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APEC 정상회의 준비기획단 현판식 개최
2025 APEC 정상회의 준비기획단 현판식 개최
첨부 | APEC 약황 |
개관
∙ 출 범
- 1989년 캔버라에서 우리나라 포함 12개국 간 각료회의로 출범, 1993년 클린턴 美대통령 제안으로 매년 정상회의 개최
∙ 특 징
- 국가(State)가 아닌 경제(Economy) 단위로 참여하며 정상회의는 Summit이 아닌 Economic Leaders’ Meeting
- 자발적‧비구속적 성격의 합의 이행
∙ 의 의
- 아태지역 공동체의 점진적 실현을 추구하는 최고의 정책 공조의 장
- 매년 정상회의 및 각료회의에서 다자무역체제 강화를 위한 역내 정치적 의지를 결집
- 1994년 보고르목표 설정을 통해 무역투자 자유화에 기여
∙ 사무국 : 싱가포르 / 정규예산 : 500만 미불(2023년)
※ 우리나라 의무분담금은 298,000미불(5.95%)(6위), 美·日은 901,000미불(18%)로 공동 1위
회원국(21개 회원국+3개 옵저버 기구)
∙ 동아시아(12) : 우리나라, 중국, 일본, 대만, 홍콩,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싱가포르, 브루나이
∙ 미주(5) : 미국, 캐나다, 멕시코, 페루, 칠레
∙ 대양주(3) 및 기타(1) : 호주,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러시아
∙ 옵저버 기구(3) : ASEAN, 태평양제도포럼(PIF), 태평양경제협력위원회(PECC)
APEC의 위상
∙ APEC은 세계 GDP 62.2%, 총교역량 50.1% 점유(2022년 기준)
∙ 우리나라의 10대 수출국 가운데 8개국이 APEC 회원국(중국, 미국, 베트남, 홍콩, 일본,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 나머지 국가는 인도, 독일로 APEC 非회원국
회 의
∙ 정상회의(매년 개최)
- 제1차(1993.11, 시애틀)
- 제13차(2005.11, 부산)
- 제29차(2022.11, 태국)
- 제30차(2023.11, 미국)
- 제31차(2024.11, 페루)
※ 2025년 우리나라 개최 예정
∙ 각료회의(매년 개최)
- 제1차(1989.11, 캔버라)
- 제3차(1991.11, 서울)
- 제33차(2022.11, 태국)
- 제34차(2023.11, 미국)
- 제35차(2024.11, 페루)
※ 2019년 의장국(칠레) 국내 사정으로 정상 및 각료회의 취소
APEC 메커니즘
APEC 정상회의 | ||||||||||||||||
분야별 장관회의 | 외교·통상 합동각료회의 | APEC 기업인 자문위원회 | ||||||||||||||
고위관리회의 | ||||||||||||||||
무역투자 위원회 |
예산 운영 위원회 |
경제기술협력운영위원회 | 경제 위원회 |
|||||||||||||
우리나라와 APEC
∙ APEC의 제도적 기틀 마련에 기여
- 1991년 서울에서 개최된 제3차 APEC 각료회의에서 APEC 기본헌장에 해당하는 ⌜APEC 서울선언⌟ 채택
∙ 1991년 제3차 APEC 각료회의 의장국으로서 당시 APEC 최대 과제였던 중국, 대만, 홍콩의 가입 협상을 주도하였고, 한‧중 관계 정상화 계기 마련
∙ 아태자유무역지대(FTAAP) 구현을 위한 지역경제통합 노력을 정상 이니셔티브를 통해 단계적으로 주도
∙ 우리 주도 APEC 사업 현황
- 아태지역 중소기업 공급망 국제포럼
- 지역경제통합 역량강화 사업(CBNI)
- APEC 공급망 연계성 프레임워크 3단계 참여
- 국경간 이동 증진, 디지털 헬스 관련 협력
- Biometric ID 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
- 2023년도 APEC 기후심포지움
- APEC 과학영재 멘토링 센터 운영사업
- APEC 스쿨리더십 프로그램
- APEC 미래교육포럼 및 국제 알콥 컨퍼런스
- APEC 지역 기록유산의 디지털화 지원
- APEC 중소기업·스타트업 협력 포럼 등
출처 : 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