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정보/┃♡┃┛_ 부동산 정보

보건복지부-존슨앤드존슨, 바이오헬스 산업 글로벌 협력 강화 위해 손 맞잡다!

귀인 청솔 2024. 3. 28. 10:27
보건복지부-존슨앤드존슨,
바이오헬스 산업 글로벌 협력 강화 위해 손 맞잡다!
존슨앤드존슨社한국 바이오헬스 기업에 투자기술협력공동연구 등 활성화 -
한국 내 JLABS(제이랩스신속 운영혁신 바이오 기업 글로벌 진출의 전진 기지로 활용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 이하 복지부)는 3월 28일(목) 10시에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대표 빌 하이트(Willam N. Hait), 이하 존슨앤드존슨)과 바이오헬스 산업의 글로벌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국내 주요 바이오헬스 기업**과 글로벌 협력 강화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 존슨앤드존슨 그룹 내에서 외부 바이오벤처와의 기술협력, 투자엑셀러레이팅 사업을 담당
 

 ** 참석기업 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유한양행, SK바이오팜알테오젠써나젠 테라퓨틱스, 휴이노, 프리미어 파트너스, 유안타 인베스트먼트 이상 9개 기업

 

  이날 체결된 업무협약은 복지부와 존슨앤드존슨이 ‘한국 바이오헬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상호 협력한다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바이오헬스 산업의 글로벌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 주요 내용 >

 ① (투자 협력) 혁신 신약 및 혁신 의료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처 발굴과 정보 교류 활성화 등 상호 투자 협력 강화
 
 ② (엑셀러레이팅) 혁신 기업들의 성장과 글로벌 진출을 위해 한국 내 JLABS(제이랩스)를 신속하게 운영하고 우수 인력 파견해외 인프라 활용 등 협력 강화
 
 ③ (공동연구 및 기술협력)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과 한국 바이오헬스 기업 간 공동연구 및 기술협력 강화를 위해 적극 협력
 
 ④ (글로벌 네트워크) 한국 바이오헬스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물적, 인적 네트워크 지원

 

 

  아울러이날 업무협약 체결 후 이어진 국내 바이오헬스 기업과의 간담회에서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투자 확대 방안 국내·외 바이오헬스 기업 간 기술협력 활성화 방안 국내 혁신 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방안 등 바이오헬스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특히참석기업들은 복지부와 존슨앤드존슨의 협력이 국내 혁신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촉진하여 한국 바이오헬스 산업이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는 점에 공감했다.

 

  빌 하이트(William N. Hait) 존슨앤드존슨 글로벌 수석 부회장은 한국 내 JLABS(제이랩스)의 운영은 존슨앤드존슨사의 지속적인 투자와 협력을 약속하는 것”이라고 밝히며,

 

  “한국의 바이오헬스 생태계가 인류 공동체 건강 증진을 위해 획기적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혁신생태계로 나아가는데 존슨앤드존슨이 함께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존슨앤드존슨사와의 협력이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에 기폭제 역할을 하길 기대하며글로벌 기업들의 국내 투자와 기술 협업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며,

 

  한국 기업들이 가진 잠재력이 글로벌 시장에서 마음껏 펼쳐지길 기대하고이번 업무협약이 바이오헬스 글로벌 중추 국가로 나아가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붙임 2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 개요 및 주요 기능

 

 

 

□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 개요

 

 ○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은 환자의 건강 결과를 개선할 수 있는 최고의 초기 단계 혁신 기업을 발굴한다는 사명을 가지고 당사의 통찰력과 협업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유망한 초기 혁신 기업과 파트너를 발굴함

 

□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 주요 기능

 

  (글로벌 벤처투자) 바이오헬스 혁신 기업 대상 글로벌 벤처투자

 

   (주요 기능혁신 기술을 가진 제약의료기기융복합 바이오기업에 대한 벤처투자 진행

 

   - (투자 금액14년 이후 약 100개 이상 기업 대상으로 35억 달러(약 4.5조 원) 투자 (50%는 북미 기업, 50%는 북미 外 지역 기업)

 

  (기술 협업) 혁신 기술 개발하는 바이오벤처들과의 기술 계약 등 진행

 

   (주요 기능전세계 유망 바이오벤처와의 전략적 협력 및 기술계약 진행

 

   (초기 기업협업 이력13년 이후 전세계 4곳의 R&D 센터 설립, 590건 이상의 전략적 협력과 기술 계약 추진

 

   (한국 기업과의 협력) 유한양행(레이저티닙글로벌 공동개발)레고캠바이오사이언스(고형암 치료제기술 계약) 등 협업 진행

 

 ③ (엑셀러레이팅) JLABS 네트워크를 통해 유망 바이오벤처 양성

 

   - (주요 기능혁신 기술 포토폴리오 평가글로벌 투자전략 마케팅, 기술사업화사업개발 등 전주기 멘토링 서비스 제공

 

   (투자 및 사업화) 1,000억 달러 이상의 투자유치, 57개 기업 상장

 

   - (JLABS 멘토링) 1,000개 이상의 기업에 전문 멘토링 서비스 제공

 

출처 : 보건복지부