 종합 감안

시장 하향 안정세는 더 속도낼 전망

특히 그동주택가격과도하게 상승했던 부분에 대한 일정부분의 하향조정과정은 필요하다고 보며 이러한 방향 하의 정책기조를 계속 견지할 것

<금일 논의 안건>

 

오늘은 최근 주택가격의 하향 안정흐름 점검 및 대응, 2.4대책 1주년 주택공급 점검 및 향후계획, 저가아파트 실거래 기획조사 결과 및 조치방안을 논의

 

첫 번째 안건에 대해서는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으며,
두 번째 안건‘2.4대책(3080+대책) 1주년 계기 주택공급 점검 및 향후 계획

 

2.4 주택공급대책(3080+대책)규제완화, 신속 인허가, 파격적 인센티브 등을 통해 공급쇼크수준의 83.6만호 공급 도심공급 지정에서 분양까지 기131.5 단축 공급모델새로운 이정표를 제시

 

대책발표 1만에 목표물량의 60% 수준의 50만호의 입지후보지로 선정하는 등 집행속도 측면에서 전례없는 성과를 나타냄

* 주요실적(만호): (도심복합사업)10.0, (공공정비)3.7, (소규모도시재생)3.3, (공공택지 등)33.3

 

) 심복합사업1년만에 7610만호(서울 5.5만호) 후보지 발굴 및 263.6만호 동의율 2/3 도달, 71만호에 대해서는 본지구 지정까지 완료

 

) 공공정비사업공공재개발 3.7만호(서울 2.7만호)의 후보지를 발굴하였, 특히 서울시 민간재개발*(신통기획)과도 상호보완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공공민간, 중앙지방정부협력하는 모델을 제시

* 21, 2.5만호 후보지 발표(‘21.12.28) 미선정 지역은 진행중인 공공재개발 공모 참여

 

) 공공택지의 경우 신도시급(330이상) 입지의 광명시흥(7.0만호), 의왕군포안(4.1만호), 화성진안(2.9만호)을 포함하여 당초 목표보다 1만호 많은 27.2만호 확정하고 사전 투기조사시스템도 도입

 

대책 발표 직후 물량효과단기 시장불안 완화 하반기 들어 후보지 및 지구지정 본격화최근의 시장하향 안정화 추세에도 핵심적으로 기여*

* 주간 서울아파트(%): [단기] (’21.2.1)0.10(3.5)0.05 / [중기] (8.5)0.21<신규택지 발표>(10.4)0.16<예정지구 지정>(12.4)0.04<본지구 지정>(‘22.1.4)0.01<도심복합사업 후보지 발표>

 

1.27일 발표도심복합사업 후보지 11, 1만호를 포함하여 금년 중 도심복합 5만호, 공공정비 5만호, 소규모 정비 2.3만호 후보지 등을 추가 선정하고, 기발표 후보지 전량에 대해서도 연내 지구지정 등을 완료토록 총력.

 

세 번째 안건저가아파트 실거래 기획조사 결과 및 조치방안

 

정부는 ’21.11월 제33차 회의에서 저가아파트 관련 법인외지인집중 매집 이상거래에 대해 정밀 실거래 조사방침*을 밝힌 바 있으며,

오늘 사결과에 대한 조치방안을 논의, 회의직후 국토부에서 별도 발표 예정

* ‘20.7월 이후 저가아파트를 3건 이상 매수한 법인외지인 이상거래 1,808건을 대상

 

거래과정에서 확인된 편법증여, 명의신탁, 법인탈세 위법불공정행위 일체에 대해 엄중조치 방침이며 향후에도 연중 상시 조사·점검해 나갈 ()

 

출처 : 기획재정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